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쑥속 (Artemisia)

호남인1 2014. 8. 12. 06:16

 

 

 

 

 

쑥속 (Artemisia)

속명의 Artemisia는 소아시아 카리아왕 Mausolus의 왕비 Artemisia를 기념하기 위해 붙여진데서 유래.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

쑥속(Artemisia 아르테미시아[*])은 국화과에 딸린 속이다. 속에 딸린 종이 200 ~ 400 개에 달하는 커다란 속이다.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쑥류 [wormwood, ― 類]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 쑥속(―屬 Artemisia)에 속하는 쓴맛이 나거나 독특한 향기가 나는 풀 또는 관목.

 

쑥 (Artemisia princeps Pamp.)

 

세계의 여러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꽃은 작고 녹색빛이 도는 노란색이며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어 무리지어 핀다.

잎은 보통 갈라져 있고 줄기를 따라 어긋나며 녹색, 회색빛 나는 녹색 또는 은백색 등이다.

 

아브신트쑥(A. absinthium)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잎은 약품과 압생 같은 음료를 만드는 데 써왔다.

유럽이 원산지이지만 캐나다와 미국에도 귀화식물로 자라고 있다.

잘 알려진 다른 종(種)인 아르테미시아 드라쿵쿨루스(A. dracunculus)의 잎은 조미료로 쓰이고 메쑥(A. vulgaris)의 잎은 음료의 맛을 내는 데 쓰인다.

 

한국에는 을 비롯하여 40여 종이 자라고 있다. 이중 더위지기 종류들은 반관목성이나 나머지 종류는 모두 초본이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개똥쑥 (Artemisia annua L.)의 꽃차례

 

 

 

한국서식 쑥속 (Artemisia) 40종 바로거기

 

가는잎쑥 (Artemisia integrifolia for. subulata (Nakai) Kitag.)

개똥쑥 (Artemisia annua L.)

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

갯제비쑥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구와쑥 (Artemisia laciniata Will.)

국화잎쑥 (Artemisia stolonifera for. dissecta (Pamp.) Kitam. )

그늘쑥 (Artemisia sylvatica Maxim.)

금강쑥 (Artemisia brachyphylla Kitam.)

금쑥 (Artemisia aurata Kom.)

넓은잎쑥 (Artemisia latifolia Ledeb.)

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for. stolonifera)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덤불쑥 (Artemisia rubripes Nakai)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 Miq.)

명천쑥 (Artemisia leucophylla (Turcz.) Turcz. ex C.B.Clarke)

물쑥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비단쑥 (Artemisia lagocephala for. triloba (Ledeb.) Pamp.)

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뺑쑥 (Artemisia feddei H.Lev. &Vaniot)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산개쑥 (Artemisia orthobotrys Kitam.)

산쑥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섬쑥 (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Nakai) Kitam.)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Nakai) Kitam.)

(Artemisia princeps Pamp.)

애기비쑥  (Artemisia nakaii Pamp.)

외잎물쑥 (Artemisia selengensis for. subintegra (Pamp.) Kitag.)

외잎쑥 (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

율무쑥  (Artemisia koidzumii Nakai)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좀황해쑥 (Artemisia argyi for. microcephala Pamp.)

증산쑥 (Artemisia borealis var. ledebouri Besser)

참쑥 (Artemisia dubia Wall.)

큰비쑥 (Artemisia fukudo Makino)

털비쑥 (Artemisia scoparia for. villosa Korsh.)

털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discolor (Kom.) Kitag.)

황해쑥 (Artemisia argyi H.Lev. &Vaniot)

흰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vestita (Kom.) Kitag.)

흰쑥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흰쑥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한국서식 쑥속 (Artemisia) 40종 꽃(꽃차례)특징비교

 

1. 가는잎쑥 (Artemisia integrifolia for. subulata (Nakai) Kitag.)

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5~9cm, 나비 3~5m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 엉킨 면모로 덮여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선형으로 된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1.8mm이며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고 화서 밑의 잎은 길이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고 화서 밑의 잎은 길이 1~3mm이며 양쪽에 1~2개의 두화가 달려 화서는 좁고 두화는 난형으로 지름 2~3mm이다. 총포는 겉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포편은 3열로 배열한다. 

줄기는 곧추 서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가는잎쑥 (Artemisia integrifolia for. subulata (Nakai) Kitag.)

 

 

 

2. 개똥쑥 (Artemisia annua L.)

꽃은 6~8월에 피고 작은 두상화서가 수상으로 달려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며 두화(頭花)는 지름 1.5mm정도로서 황색이고 대개 구형이다. 소화(小花)는 이형(異形)이며 화탁(花托)은 나출되어 있다. 총포편은 털이 없고 2-3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고 중포편과 내포편은 타원형이며 뒷면이 녹색이다. 

 

개똥쑥 (Artemisia annua L.)

 

 

 

3. 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9-15cm, 나비 3.5-5.5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옆으로 퍼지며 중축 윗부분이 빗살처럼 되고 제2차 열편은 나비 1.5-2mm로서 끝이 뾰족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6cm로서 긴 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제1차 열편은 드물게 달리고 소열편은 나비가 보통 0.5mm정도로서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수과는 길이 1mm정도로서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꽃은 녹황색으로 7~9월에 피며 길이 3.5-4mm, 지름 5-6mm로서 반구형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원추상으로 배열하고 한쪽으로 몰려난 총상(總狀)이다. 화경은 길이 2-6mm이다. 총포편은 둥글고 열편은 3줄로 배열되며 긴 타원형으로서 외편은 약간 짧고 중편과 내편은 길이가 같으며 뒷면이 녹색이고 잔점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1.5mm정도이고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 1.8mm정도이다. 

 

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

 

 

4. 갯제비쑥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뿌리잎, 줄기 아랫잎, 줄기에서 나온 가지에 달린 잎의 모양에 차이가 많다. 뿌리잎은 구절초잎과 같은 모양으로 갈래의 폭이 넓은 편이나, 줄기 끝으로 갈수록 가는잎구절초잎처럼 좁아진다. 

제비쑥의 아종인 갯제비쑥(ssp. littoricola (Kitam.) Kitam.)은 울릉도에 분포하며 잎이 깊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고 머리모양꽃의 지름이 약 2mm이므로 구분된다.

 

갯제비쑥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5. 구와쑥 (Artemisia laciniata Will.)

근생엽은 방석처럼 퍼지고 긴 타원형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2-18cm, 나비 5.5-6cm로서 뒷면에 복모가 있다. 제1차 열편은 8쌍으로서 타원형이며 제2차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중앙까지 갈라지고 소열편은 예두이며 밑부분의 나비가 0.5-0.7mm이고 중축은 밑부분이 나출되며 윗부분이 빗살같다. 줄기의 잎은 근생엽과 같지만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수과는 길이 1.2mm정도이다. 

두상화는 둥글고 길이 2.5-4mm, 지름 4-6㎜로서 황갈색이며 원추상 총상화서에 달린다. 총포편은 털이 없고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은 넓은 난형으로서 길이 2.5mm정도이고 중포편과 내포편은 넓은 타원형이다. 

높이 25-40cm이고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구와쑥 (Artemisia laciniata Will.)

 

 

 

 

6. 국화잎쑥 (Artemisia stolonifera for. dissecta (Pamp.) Kitam. )

 

국화잎쑥 (Artemisia stolonifera for. dissecta (Pamp.) Kitam. )

 

 

 

 

7. 그늘쑥 (Artemisia sylvatica Maxim.)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경생엽은 길이 17-18㎝, 나비 12-13㎝로서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5개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예저로서 엽병으로 흐르며 엽병은 길이 3-3.5cm이다. 측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떨어져 있으며 톱니가 있고 정열편은 3개로 갈라지며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점차 작아진다. 잎은 호생한다. 

꽃은 8-10월에 갈색으로 피고 지름 2mm의 두상화로서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약간 성기게 총상으로 달린다. 포는 길이 1mm정도로서 피침형이다. 총포는 종형이고 길이 2.5mm, 나비 2mm정도로서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넓은 난형으로서 둔두이며 중편과 내편은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홈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가지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그늘쑥 (Artemisia sylvatica Maxim.)

 

 

 

 

8. 금강쑥 (Artemisia brachyphylla Kitam.)

아래쪽 잎은 쳐지며 중앙부 잎은 근접하여 나고 길이 4.5~5.5cm로 타원형이며 끝부분은 예두이며 밑부분은 엽병이 없고 가탁엽이 뚜렷하다.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우편은 3~4쌍으로 피침형이며 뾰족하고 거치가 있다. 잎 뒷면은 회백색 면모가 있다. 위쪽의 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3개로 갈라지거나 긴타원상 피침형으로 하나가 된다. 

수과는 털이 없다. 

화서는 좁아지며 길이 20~25cm, 폭 4~6cm이다. 두화는 짧은 소화경을 가지며 구상 종형으로 길이 3~4.5mm, 폭 3~4mm(간혹 2.5mm)로 부드러운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암꽃은 수가 적고 화관은 길이 1.5mm이며, 양성화는 많고 관상화로 임성이며 화관은 길이 2.5mm이다. 

초본으로 아래쪽에서 하나의 대가 가늘게 직립하며 크기는 35-70cm이고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넓은잎외잎쑥에 비해 잎은 중렬하고 열편이 이생하며 작고 뒷면에 털이 적은 것이다. 

 

금강쑥 (Artemisia brachyphylla Kitam.)

 

 

 

9. 금쑥 (Artemisia aurata Kom.)

잎은 호생하고 하엽과 중엽은 2회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상부의 잎은 갈라지지 않고 사상이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화가 수상으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 3~3.5mm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외포편은 난형으로 끝이 둔하며 막질로 광택이 있다. 소화는 통상으로 길이 약 1mm이며 화상은 나출한다. 

줄기는 곧추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평활하다. 전체에 털이 없다. 

함북(백두산, 보천보, 혜산진, 어유)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금쑥 (Artemisia aurata Kom.)

 

 

 

 

10.넓은잎쑥 (Artemisia latifolia Ledeb.)

한반도(북부), 만주, 아무르, 우수리, 몽고,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등지에 분토한다.

구와쑥에 비해 잎이 아주 크고(20~35×10~15cm) 우열편이 약간 넓으며(3mm) 평활하다.

 

넓은잎쑥 (Artemisia latifolia Ledeb.)

 

 

 

11.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for. stolonifera)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포행하며 흔히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이 있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7-14cm, 폭 4.5-8cm로서 가탁엽(假托葉)이 있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2쌍이며 서로 가깝게 붙어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조금 있고 뒷면에는 백색 면모가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점차 작아지고 화서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수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1.8mm, 지름 0.6mm정도이며 털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암갈색이고 9-10월에 익는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4-4.5cm, 폭 3-4mm로서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가장자리의 10-12개 암꽃은 화관이 통상송곳형으로서 길이 1.5-2mm이고 가운데 11-14개의 양성화는 통상종형으로서 길이 2-2.5mm이다. 

높이 50-100cm이고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줄기는 곧게서고 홈줄이 있으며 홍자색을 띠고 있다. 

 

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for. stolonifera)

 

 

 

12.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근생엽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2회우상(二回羽狀)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거나 또는 얕은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피침형이며 처음에는 양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있고 표면은 녹색으로서 잔털과 오목한 점이 있으며 뒷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대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3cm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둥글고 길며 1-1.5mm로 관모가 없고 11월에 성숙한다. 

꽃은 황색으로 8월에 피고 두화는 엽액에서 총상으로 달리며 반구형이고 총포편은 2-3줄로 배열되며 털이 있거나 없다.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겉에 선점이 있고 모두 열매를 맺는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총생하며 곧게 서고 기부가 목질화되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이 있으며 암자색을 띠고 어린 부분에 거미줄털이 있다. 

 

더위지기 (Artemisia gmelini Weber ex Stechm.)

 

 

 

13.덤불쑥 (Artemisia rubripes Nakai)

잎은 호생하며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중앙부의 잎은 가탁엽(假托葉)이 있으며 길이 12-21cm, 나비 9-12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나비 5-7mm로서 표면 중륵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바깥 것이 선형으로 된다. 

꽃은 8-10월에 피고 두화이며 연한 갈색이고 길이 2-2.5mm로서 구상 종형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 또는 수상화서가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원두이며 화상(花床)에 털이 없다. 

 

덤불쑥 (Artemisia rubripes Nakai)

 

 

 

14.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 Miq.)

잎은 호생하며 넓은 주걱형이고 길이 3-10cm, 나비 1.5-4.5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며 끝에 원두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과 더불어 견모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도란형 또는 주걱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4.5-8.5cm, 나비 17-40m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견모가 밀생하며 상반부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지만 가탁엽(假托葉)으로 되지 않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꼭대기 잎은 피침형으로 밑이 쐐기모양이고 위쪽이 여러 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톱니모양의 치아연이 있으며 후질(厚質)이다. 

꽃은 엷은 황색으로 7~9월에 피고 두하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3-3.5mm로서 둥글며 총상 원추화서에 달리고 잔꽃은 이화(異花)인데 모두 등생(登生)하고 화탁(花托)은 나출(裸出)된다. 화경은 가늘고 짧다. 총포는 털이 없으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1mm정도로서 넓은 난형이며 둔두이고 중편은 타원형으로서 뒷면이 녹색이다. 

높이 30-80cm이고 가지 끝에 로제트형의 잎이 달린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줄기면 및 잎뒤에는 갈색 면모(綿毛)가 있다.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 Miq.)

 

 

 

15.명천쑥 (Artemisia leucophylla (Turcz.) Turcz. ex C.B.Clarke)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중부의 잎은 난형 또는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30~38mm, 나비 25mm이고 우상으로 얕게 또는 중렬하며 뒷면에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이 있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두화는 길이 4~4.5mm, 나비 3~4mm이다. 총포편은 3열로 배열하고 외편은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줄기는 곧추 서며 상부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처음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명천쑥 (Artemisia leucophylla (Turcz.) Turcz. ex C.B.Clarke)

 

 

 

 

16.물쑥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쯤되면 없어지며 길이 2.5-5cm이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6-1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선상 피침형으로 되며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줄기 중부의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짧고 질이 두꺼우며 길이 4-7cm, 폭 3-9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우상으로 3-5가닥 깊게 갈라진다. 잎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회백색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기부에는 가탁엽(假托葉)이 있다.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3mm, 폭 2-2.5mm로서 종형이고 원줄기 끝 엽액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전체가 좁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종형이고 짧은 소화경이 달리며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로서 길이 1.2mm이고 황갈색이며 중편은 넓은 난형, 내편은 긴 타원형이다. 가장자리의 8-12개 꽃은 암꽃으로 화관은 길이 1mm정도이고 중앙의 10-12개 꽃은 양성화로서 화관의 길이는 2mm정도이다. 

 

물쑥 (Artemisia selengensis Turcz. ex Besser)

 

 

 

 

17.비단쑥 (Artemisia lagocephala for. triloba (Ledeb.) Pamp.)

잎은 호생하고 길이 3-5㎝ 피침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표면에 융모가 밀생하며 뒷면에 면모가 밀생하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3개로 갈라진다. 

수과는 길이 1.5mm로서 도란상 긴 타원형이다. 

꽃은 8월에 피고 두상화서는 액생하며 총상으로 배열되고 총포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가 건막질이고 내포편은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다. 가장자리의 꽃은 암꽃이며 중앙부의 꽃은 양성으로서 모두 열매를 맺고 화관은 긴 종형으로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선상의 돌기가 있다. 자방과 2개로 갈라진 암술대에 털이 없다. 

아관목으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비단쑥 (Artemisia lagocephala for. triloba (Ledeb.) Pamp.)

 

 

 

 

18.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새가지 끝의 잎은 로제트형이고 경생엽은 길이 3-5cm, 나비 2-5cm로서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2-6.5cm이다. 은 긴 엽병이 있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철에는 말라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3-5cm, 폭 2-5cm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 또는 실모양이고 털이 있거나 없다. 

수과는 도란형으로 털이 없고 9-10월에 익는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길이 1.2-1.5mm, 지름 1-1.2mm로서 피기 전에 밑으로 처지며 두상화서가 원줄기 끝에서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경은 길이 1-2.5mm이다. 총포는 길고 둥글며 담록색이고 지름 1-1.2mm로서 털이 없으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짧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둔두이고 중편과 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0.7mm, 나비 0.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5-7개의 꽃은 열매 맺는 암꽃으로서 화관은 길이 0.5mm정도이다. 가운데의 열매 맺지않는 양성화는 4개 가량이며 화관의 길이는 0.4mm정도이다. 

높이 60-9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흔히 자줏빛을 띠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밑부분에서 다음해의 새싹이 자란다. 

 

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19.뺑쑥 (Artemisia feddei H.Lev. &Vaniot)

중앙부의 잎은 길이 3-7㎝, 나비 2.8-6.5㎝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2-3쌍이며 선형 둔두이고 표면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서는 밀생하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점차 작아지고 화서의 잎은 선형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두화는 길이 2mm, 지름 1㎜로서 긴 타원형이고 갈색이며 화경이 없고 총상 원추화서로 달린다.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짧으며 넓은 난형이고 원두이며 중편은 거의 둥글고 내편은 타원형이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흔히 자줏빛이 돈다. 

 

뺑쑥 (Artemisia feddei H.Lev. &Vaniot)

 

 

 

 

20.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 끝의 잎은 로제트형으로 달린다.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 윗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원줄기를 둘러싸고 길이 1.5-3.8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처럼 가늘고 보통 견모로 덮여 있다.

꽃이 피는 가지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엽병과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열편은 모관상(毛管狀)이며 녹색이다. 

꽃은 황색이며 8~9월에 피고 두화는 길이 1.2-1.5mm, 나비 1-1.2mm이며 난형이고 피기 전에는 밑으로 처지며 원줄기 끝에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경은 길이 1-2.5mm이다. 총포는 둥글며 지름 1-1.2mm로서 털이 없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짧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둔두이며 내편은 타원형이고 길이 0.7mm, 나비 0.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21.산개쑥 (Artemisia orthobotrys Kitam.)

한반도(함경북도 백두산), 만주(장백산)에 서식한다.

구와쑥에 비해 잎이 엷고 열편은 심열하며 두화의 지름은 6-7mm로 보다 크고 총포편에 털이 적다,

 

산개쑥 (Artemisia orthobotrys Kitam.)

 

 

 

 

22.산쑥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잎은 호생한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중앙부의 잎은 가턱엽이 없고 길이 15-19cm, 폭 6~12cm로서 밑으로 흘러 날개가 있는 엽병으로 되며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2-3쌍의 측편이 있으며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없고 뒷면에 백색 면포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마침내 3개로 갈라지거나 밋밋한 피침형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통꽃만인 다수의 두상화가 달려 원추화서를 이룬다. 총포는 지름 2.5~3mm이며 표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넓은 난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은 녹색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으로서 원두이다.

 

산쑥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

23.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철에 마르며 중앙부의 잎은 길이 4.3-14cm이고 엽병은 길이 2-6cm로서 날개가 없다. 엽신은 넓은 난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2.5-10cm로서 불규칙하게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3쌍으로서 정열편이 작으며 밑부분이 좁아져서 날개처럼 되고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회록색이고 복모가 다소 있으며 뒷면에 털이 밀생하거나 소생(疎生)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두화는 반구형이고 길이 2.5-4mm, 지름 4-6mm로서 꽃이 필 때 밑은 향하며 줄기와 가지끝에서 원추상으로 배열된다. 총포는 나비 4-6mm로서 반구형이고 밑부분이 선상의 포엽으로 싸여 있으며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비슷하며 가장자리가 넓은 막질이고 뒷면에 회백색 털이 있다. 외편은 선형이며 털이 있거나 없고 내편은 도란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며 털이 없거나 있다. 변두리의 18개 가량의 꽃은 암꽃이며 안쪽의 꽃은 양성화이고 화탁은 돌출하며 탁모가 밀생한다. 

높이 20-150cm이며 줄기는 굵고 곧으며 골이 파진 능선이 있고 회백색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24.섬쑥 (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Nakai) Kitam.)

잎은 호생하고 길이 2-3.5cm이며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나비가 0.8m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화서부의 잎은 단엽으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9월에 피고 두화는 지름 1.5mm 정도로서 난형 또는 난상 구형이며 화경이 짧고 옆을 향한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포편이 가장 작고 끝이 둔하며 난형이다. 

 

섬쑥 (Artemisia japonica var. hallaisanensis (Nakai) Kitam.)

 

 

 

 

25.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Nakai) Kitam.)

잎은 호생하며 1-2회 우상복엽이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나비 0.8-1㎜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해지고 화서부의 잎은 단엽으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수과이다. 

꽃은 9월에 피고 두화는 연황색이며 지름 1.5㎜정도이고 난형 도는 난상 구형이며 화경이 짧고 옆을 향한다. 총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회포편이 가장 작고 끝이 둔하며 난형으로서 기본종과 같다.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Nakai) Kitam.)

 

 

 

26.쑥 (Artemisia princeps Pamp.)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후에 쓰러지며 경생엽은 가탁엽이 있고 타원형이며 길이 6~12cm, 나비 4~8cm로서 밑부분은 회백색 밀모(密毛)가 있으고 우상으로 깊게 또는 중앙까지 갈라진다. 열편은 2-4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결각상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마침내 3개로 갈라진다. 

꽃은 담홍자색으로 7-9월에 피며 길이 2.5-3.5mm로서 화경이 거의 없고 두화(頭花)가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총포(銃苞)는 긴 타원상 종형이며 길이 2-2.5mm, 지름 1.5mm로서 거미줄같은 털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둔두이고 내편은 긴 타원형이며 원두이다. 

 

쑥 (Artemisia princeps Pamp.)

 

 

 

27.애기비쑥 (Artemisia nakaii Pamp.)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중부의 잎은 길이 4.3~14cm이고 2회 우상으로 전열하며 열편은 2~3쌍이고 정렬편이 작으며 양면에 선점이 있고 표면은 회록색으로 다소의 복모가 있으며 뒷면에는 털이 밀생하거나 소생하고 엽병은 길이 2~6cm이다. 

과실은 수과로 도란형이며 길이 1.2mm이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 4~5mm이다. 총포편은 3~4열로 배열하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상부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회백색 털이 있다. 

 

애기비쑥 (Artemisia nakaii Pamp.)

 

 

 

 

28.외잎물쑥 (Artemisia selengensis for. subintegra (Pamp.) Kitag.)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길이 2.5-5cm이다. 표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은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선상 피침형으로 되고 윗부분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물쑥과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수과는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1.5mm정도이고 9-10월에 익는다. 

꽃은 8-9월에 연한 황갈색으로 피며 길이 3mm, 지름 2-2.5mm로서 종형이고 원줄기 끝에 엽액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전체가 좁은 원추화서로 된다. 총포는 부분적으로 거미줄같은 털이 덮여 있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로서 길이 1.2mm이고 중편은 넓은 난형, 외편은 긴 타원형이다. 

 

외잎물쑥 (Artemisia selengensis for. subintegra (Pamp.) Kitag.)

 

 

 

 

29.외잎쑥 (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8-10㎝, 나비 16-19㎜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두화는 화경이 거의 없으며 꽃이 필 때는 다소 밑을 향하고 길이 3-3.5mm, 나비 2.5-3㎜로서 긴 타원형이며 원추화서 모양으로 달린다. 총포는 황록색이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끝이 둥글며 중편은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다. 암꽃의 화관은 길이 1mm정도이고 양성화의 화관은 길이 2.3mm정도이다. 

 

외잎쑥 (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

 

 

30.율무쑥 (Artemisia koidzumii Nakai)

중앙부의 잎은 가탁엽(假托葉)이 있고 엽병이 없거나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고 도란형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4.5-18㎝, 나비 3-11mm로서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진다. 열편은 2-3쌍으로서 위를 향하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열편 사이가 보통 좁고 표면에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뒷면에 회백색의 긴 털이 밀생하고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져서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되고 예두로 된다. 

열매는 수과이다. 

두상화는 황백색이고 둥글며 지름 5㎜이고 꽃이 원추화서 모양으로 달린다. 총포에 거미줄같은 털이 밀생하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난형 예두이며 중편은 넓은 난형이고 둔두이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원두이다. 

 

율무쑥 (Artemisia koidzumii Nakai)

 

 

 

31.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잎은 호생하고 쐐기형 또는 도란형이며 길이 3.5-8cm, 나비 0.8-3cm로서 양면에 견모가 드문드문 있고 양쪽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윗부분이 결각상으로 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중앙부의 잎은 여러 가지이지만 길이 4-8cm로서 밑부분에 탁엽이 달려 있는 것같으며 주걱형 비슷한 쐐기형으로서 우시부분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거나 도는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위로 올라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꽃은 7~9월에 피며 길이 2mm, 지름 1.5mm로서 난상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윤채(潤彩)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0.5~3mm이다. 총포는 털이 없고 포편은 4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난형 둔두이고 내편은 타원형 원두로서 모두 뒷면에 능선이 있다. 암꽃은 8~11개이며 양성화는 5~6개이다.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32.좀황해쑥 (Artemisia argyi for. microcephala Pamp.)

출판

l. c. 453 (1930)

참고문헌

1)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좀황해쑥 (Artemisia argyi for. microcephala Pamp.)

 

 

 

 

33.증산쑥 (Artemisia borealis var. ledebouri Besser)

근생엽은 모여나고 경생엽은 호생한다. 근생엽에는 긴 엽병(길이 5~9cm)이 있고 엽병끝에 원형(길이 2~3cm, 너비 2~8cm)의 잎이 붙는다. 잎은 두번 또는 세번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거나 또는 피침형이며 끝부분의 열편이 둥글고 클때도 있으며 엽연에 결각이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약간 연한 녹색이고 털이 없다. 경생엽은 거의 없거나 두세개가 있는데 호생하며 피침형(길이 1.5~3cm, 너비 0.5~1cm)이고 깃모양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한쪽면에 한 두개있다. 잎에는 털이 없다. 

수과는 난형(길이 2mm)이며 털이 없고 암갈색이며 9~10월에 익는다. 관모는 없다. 

꽃은 8~9월경 두상화서를 이루고 피는데 화서는 줄기 중간에서부터 붙어 총상화서 또는 복총상화서 이룬다. 총포는 난형(길이 4~5mm, 직경 2~3mm)이다. 총포편은 3줄이 복와상으로 붙는데 바깥줄의 것들은 짧고 난형(길이 3mm)이며 안쪽줄의 것들은 둥근모양(길이 4~5mm)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총포쪽은 갈색이며 털이 없다. 화서에는 단성화와 양성화가 있다. 화서의 엽연에는 가는 관모양의 암꽃(길이 1mm)이 있고 열매를 맺으며 화관의 끝은 다섯갈래로 얕게 갈라졌다. 양성화의 암술은 주두가 두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의 끝은 잘린 모양이며 털이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맞붙었으며 그 밑부분은 화살모양이다. 

줄기는 곧추 자라거나 때에 따라 밑부분이 약간 눕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거나 흔히 치지 않으며 털은 거의 없다. 줄기 밑부분에서는 흔히 자색을 띤다. 

증산쑥 (Artemisia borealis var. ledebouri Besser)

 

 

34.참쑥 (Artemisia dubia Wall.)

잎은 호생하고 중부의 잎은 2.5~3cm의 엽병을 포함하여 길이 11~14cm, 나비 8cm이며 2회우상으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의 나비 5~7mm이며 표면에 거미줄 같은 털과 많은 흰점이 있고 뒷면은 회백색으로 면모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져 선형으로 된다. 

과실은 수과로 길이 1mm 정도이고 털이 없다. 

꽃은 8∼9월에 연한 갈색으로 피고 좁은 원추화서로 잎과 같이 달리며 두화는 구상 종형으로 나비 3mm이다. 총포는 거미줄 같은 털이 밀생하고 포편은 3~4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길이 1.8~2.5mm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거미줄 같은 털로 덮여 희다. 

 

참쑥 (Artemisia dubia Wall.)

 

 

 

35.큰비쑥 (Artemisia fukudo Makino)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방석처럼 퍼지며 길이 3-13cm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14-21cm로서 2-3회 부채살처럼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 원주이며 나비 2mm정도이다. 밑부분의 잎은 중앙부의 잎과 더불어 꽃이 필 때는 자라지 않고 엽병이 길며 길이 9-12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형태가 서로 비슷하며 윗부분의 잎은 3개로 갈라지거나 선형이고 형태가 서로 비슷하며 윗부분의 잎은 3개로 갈라지거나 선형이고 길이 1-3cm이다. 

꽃은 9월에 피며 두상화로서 길이 3~5mm, 폭 5~7mm이이고 줄기 상부에 원추화서를 이루어 밑을 향해 달리며 황갈색이다. 총포편은 3~4줄로 배열한다. 두상화는 통꽃만으로 이루어지며 둘레에 1줄로 암꽃이, 안쪽에 양성의 통꽃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맺는다. 

높이 30-90cm이고 백록색이 돌며 향기가 있고 원줄기는 곧추자라며 자줏빛이 돌고 처음에는 잎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로 덮여 있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퉁퉁하다. 

 

큰비쑥 (Artemisia fukudo Makino)

 

 

 

36.털비쑥 (Artemisia scoparia for. villosa Korsh.)

이명

Artemisia scoparia for. villosa Korsh.,Artemisia scoparia for. sericea Kom.,Artemisia scoparia var. villosa (Korsh.) A.Frohl. ex Gams

털비쑥 (Artemisia scoparia for. villosa Korsh.)

 

 

 

 

37.털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discolor (Kom.) Kitag.)

잎은 호생하며 난형이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열편은 톱니가 있거나 없고 끝이 뾰족하며 나비 1-1.5m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오목하게 피안 점이 산재하며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이다. 

두화는 원추상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겉은 녹색이고 잔털이 있으며 모든 꽃이 열매를 맺고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안팎에 선점이 있다. 

높이가 70cm에 달하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각이 있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털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discolor (Kom.) Kitag.)

 

 

 

 

38.황해쑥 (Artemisia argyi H.Lev. &Vaniot)

잎은 호생하며 두껍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6-8.5cm 나비 4.5-5cm로서 가탁엽(假托葉)이 있거나 없으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2쌍이며 우상으로 다시 갈라지고 둔두로서 표면에 백색 점이 많으며 뒷면은 백색 면모로 덮여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아져서 3개로 갈라지거나 밋밋하고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엽병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3mm, 지름 2-2.5mm로서 꽃이 피기 전에 밑으로 처졌다가 서며 두상화서가 줄기와 가지끝에 원추상으로 배열된다. 두상화서에는 10여개 꽃이 있고 가장자리꽃은 암꽃으로서 길이 1mm가량의 통꽃이며 자홍색이고 중앙에 양성화가 있다. 총포에 털이 많고 포편은 4-5줄로 배열되며 외편은 길이 2mm정도로서 난형이고 중편은 긴 타원형이며 내편은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다. 화상(花床)은 반구형이고 털이 없다. 

 

황해쑥 (Artemisia argyi H.Lev. &Vaniot)

 

 

 

 

39.흰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vestita (Kom.) Kitag.)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짧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열편은 톱니가 있거나 없고 끝이 뾰족하며 나비 1-1.5mm로서 양면에 면모가 밀생한다. 

두화는 원추상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2줄로 배열되며 겉은 녹색이고 백색 털로 덮여 있으며 모든꽃이 열매를 맺고 화관은 종상 원통형으로서 안팎에 선점이 있다. 

높이가 70cm에 달하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각이 있고 원줄기가 백색의 털로 덮여 있다. 

황해도 이북에서 자란다.

 

흰산쑥 (Artemisia freyniana for. vestita (Kom.) Kitag.)

 

 

 

 

40.흰쑥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꽃이 없는 줄기의 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30mm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3-7㎝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쌍으로서 끝이 둔하며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면모가 있으며 밑부분이털로 두껍게 덮여 있고 꽃이 달려 있는 가지 중앙부의 잎은 길이 3-9cm, 나비 2-5cm이다. 

수과는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양끝이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다소 굽는다. 

꽃은 7-9월에 피며 두상화는 황갈색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처지며 좁은 원추형으로 배열되고 길이 7mm, 나비 7-10㎜로서 처음에는 화경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의 화경은 길이 1-7mm이다. 총포는 털로 두껍게 덮여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높이 20-65cm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가지와 더불어 끝이 처지며 털로 두껍게 덮여 있다. 

 

흰쑥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학명: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1 개요

한국, 일본, 중국등의 초목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다년생 식물.100g당 18kcal의 열량을 가진다. 60Cm에서 최대 1.2m까지도 자라며, 아르테미시아속에 속한 식물 중 쑥과 겉모습이 비슷한 것은 모두 쑥이라고 한. 그래서 쑥의 종류는 엄청나게 많다. 게다가 우장춘박사가 발견한 동속교배와 같은 현상에 의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 중 에 사용되는 쑥을 '참쑥'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그 외에 예로부터 황달에 사용한 인진호라는 품종도 있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이름처럼 쑥쑥 잘 자라며 생명력도 강해서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식용, 약용으로 널리 쓰이며, 고대부터 서민에게 가장 대중적인 약초역할을 하였다. 약간 쓴 독특한 향과 맛이 나고, 5월에 수확한 어린 쑥순이 가장 맛과 향이 우수하다고 한다. 여름을 지나 가을까지도 무성하게 자라긴 하는데, 이 때까지 오면 너무 억센데다 향도 지나치게 진해져서 음식으로 먹기는 좀 그렇다.

 

어린 순으로는 된장국에 넣거나, 을 만드는데 썼고, 말려서 뜸을 뜨는데 사용하기도 하고, 태워서 모기를 쫓는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산에서 상처가 났을 때 근처의 쑥을 찧어 상처에 발라 초기 감염을 막는 민간요법도 있다. 어떤 의미로 식물계의 완전체로, 한국인의 생활 곳곳에 밀접한 식물이다. 다만 꽃가루를 날리는 식물인 것이 흠이다.

그 유명한 체르노빌 참사의 체르노빌은 현지어로 쑥을 뜻한다. 쑥이 많이 자라는 지역이라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그리고 쑥대밭이 되었습니다 참사가 일어나면서 종말론자들이 요한묵시록이 실현된 거라며 신나게 떡밥으로 우려먹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시미즈 레이코의 달의 아이도 이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

 

2 대중매체에서의 쑥

단군신화에 따르면, 마늘과 함께 이나 호랑이에게 백 일을 먹이면 인간이 된다. 다만 백일은 멘탈 테스트인지 (...) 단순히 명령을 그렇게 한 거고, 실제로는 21일(삼칠일) 만에 곰이 미녀가 되어 나타난다(!).

 

흔히 초토화된 상황에 '쑥밭이 되었다'는 말을 쓰는데 그 이유중 하나가 초토화가 된 곳에서 가장 먼저 나는 것이 쑥이기 때문이라 한다.[1] 때문에 윌리엄 테쿰세 셔먼이나 B-29 등 초토화에 발군의 능력을 보여 주는 이들이나 물건들을 가리켜 쑥을 재배하고 다닌다고 비꼬기도 한다. 다른 바리에이션으로 갈대를 포함하여 비슷한 상황을 '쑥대밭'이라고도 한다.[2]

 

지랄견을 키우거나, 사촌 동생이 왔다가면 집 안에 순식간에 이것의 밭이 펼쳐지는 장관을 볼 수 있다.(…)

 

3 이하 동음이의어

레인보우(아이돌) 멤버인 김지숙의 외글자 애칭.

[1] 한 예로 히로시마원자폭탄이 터졌을 때 가장 먼저 자생한 것이 쑥이었다고 한다.

[2] 갈대 역시 매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이다.

출처: 엔하위키 미러

원문; http://mirror.enha.kr/wiki/%EC%91%A5

 

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 Hance ex Walp.)의 꽃

 

 

쑥속의 종

Selected species[edit]

 

Artemisia abrotanum L.–southernwood, southern wormwood, slovenwood, abrotanum, old-man, lad's loveArtemisia absinthium L.–grand wormwood, absinthium

 

Artemisia adamsii Besser

Artemisia afra Jacq. ex Willd.–African wormwood, African sagebrush

Artemisia alaskana Rydb.–Alaska wormwood

Artemisia alcockii Pamp.

Artemisia aleutica Hultén–Aleutian wormwood

Artemisia amoena Poljakov

Artemisia annua L.–annual wormwood, sweet sagewort, sweet Annie

Artemisia araxina Takht.

Artemisia arborescens–tree wormwood

Artemisia arbuscula Nutt.–little sagebrush, low Sagebrush, black sage

Artemisia arctica Less.–boreal sagebrush

Artemisia arctisibirica Korobkov

Artemisia arenaria DC.

Artemisia arenicol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argentata Klokov

Artemisia argentea L'Hér.–Madeira wormwood

Artemisia argyi H.Lév. &Vaniot–Chinese mugwort

Artemisia argyrophylla Ledeb.

Artemisia armeniaca Lam.

Artemisia aschurbajewii C.G.Aro

Artemisia australis Less.–ʻĀhinahina, Oʻahu wormwood[10]

Artemisia austriaca Jacq.

Artemisia avarica Minat.

Artemisia badhysi Krasch. &Lincz. ex Poljakov

Artemisia balchanorum Krasch.

Artemisia baldshuanica Krasch. &Zaprjag.

Artemisia bargusinensis Spreng.

Artemisia bejdemaniae Leonova

Artemisia biennis Willd.–biennial sagewort, biennial wormwood

Artemisia bigelovii A.Gray–Bigelow sage, Bigelow sagebrush

Artemisia borealis Pall.

Artemisia borotalensis Poljakov

Artemisia bottnica Lundstr. ex Kindb.

Artemisia caespitosa Ledeb.

Artemisia californica Less.–coastal sagebrush, California sagebrush

Artemisia camelorum Krasch.

Artemisia campestris L.–field wormwood, sand wormwood

Artemisia camphorata Vill.

Artemisia cana Pursh–silver sagebrushArtemisia canadensis Michx.–Canada wormwood

Artemisia capillaris Thunb.–capillary wormwood, yin-chen wormwood

Artemisia carruthii Wood ex Carruth.–Carruth sagewort, Carruth's sagebrush

Artemisia caruifolia Buch.-Ham. ex Roxb.

Artemisia caucasica Willd.

Artemisia chamaemelifolia Vill.

Artemisia cina O.Berg &C.F.Schmidt–santonica, Levant wormseed

Artemisia ciniformis Krasch. &Popov ex Poljakov

Artemisia commutata Besser

Artemisia compacta Fisch. ex DC.

Artemisia cuspidata Krasch.

Artemisia czukavinae Filatova

Artemisia daghestanica Krasch. &Poretzky

Artemisia demissa Krasch.

Artemisia depauperata Krasch.

Artemisia deserti Krasch.

Artemisia desertorum Spreng.

Artemisia diffus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dimoana Popov

Artemisia dolosa Krasch.

Artemisia douglasiana Bess.–Douglas' mugwort, Douglas' sagewort, northwest mugwort

Artemisia dracunculus L.–tarragon, silky wormwoodArtemisia dubia Wall.

Artemisia dubjanskyan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dumosa Poljakov

Artemisia elongata Filatova &Ladygina

Artemisia eremophila Krasch. &Butkov ex Poljakov

Artemisia eriantha Ten.

Artemisia feddei H.Lév. &Vaniot

Artemisia fedtschenkoana Krasch.

Artemisia ferganensis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filifolia Torr.–sand sagebrush, sand-sage, silvery wormwood

Artemisia flava Jurtzev

Artemisia franserioides Greene–ragweed sagebrush

Artemisia freyniana (Pamp.) Krasch.

Artemisia frigida Willd.–fringed sagebrush, fringed-sage, prairie sagewort, estafiata

Artemisia fulvella Filatova &Ladygina

Artemisia furcata Bieb.–forked wormwood

Artemisia galinae Ikonn.

Artemisia genipi Weber ex Stechm.

Artemisia glabella Kar. &Kir.

Artemisia glacialis L.–glacier wormwood, alpine mugwort

Artemisia glanduliger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glauca Pall. ex Willd.

Artemisia glaucin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globosa Krasch.

Artemisia globularia Cham. ex Bess.–purple wormwood

Artemisia glomerata Ledeb.–cudweed sagewort, Pacific alpine wormwood

Artemisia gmelinii Webb ex Stechmann–Gmelin's wormwood, Russian wormwood

Artemisia gnaphalodes Nutt.

Artemisia gorjaevii Poljakov

Artemisia gracilescens Krasch. &Iljin

Artemisia granatensis Boiss. ex DC.

Artemisia gurganica (Krasch.) Filatova

Artemisia gypsacea Krasch., Popov &Lincz. ex Poljakov

Artemisia halodendron Turcz. ex Besser

Artemisia halophila Krasch.

Artemisia heptapotamica Poljakov

Artemisia herba-alba Asso–white wormwood

Artemisia hippolyti Butkov

Artemisia hololeuca M.Bieb. ex Besser

Artemisia hulteniana Vorosch.

Artemisia incana (L.) Druce

Artemisia indica Willd.–yomogi

Artemisia insulana Krasch.

Artemisia insularis Kitam.

Artemisia integrifolia L.

Artemisia issykkulensis Poljakov

Artemisia jacutica Drobow

Artemisia japonica Thunb.–otoko yomogi

Artemisia juncea Kar. &Kir.

Artemisia karatavica Krasch. &Abolin ex Poljakov

Artemisia karavajevii Leonova

Artemisia kaschgarica Krasch.

Artemisia kauaiensis (Skottsberg) Skottsberg–ʻĀhinahina, Kauaʻi wormwood

Artemisia keiskeana Miq.

Artemisia kelleri Krasch.

Artemisia kemrudica Krasch.

Artemisia knorringiana Krasch.

Artemisia kochiiformis Krasch. &Lincz. ex Poljakov

Artemisia koidzumii Nakai

Artemisia kopetdaghensis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korovinii Poljakov

Artemisia korshinskyi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krushiana Bess.–Krush's wormwood

Artemisia kulbadica Boiss. &Buhse

Artemisia kuschakewiczii C.G.A.Winkl.

Artemisia laciniata Willd.–Siberian wormwood

Artemisia laciniatiformis Kom.

Artemisia lactiflora Kom.–white mugwort

Artemisia lagocephala (Besser) DC.

Artemisia lagopus Fisch. ex Besser

Artemisia lanata Willd.

Artemisia latifolia Ledeb.

Artemisia ledebouriana Besser

Artemisia lehmanniana Bunge

Artemisia leontopodioides Fisch. ex Besser

Artemisia lessingiana Besser

Artemisia leucodes Schrenk

Artemisia leucophylla (Turcz. ex Besser) Pamp.

Artemisia leucotricha Krasch. ex Ladygina

Artemisia lindleyana Bess.–Columbia River wormwood

Artemisia lipskyi PoljakovArtemisia littoricola Kitam.

Artemisia longifolia Nutt.–longleaf sagebrush, longleaf wormwood

Artemisia ludoviciana Nutt.–gray sagewort, prairie sage, white sagebrush, Louisiana-sage, western-sage

Artemisia macilenta (Maxim.) Krasch.

Artemisia macrantha Ledeb.

Artemisia macrobotrys Ledeb.–Yukon wormwood

Artemisia macrocephala Jacq. ex Besser

Artemisia macrorhiza Turcz.

Artemisia maracandica Bunge

Artemisia maritima L.–sea wormwood, absinthe de mer

Artemisia marschalliana Spreng.

Artemisia martjanovii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mauiensis (A.Gray) Skottsberg–ʻ

Āhinahina, Maui wormwood

Artemisia maximoviczian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medioxim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messerschmidtiana Besser

Artemisia michauxiana Bess.–Michaux sagebrush, Michaux's wormwood, lemon sagewort

Artemisia minor Jacq. ex Besser

Artemisia mogoltavica Poljakov

Artemisia mongolica (Besser) Fisch. ex Nakai

Artemisia mongolorum Krasch.

Artemisia montana (Nakai) Pamp.

Artemisia mucronulata Poljakov

Artemisia multisecta Leonova

Artemisia mutellina Vill.

Artemisia nachitschevanica Rzazade

Artemisia nakaii Pamp.

Artemisia namanganica Poljakov

Artemisia nana Gaudin

Artemisia negrei Ouyahya

Artemisia nesiotica Raven–island sagebrush

Artemisia nigricans Filatova &Ladygina

Artemisia niitakayamensis Hayata

Artemisia nilagirica (C.B.Clarke) Pamp.

Artemisia nitida Bertol.

Artemisia nortonii Pamp.

Artemisia norvegica Fr.–Norwegian mugwort, alpine sagewort

Artemisia nova A.Nels.–black sagebrush, small sagebrush

Artemisia nuristanica Kitam.

Artemisia obscura Pamp.

Artemisia obtusa Rydb.

Artemisia obtusiloba Ledeb.

Artemisia occidentalisichuanensis Y.R.Ling &S.Y.Zhao

Artemisia occidentalisinensis Y.R.Ling

Artemisia oelandica (Besser) Krasch.

Artemisia olchonensis Leonova

Artemisia oliveriana J.Gay ex Besser

Artemisia ordosica Krasch.

Artemisia orientalixizangensis Y.R.Ling &Humphries

Artemisia orientaliyunnanensis Y.R.Ling

Artemisia orthobotrys Kitag.

Artemisia packardiae J.Grimes &Ertter–Packard's wormwood, Succor Creek sagebrush

Artemisia pallasiana Fisch. ex Besser

Artemisia palmeri A.Gray–San Diego sagewort

Artemisia palustris L.

Artemisia pannosa Krasch.

Artemisia papposa S.F.Blake &Cronq.–Owyhee sage, Owyhee sagebrush

Artemisia parryi A.Gray–Parry's wormwood

Artemisia pattersonii A.Gray–Patterson's wormwood

Artemisia pectinata Pall.

Artemisia pedatifida Nutt.–birdfoot sagebrush, matted sagewort

Artemisia pedemontana Balb.

Artemisia persica Boiss.

Artemisia pewzowii C.G.A.Winkl.

Artemisia phaeolepis Krasch.

Artemisia polysticha Poljakov

Artemisia pontica L.–Roman wormwood, green-ginger

Artemisia porrect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porteri Cronq.–Porter's wormwood, Porter mugwort

Artemisia prasina Krasch. ex Poljak.

Artemisia princeps Pamp.–Japanese mugwort, yomogi

Artemisia proceriformis Krasch.

Artemisia prolixa Krasch. ex Poljak.

Artemisia punctiger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purshiana Besser

Artemisia pycnocephala (Less.) DC.–beach wormwood, coastal sagewort

Artemisia pycnorhiza Ledeb.

Artemisia pygmaea A.Gray–pygmy sagebrush

Artemisia quinqueloba Trautv.

Artemisia remotilob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rhodantha Rupr.

Artemisia rigida (Nutt.) A.Gray–scabland sagebrush

Artemisia rothrockii A.Gray–timberline sagebrush

Artemisia roxburghiana Wall. ex Besser

Artemisia rubripes Nakai

Artemisia rupestris L.–rock wormwood

Artemisia rutifolia Stephan ex Spreng.

Artemisia sacrorum Ledeb. ex Hook.f.

Artemisia saissanica (Krasch.) Filatova

Artemisia saitoana Kitam.

Artemisia salsoloides Willd.Artemisia samoiedorum Pamp.

Artemisia santolina Schrenk

Artemisia santolinifolia Turcz. ex Besser

Artemisia santonica L.

Artemisia saposhnikovii Krasch. ex Poljak.

Artemisia schischkinii Krasch.

Artemisia schmidtiana–angel's hair

Artemisia schrenkiana Ledeb.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redstem wormwood, yin-chen wormwood

Artemisia scopiformis Ledeb.

Artemisia scopulorum A.Gray–alpine sagebrush, dwarf sagebrush

Artemisia scotina Nevski

Artemisia senjavinensis Bess.–arctic wormwood

Artemisia semiarida (Krasch. &Lavrenko) Filatova

Artemisia senjavinensis Besser

Artemisia sericea Weber ex Stechm.

Artemisia serotina Bunge

Artemisia serrata Nutt.–sawtooth wormwood

Artemisia sieversiana Willd.–sieversian wormwood

Artemisia skorniakowii C.G.A.Winkl.

Artemisia sogdiana Bunge

Artemisia songarica Schrenk

Artemisia spicigera K.Koch

Artemisia spinescens D.C.Eaton–budsage   [syn. Picrothamnus desertorum]

Artemisia splendens Willd.

Artemisia stelleriana Bess.–hoary mugwort, oldwoman, Dusty Miller, beach wormwood

Artemisia stenocephala Krasch. ex Poljak.

Artemisia stenophylla Kitam.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Artemisia subarctica Krasch.

Artemisia subchrysolepis Filatova

Artemisia sublessingiana Krasch. ex Poljakov

Artemisia subsalsa Filatova

Artemisia subviscosa Turcz. ex Besser

Artemisia succulenta Ledeb.

Artemisia suksdorfii Piper–coastal wormwood, Suksdorf sagewort

Artemisia sylvatica Maxim.

Artemisia szowitziana (Besser) Grossh.

Artemisia tanacetifolia L.

Artemisia taurica Willd.–Tauric wormwood

Artemisia tenuisecta Nevski

Artemisia terrae-albae Krasch.

Artemisia tianschanica Krasch. ex Poljak.

Artemisia tilesii Ledeb.–Tilesius' wormwood, Aleutian mugwort

Artemisia tomentella Trautv.

Artemisia tournefortiana Rchb.

Artemisia transbaicalensis Leonova

Artemisia transiliensis Poljakov

Artemisia trautvetteriana Besser

Artemisia tridentata Nutt.–big sagebrush, blue sage, black sage, basin sagebrush, common sagebrush

Artemisia triniana Besser

Artemisia tripartita Rydb.–threetip sagebrush

Artemisia turanica Krasch.

Artemisia turcomanica Gand.

Artemisia umbelliformis Lam.–

Alps wormwood, alpine wormwood

Artemisia unalaskensis Rydb.

Artemisia underwoodii Rydb.

Artemisia uralensis Spreng. ex Besser

Artemisia uraorum Hultén

Artemisia uzbekistanica Poljakov

Artemisia vachanica Krasch. ex Poljak.

Artemisia valida Krasch. ex Poljak.

Artemisia verlotiorum Lamotte–Chinese wormwood

Artemisia viridis Willd.

Artemisia vulgaris L.–mugwort, felonherb, green-ginger, common wormwood

Artemisia wallichiana Besser

Artemisia waltonii J.R.Drumm. ex Pamp.

Artemisia wudanica Liou &W.Wang

Artemisia wulingshanensis Bar. &Skv. ex Liou

Artemisia wurzellii C.M.James &Stace

Artemisia xerophila Magnier

Artemisia xerophytica Krasch.

Artemisia xylorhiza Krasch. ex Filatova

Artemisia yadongensis Ling &Y.R.Ling

Artemisia yongii Y.R.Ling

Artemisia younghusbandii J.R.Drumm. ex Pamp.

Artemisia zayuensis Y.R.Ling

Artemisia zhaodongensis G.Y.Chang &M.Y.Liou

Artemisia zhongdianensis Y.R.Ling

Artemisia zollingeriana Sch.Bip.[11]

 

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벽사의 힘을 갖춘 신령한 약초 - 쑥(艾葉, 茵蔯)

 

학명: Artemisia rubripes Nakai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의 여러해살이풀 혹은 갈잎떨기나무

 

국민약초 『쑥』은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쑥쑥 잘도 자란다.

하도 흔하고 뿌리도 깊어서 농부들에겐 귀찮은 존재일지 모르지만 단군신화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삶에 가장 익숙하게 뿌리를 내린 향미로운 음식이며 약초임에 틀림없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종인 쑥을 비롯하여 뺑쑥, 제비쑥, 맑은대쑥, 율무쑥 등 약 25종이 분포하는데, 학명과 약명과 속명이 뒤섞이고 그 효용에 따른 세간의 주장도 분분한 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이 다양하고 무던한 『쑥』은 기본적으로 따뜻한 성질과 찬 성질로 구별하여 보는 것이 좋다.

가령 항암효과가 높다하여 근래 유명해진 개똥쑥(黃花蒿:황화호)은 성질이 찬 반면 참쑥은 따뜻하여 다르다. 그러므로 황해쑥,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참쑥, 산쑥 등은 약명으로「애엽(艾葉)」이라 하여 따뜻함을 바탕으로 쓰고,「인진(茵蔯)」은 서늘한 성질의 더위지기, 사철쑥, 비쑥 등을 말려 그에 합당하게 적용한다. 흔히 쑥이름을 놓고 논란을 벌이는 것은인진이다.

 

인진의 이름이 들어가는 식물은 그러나 두 가지 뿐이다.

강이나 바닷가의 모래땅과 산기슭에서 자라는 인진호(茵蔯蒿)라는 약명의 사철쑥(학명: Artemisia capillaris Thunb.)과 전국 어디서나 자라는 한인진(韓茵蔯)이라는 약명의 더위지기(학명: Artemisia iwayomogi)가 그것이다. 사철쑥은 재배가 어렵고 자생물량이 적어 품종이 유사한 더위지기를 사용하는데서 빚어진 오해로 우리가 약재로 사서 쓰는 인진()’은 대부분 더위지기(한인진)이다.

 

「인진」이란 <本草拾遺>이것은 비록 쑥의 종류이지만 겨울 동안에 죽지 않고 다시 오래된 싹이 살아나므로, 인진이라 이름하였으며 후세에 호자(蒿字)를 더해 주었을 따름이다라고 하였다.

인진(= 因緣, 즉 지난 해 묵은 싹눈을 인연으로 다시 성장한다는 뜻)은 겨울에도 하부가 목질화(갈잎떨기나무) 되어 살아남았다가 봄에 새로 싹이 돋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애엽(艾葉)」의 애()에는 질병을 칼로 벤다.’는 뜻이 들어있다.

백병(百病)에 뜸을 떠서 병을 징계한다.’는 의미다. 또한 뜸의 주재료가 되므로 구초(灸草)라고도 부른다. 애엽의 하나인 사자발쑥은 원래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기록된 강화특산의 사자족애(獅子足艾)’에서 유래하여 1995년 강화군농업기술센터에서 품종을 개발하면서 붙인 새 명칭이다. 역시 강화에서 나는 싸주아리쑥을 포함하여강화약쑥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애엽」과 「인진」은 둘 다 맵고 쓴맛이 있지만, 애엽은 온경지혈약(溫經止血藥)으로 간과 비와 신경으로 들어가고, 인진은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으로서 비, , 방광경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애엽은 따뜻한 기미를 바탕으로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조절하고 습을 제거하므로 자궁이 차서 잉태하지 못하는 것이나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출혈이나 냉증, 생리불순, 습진과 피부가려움증에 사용한다. 사철쑥(인진호)과 더위지기(한인진)는 반대로 습열(濕熱)을 내리고 소변을 순조롭게 하여 황달을 치유하는데 쓰는 요약이다.(습열이 없는 허증성 황달엔 쓰지 않는다.) 따라서 인진은 약리적으로 간 기능을 보호하고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며, 심혈관에 작용하여 동맥벽의 경화를 감소하고 혈압하강을 돕는 치료 결과를 낸다.

 

이렇게 쑥을 둘로 나누어보니 하나는 몸을 따뜻하게 하여 산한(散寒)하고 지혈(止血)한다면 다른 하나는 서늘히 하강(下降)하고 이수(利水)하게 하므로 두 약재의 적용은 반드시 차별이 필요하다.

인간이 눈으로 구별하여 자신의 몸에 두 가지를 가려 적용할 때까지 우리 벽사의 신령한 힘을 갖춘단군의 쑥은 서로 어슷비슷한 얼굴의 헛갈리는 모습으로 서서 엄히 우리 주변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출처: 전님들껓 연구회 /김진수님/http://cafe.daum.net/ya2004/19Bu/291

 

갯제비쑥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동양의 신비로운 약초이야기(13) 쑥

출처< 식품저널  |  foodinfo@foodnews.co.kr

원문: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86

 

동양의 전통약초는 세계 천연물의약 원료시장에서 6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의 전통 약초자원은 생약의 원료를 넘어 기능성식품, 천연물의약품, 생활소재 등의 새로운 미래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는 블루오션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박충범 박사, 박춘근 박사, 안영섭 박사, 김영국 박사, 우종규 박사, 강용구 연구사, 안태진 연구사, 한신희 박사, 최애진 박사, 이수환 연구사, 허목 연구사, 이정훈 박사 등 12명의 연구자들이 정리한 동양의 신비를 간직한 쓰임새 많은 약초 20종을 매주 소개한다.

 

민족설화의 기원, 쑥

 

화타선생도 몰랐던 황달 치료제, 쑥

중국의 어느 지방에 얼굴색은 마치 생강같이 노랗고, 눈은 쑥 들어가고, 비쩍 마른 한 병자가 있었다. 그가 지팡이를 짚은 채로 힘들게 명의 화타를 찾아왔다.

“의원님, 제 병을 좀 고쳐 주십시오.”

화타가 보니 그가 황달에 걸려 있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다.

“황달을 치료할 수 있는 의원은 한 분도 없습니다. 저도 방법이 없군요.”

병자는 화타마저도 치료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서 대단히 실망하여 무거운 발걸음을 돌렸다. 그렇게 아무런 방도도 찾지 못하고 죽기만을 기다린 채 반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화타는 길을 가다가 우연히 황달에 걸렸던 병자를 다시 만났다. 그런데 그 병자는 오히려 얼굴색이 전보다 좋아지고 병도 나은 것 같았다. 화타는 깜짝 놀라 물었다.

“당신의 병을 어느 의원이 치료했습니까? 그에게 가서 저도 의술을 더 배워야겠습니다.” “전에 선생님을 뵌 후로는 의원에게 찾아간 적이 없습니다. 자연적으로 나았습니다.”

 

화타는 믿지 못하는 얼굴로 다시 물었다.

“그러면 어떤 약을 먹었습니까?” “아무런 약도 먹지 않았습니다.”

 

화타는 머리를 갸웃거리며 생각했다. 그러자 그가 말을 이었다.

“초봄에 양식이 떨어져 산에 있는 풀을 뜯어 먹으며 살았지요.”

“맞아! 바로 그거야! 풀에는 약 성분이 들어 있어서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병이 치료된 거요. 저에게 알려 주시겠습니까? 당신이 어떤 풀을 먹었고, 또 얼마나 먹었는지.” “이름은 모르지만, 대충 한 달 가까이 먹었습니다.”

 

화타는 그가 도대체 어떤 풀을 먹었는지 알고 싶어 그와 동행하여 산에 올라 보니 그 풀이 바로 쑥이었다. 화타는 그 쑥을 캐다가 황달에 걸린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그러나 병이 나아지는 기색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화타는 그 황달환자가 약초를 잘못 알려준 것이 아닌가 싶어 다시 그를 방문했다.

“당신이 정말 이 쑥을 먹었습니까?” “맞아요! 바로 이 풀이예요. 틀림없어요.”

그 사람이 확신하며 말했다.

 

화타는 잠시 생각하다가 다시 물었다.

“당신이 언제 쑥을 먹었지요” “음력 3월경이지요.” “그렇군! 춘삼월에는 만물이 생기를 충만하게 받지. 맞아! 3월의 쑥이 효과가 있는 거야.”

 

이듬해 춘삼월, 화타는 쑥을 뜯어 황달환자에게 복용시켰다. 그러자 환자의 병 상태가 점점 호전되었다. 화타는 황달에 쑥이 효과를 보여 기쁘긴 했지만 한가지 의구심이 남았다.

‘왜 봄이 지난 쑥은 아무런 효과를 보이지 않았던 것일까’

 

화타는 쑥의 약효를 조사하기 위하여 매년 시험을 해보았다. 달 마다 채집한 쑥의 뿌리, 줄기, 잎을 구분하여 보관하고 환자에게 복용시켰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야 쑥 새싹의 잎과 줄기가 황달을 치료하는 약이 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단군신화에도 등장한 토종약초, 쑥

한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마늘과 쑥 이야기를 알고 있을 것이다. 쑥은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민족이 식용으로 이용해 온 식물이다.

그래서인지 쑥의 종류는 무려 40종에 이르고 생김새 또한 매우 다양하다.

참쑥, 비쑥, 물쑥, 넓은잎외잎쑥, 사철쑥, 제비쑥, 가는잎쑥, 그늘쑥, 구와쑥, 개똥쑥, 개사철쑥 등 쑥은 독특한 이름을 지니고 있다.

 

이토록 우리에게 친숙한‘쑥’은 어떤 효능이 있을까?

쑥은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두통의 최대의 적인 습관성 설사를 개선해주고, 가볍게 달인 쑥 차는 변비에 효과적이다. 흔히 배가 찬 사람들에게 유용한 풀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쑥은 여성의 자궁을 따뜻하게 하고 자궁의 출혈 및 보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단군신화에서 곰이 쑥을 먹고 웅녀가 됐다는 것도 쑥과 여성 건강 간의 깊은 관련성을 보여준다.

남성들에게는 잦은 술자리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간염성 식욕부진과 피로감, 간 기능 저하의 해소를 도와 체력을 개선해준다. 이처럼 쑥은 사람을 더욱 사람답게 만드는 명약이 아닐 수 없다. 쑥에는 비타민A, B₁, B₂, C와 철분, 칼슘, 칼륨, 인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쑥의 독특한 향기는 치네올이란 정유(精油) 성분 때문에 난다. 한방에서는 쑥을‘애엽(艾곸)’이라 부르고 있으며, 맛이 쓰면서 맵고, 성질이 따뜻해 신장과 간장 등 장기 기능 강화에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유파틸린, 자세오시딘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지면서 암 예방, 노화지연, 아토피 치료 등 다양한 효능을 평가받고 있다.

 

이외에도 쑥은 달여서 먹는 것뿐만 아니라 외용적으로 바를 수도 있다. 벌레 물림, 베인 상처에는 어린잎을 잘 비벼 즙을 내어 환부에 바르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습진, 가려움증, 여드름, 땀띠에 말린 쑥을 가루로 빻아 현미 식초에 개어 상처에 발라주면 좋다.

 

이 밖에도 말린 쑥을 자루에 넣어 욕조에 띄워 목욕을 하면 땀띠나 풀에 긁혀 부푼 데에 좋고, 어깨 결림, 요통, 신경통, 류마티즘 등의 통증을 덜어주며 손발이 찬데도 효과가 있다.

 

봄의 향기를 느끼게 하는 봄나물로 흔히들 냉이와 달래를 들겠지만 가장 으뜸으로 칠 수 있는 것은 바로 쑥이다. 쑥은 다른 봄나물보다 향이 진해서 어린 쑥잎을 나물로 먹으면 입안에 봄향기가 가득하다. 이처럼 쑥은 식품으로써도 탁월하다. 특히 된장을 풀어 냉이와 쑥을 넣은 쑥국은 겨울철 떨어진 입맛을 돋우며 나른한 봄철에 향긋한 쑥의 향은 생활에 활기를 불어넣어 준다.

또한, 쑥과 쌀을 이용해 만든 쑥떡은 쌀에 부족한 칼슘을 쑥이 보완해줘 환상의 음식 궁합을 만들어낸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쑥머핀을 만들어서 먹여도 영양 만점인 퓨전 식품이 된다.

 

 

새로운 가치창조, 손쉬운 재배기술

쑥은 예로부터 한방의 중요한 약재로 우리 민족의 건강을 지키는 파수꾼의 역할에서 오늘날에는 다양한 산업제품으로까지 새로운 자원의 소재 가치로 급부상하고 있다.

 

쑥의 산업제품은 살충효과에서도 탁월하여 쑥이불, 쑥베게, 비누, 향수, 한방샴푸 등 생활소재부터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된다. 신소재 산업제품으로 탁월한 전망을 가지고 있는 쑥은 미래성장동력원으로서 어디 하나 버릴데가 없는 약초이다.

쑥은 이른 봄, 싹이 돋아날 때부터 늦가을 서리가 내릴 무렵까지 생육시기가 매우 길다. 쑥은 줄기에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빽빽이 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싹이 나와 군락을 이룬다.

 

상품 쑥의 채취는 음력 5월 단오 무렵이 좋다. 단오 이전의 쑥은 약성이 모자란다. 단오 무렵에 채취해서 비와 이슬을 맞히지 않고 그늘에서 말리되 절대로 곰팡이가 피지 않게 말려야 한다. 작은 다발로 엮어서 처마 밑에 성글게 잎 부분을 아래쪽으로 가게 하여 걸어서 말리면 된다.

 

건조할 때는 완전히 바삭바삭하게 말리지 말고 수분이 약간 남아 있게 말려서 한지처럼 통풍이 잘되는 종이로 싼 뒤 무거운 것으로 눌러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두고 보관한다. 수분이 약간 남아 있어야 쑥이 미생물로 인해 천천히 발효된다.

칠년 묵은 병에 삼년 묵은 쑥을 구한다는 맹자의 기록대로 쑥은 3년 이상 묵은 것일수록 효과가 좋고 독이 없다. 이렇게 잘 말려서 3년이 지난 쑥은 천금보다 더 높은 가치가 있다.

자료 제공 :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Maxim.) Kom. for. stolonifera)

 

 

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약쑥 - 약쑥(애엽(艾葉))에 대하여 | 식물도감(植物圖鑑)

쑥의 효능(모든 풀의 왕초 쑥의 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풀과 개똥쑥의 구별 포인트  (0) 2014.08.12
개똥쑥  (0) 2014.08.12
돼지풀  (0) 2014.08.11
단풍잎돼지풀  (0) 2014.08.09
돼지풀속  (0) 2014.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