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등골나물속

호남인1 2014. 8. 13. 12:38

 

 

 

 

 

등골나물속

Eupatorium

 

 

 

 

 

 

등골나물 (Eupatorium makinoi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Yahara)의 꽃차례

 

 

 

 

생물분류

: 식물계(Plantae)

: 속씨식물(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국화목(Asterales)

; 국화과(Asteraceae)

: 등골나물속 (Eupatorium)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등골나물속

 

 

등골나물속 (Eupatorium) 세계에 약 600종이 분포하는 다년초 또는 반관목이다, 우리 나라에는 3종의 등골나물속 식물들이 자란다. 이중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이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벌등골나물(E. fortunei)은 주로 냇가 근처에서 자라고 있다.

=============================================================================================================================

 

 

 

 

=============================================================================================================================

등골나물속

Eupatorium

 

 

세계에 약 600종, 우리 나라에는 2종, 다년초 또는 반관목.

잎은 대생 또는 윤생.

두상화서는 산방화서 모양으로 달리고, 통 모양으로 긺.

총포는 화탁이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화관은 고른 5갈래.

꽃밥은 밑동이 둔함.

열매는 수과, 원통형, 오각형.

-자료 :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

등골나물류 [boneset]

 

thoroughwort라고도 함.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며 약 500종(種)의 풀들로 이루어진 등골나물속(―屬 Eupatorium) 식물들.

 

주로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북아메리카산 유파토리움 페르폴리아툼(E. perfoliatum)은 벌등골나물 또는 인디언살비아라고도 하며 축축한 곳에서 흔히 자란다. 키는 0.6~1.8m 정도이고 거칠고 단단하며 털이 많은 다년생 식물이다. 잎은 창 모양이며 주름이 지고 잎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으며, 잎 아래쪽이 서로 합쳐져 줄기를 감싼다. 수많은 관 모양의 작고 흰 꽃이 8월에 두상(頭狀)꽃차례로 피는데, 많은 꽃가지가 달리나 꽃차례 위쪽은 편평하다.

 

몇몇 종들을 조폐풀(joe-pye weed)이라 부르고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미국 동부의 해안평야에서만 자라는 유파토리움 두비움(E. dubium)만을 조폐풀이라고도 한다. 단조폐풀(E. purpureum), 점조폐풀(E. maculatum), 빈조폐풀(E. fistulosum)은 미국 북부와 중부지방의 축축한 관목림과 풀밭에서 자라고 있다. 대부분의 조폐풀은 흐린 분홍색이나 자주색 꽃이 무리지어 핀다. 흰뱀뿌리풀(E. rugosum)에는 독성 알코올이 들어 있어 떨림병을 일으키는데, 동물이 이 풀을 먹으면 근육이 떨리고 약해지며 변비가 생겨 때때로 죽기도 한다. 이런 가축의 고기와 유제품을 사람이 먹으면 우유병이라는 급성 병이 생겨 몸이 쇠약해지고 구토와 변비가 나타난다. 민간에서는 등골나물로 만든 차를 열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써왔다.

 

한국에는 3종의 등골나물속 식물들이 자란다. 이중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e var. simplicifolium)이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벌등골나물(E. fortunei)은 주로 냇가 근처에서 자라고 있다.

출처: 브리테니커

 

 

=============================================================================================================================

국내서식 등골나물속 (Eupatorium) 7종 바로가기

 

갈래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dissectum (Makino) H.Hara)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등골나물 (Eupatorium makinoi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Yahara)

민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angustatum H.Hara)

벌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 (Makino) Murata &H.Koyama)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Houtt.)

향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

한국서식 등골나물속 (Eupatorium) 7종 특징 비교

 

 

 

 

 

 

1. 갈래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dissectum (Makino) H.Hara)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갈래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dissectum (Makino) H.Hara)

 

 

 

 

 

 

2.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원주 모양의 줄기는 높이 8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전체에 거센 털이 많이 난다. 잎은 2개씩 마주 달리며 각 잎이 3갈래로 갈라져 마치 6개의 잎이 돌려나는 것처럼 보인다. 잎자루는 거의 없으며 갈래조각은 피침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샘점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통상화만으로 된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꽃이 산방화서로 달린다. 총포는 원통 모양이고 작은 꽃은 5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원뿔 모양이며 5개의 모서리와 회색의 관모가 있다. 표면에 샘점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3. 등골나물 (Eupatorium makinoi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Yahara)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등골나물 (Eupatorium makinoi var. oppisitifolium (Koidz.) Kawahara &Yahara)

 

 

 

 

 

4, 민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angustatum H.Hara)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엽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분지하지 않는다. 

 

지하경은 옆으로 뻗고, 다시 지하경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민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e var. angustatum H.Hara)

 

 

 

 

 

5. 벌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 (Makino) Murata &H.Koyama)

잎은 대생하고 많은 것이 3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평은 중앙부의 것이 가장 크고 장타원형 또는 피침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8~13cm, 나비 3~4.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선점이 없고 털이 약간 있으며 표면에 다소 윤채가 있고 엽병은 짧다. 하부의 잎은 소형이고 화시에 없어진다. 과실은 수과이고 관모는 백색 또는 오백색이다.

 

꽃은 8~9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두화가 산방화서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7~8mm이고 소화는 5개씩 나며 포편은 2~3렬로 배열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많이 모여나며 밑부분에 털이 없다.

 

벌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 (Makino) Murata &H.Koyama)

 

 

6.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Houtt.)

높이 30~130cm이고 줄기의 상부에만 털이 있으며 거의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끝이 뾰족해지는 달걀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15~25개의 횐색 두화가 산방화서로 달린다. 총포는 원통모양이고 총포조각은 1줄로 배열되며 10개정도가 같은 크기이고 좁은 긴 타원모양이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으며 검은색의 광택이 있다.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고 중부지방에서 분포한다.

15~25개의 흰색 두화가 산방화서로 달림. 총포는 원통모양이고 총포조각은 1줄로 배열되며 10개정도가 같은 크기이고 좁은 긴 타원모양임.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Houtt.)

 

 

7, 향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진다. 중앙부의 큰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등골나물과 달리 잎이 3개로 갈라지고 정열편은 크며 긴 타원형이지만 측열편이 작고 피침형이다.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원통형이고 선(腺)과 털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4mm정도로서 백색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소화는 5개씩이며 포린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끝이 둥글다. 연한 자주색꽃이 달리고 향기가 난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다.

 

향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Hendel / Harp Concerto in B flat major,Op.4 No.6, HWV294




 

 

 

 

 

=============================================================================================================================

바로가기

 

국화 | 식물도감(植物圖鑑)

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1. (4,903種중 1.가래과 - 650.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께묵속  (0) 2014.08.14
민들레속(Taraxacum)  (0) 2014.08.14
돼지풀과 개똥쑥의 구별 포인트  (0) 2014.08.12
개똥쑥  (0) 2014.08.12
쑥속 (Artemisia)  (0) 201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