나도밤나무과
학명: Sabiaceae
분류: (미분류)속씨식물군 >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 나도밤나무목 >나도밤나무과
(미분류)속씨식물군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나도밤나무목 (Sabiales)
과: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나도밤나무과는 식물 체계 분류에서 쌍떡잎식물강에 속하는 목(目)이다. 남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온대와 열대 지역에서 주로 자생한다.
크론키스트 체계에서는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의 하위 과로 분류하였지만, 최근의 분류 체계(APG II 체계)에서는 나도밤나무목에 속하는 유일한 과로 분류하고 있다.
과는 3개의 속과 약 160개 종이 포함되어 있다.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의 화서
세계에 4속 70종이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열대 및 아열대에 분포하며 약간은 아시아 온대에 분포한다. 낙엽 또는 상록수이며 교목 또는 관목이고 일부는 덩굴식물이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 또는 홀잎이며 턱잎은 없다.
꽃은 양성화이거나 드물게 암수한그루인 단성화이다.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정제화이고, 꽃잎은 5개인데 기와 모양이고 바깥쪽 3개는 크고 안쪽 2개는 작으며, 꽃받침조각은 4∼5개이다.
수술은 5개인데 꽃잎과 마주나고 바깥쪽의 3개는 퇴화하였다. 암술대는 짧고 씨방은 상위(上位)이며 2칸으로 나뉜다. 열매는 터지지 않는 핵과이며 둥글고 종자에는 배젖이 거의 없다. 한국에는 1속 2종이 중부 지방 이남에 분포한다.
출처: 나도밤나무과 [Sabiaceae] (두산백과)
나도밤나무과(Sabiaceae)의 1속
나도밤나무속 (Meliosma) 2종
Meliosma_veitchorum
나도밤나무속(Meliosma)
나도밤나무속(Meliosma)은 나도밤나무과의 한 속으로,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 아메리카의 열대와 난대 지방이 원산지이다. 100여 종을 포함하나, 학자에 따라서는 보수적으로 20~25 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나무나 관목 형태로, 키는 10~45m까지 자란다.
한국에는 나도밤나무(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와 합다리나무(Meliosma oldhamii Maxim.)의 두 종이 자란다.
한국서식 나도밤나무속(Meliosma) 2종 바로가기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Maxim.)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Maxim.)
한국서식 나도밤나무속(Meliosma) 2종 특징비교
1.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
새가지 끝에 원추화서는 길이와 나비가 각 15-25cm이고 6월에 백색 꽃이 피고 5수이다. 꽃잎은 3개는 원형, 나머지 2~3개는 선형이며 수술도 3개은 비늘같고 2-3개은 완전하며 암술은 1개이다.
곧게 올라가며 수피는 갈색으로 피목이 많이 산재한다. 어린가지에 갈색의 선모가 있다.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
2.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Maxim.)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혁질이고 9-15장이며 엽병이 짧고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이며 점첨두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3.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많고 끝이 거의 까락같은 낮은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엽축에 털이 있다.
꽃은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각 분지에 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꽃은 6월에 피며 백색이고 화경이 짧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3배 정도 길며 둥글고 자방에 밀모가 있다. 꽃받침은 4개, 대형 꽃잎은 3개이다.
합다리나무 (Meliosma oldhamii Maxim.)
나도밤나무 (Meliosma myriantha Siebold &Zucc.)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다리나무 (0) | 2014.08.05 |
---|---|
나도밤나무 (0) | 2014.08.05 |
나도바람꽃 (0) | 2014.08.04 |
야생 식물 관찰 상식 (0) | 2014.08.04 |
한국의 소나무 (0) | 2014.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