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께묵속

호남인1 2014. 8. 14. 08:50

 

 

 

 

 

께묵속

Hololeion

 

 

 

 

 

 

생물분류

: 식물계(Plantae)

: 속씨식물(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국화목(Asterales)

; 국화과(Asteraceae)

: 께묵속(Hololeion)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 께묵속

 

께묵속(Hololeion)은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동아시아에 3종이 분포한다.

우리 나라에는 1종 1변종이 분포,서식하고 있다.

=============================================================================================================================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

께묵속

Hololeion Kitam. 日 : Suiran Zoku

 

동아시아에 3종, 우리 나라에는 1종. 다년초.

 

거의 털이 없으며, 포복지를 내고 잎은 좁은 피침형. 호생.

두상화서는 개화시 곧게 섬.

총포는 원기둥 모양. 길게 신장되고, 포는 초질(草質). 안쪽 포는 거의 크기가 같고, 바깥쪽 포는 차츰 짧아짐.

화상(花床)에 비늘 조각이 없고, 화관은 모두 설상화. 노란색. 절두형. 톱니는 5개.

화관통은 화관 갈래보다 짧음.

수과는 선상 긴 타원형. 길이 6-9mm. 네모지고, 절두형.

관모는 1줄. 거의 길이가 같고, 영존하거나 탈락. 미세하게 꺼칠꺼칠함.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

국내서식 께묵속 (Hololeion) 2종 바로가기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좀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var. fauriei (H.Lev. &Vaniot) Kitam.)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의 열매

 

 

 

 

 

 

=============================================================================================================================

한국서식 께묵속 (Hololeion) 2종 특징 비교

 

 

 

1.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폭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 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원주형이며 4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며 9월에 익는다.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3mm, 폭 8-10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2-4mm로서 난형이며 둔두이고 끝에 적자색이 돌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중편과 내편은 선상피침형으로서 길이 4-6mm이며 둔두 또는 첨두이고 털이 약간 있다. 꽃은 모두 설상화로서 화관은 황색이고 길이 20mm, 폭 3mm이며 끝이 5쪽이다.

높이 50-100cm이며 줄기는 곧게서고 홈줄이 있으며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경이 포복한다.

 

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2. 좀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var. fauriei (H.Lev. &Vaniot) Kitam.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나비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 돈다.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길이 10mm이고 외편은 길이 1.5mm, 내편은 길이 2mm이며 설상화관의 나비가 4mm이다. 화관은 황색이다.

높이 50-100cm이다.

 

좀께묵 (Hololeion maximowiczii var. fauriei (H.Lev. &Vaniot) Kitam.)

 

 

=============================================================================================================================

(#표: 께묵/좀께묵의 비교

구분

 

께묵

 

 

좀께묵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13mm, 폭 8-10mm이며

                      ( 좀께묵 보다 +3.0mm 더 김 )

 ✿-.외편은 길이 2~4mm( 좀께묵 보다 +0.5~2.5mm 더 김)

 ✿-.내편은 길이 4~6mm( 좀께묵 보다 +2.0~4.0mm 더 김.)

 ✿-.설상화관의 나비가 3mm.( 좀께묵 보다 -1mm 좁다. )

 

 

 외편은 길이 2-4mm로서 난형이며 둔두이고

 끝에 적자색이 돌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중편과 내편은 선상피침형으로서 길이 4-6mm이며

 둔두 또는 첨두이고 털이 약간 있다.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꽃은 모두 설상화로서 화관은 황색이고

 길이 20mm, 폭 3mm이며 끝이 5쪽이다.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 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원주형이며 4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며 9월에 익는다.

 

 

 꽃은 8-10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13-30mm이다.

 

 ✿-.총포는 넓은 종형이고 길이 10mm이고

 

 ✿-.외편은 길이 1.5mm,

 ✿-.내편은 길이 2mm이며

 ✿-.설상화관의 나비가 4mm이다.

    

         ✤-.외편 : 바깥 포

         ✤-.내편 : 안쪽 포

 

 

 

 

 

 

 화관은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5.5-6mm, 지름 1mm정도로서

 흑색점이 있거나 흑색이고

 관모는 길이 7mm로서 갈색이 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폭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거나 남아 있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40cm,

 폭 5-3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길이 7-14cm, 나비 4-10mm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마침내 선형으로 된다.

 

 

줄기

 

 높이 50-100cm이며 줄기는 곧게서고 홈줄이 있으며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높이 50-100cm이다.

 

 

 

비고

 

 2년초

 

 

 2년초

자료 출처 :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 저)

자료출처 - 야생화클럽 /http://wildflower.kr/xe/1707041

 

 

 

 

[Beethoven] Violin Sonata No. 5 in F Major Op. 24 "Spring"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작품 24번 "봄"

Title :Ludwig van Beethoven,(Spring Sonata)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5 in F major, Op. 24 

" Spring Sonata ": 2nd movement, Adagio molto espressivo.

Performer :Itzhak Perlman (Violin)

From Wikipedia,The Violin Sonata No. 5 in F major, Opus 24, is a violin sonata by Ludwig van Beethoven. It is often known as the "Spring" sonata, and was published in 1801. Its dedicatee was Count Moritz von Fries, a patron[1] to whom the fourth violin sonata, the string quintet of the same year, and the seventh symphony were also dedicated.

The work is in four movements:
Allegro
Adagio molto espressivo
Scherzo: Allegro molto
Rondo: Allegro ma non troppo

The Scherzo and its trio are particularly brief (and as pointed out here the scherzo is canonic).

Its Adagio movement is feature in the hit stage show of "Fame".
The work takes approximately 23 minutes to perform.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

 

신선한 활력으로 넘치는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그 매력으로 인해 오늘날 바이올린 소나타 가운데 가장 인기가 많은 곡이 되었다.

 

‘봄’이라는 별명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것은 아니지만 곡의 신선하고 선율적인 느낌에 매우 잘 어울린다. 별명의 기원은 1악장의 도입 주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멜로디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클레멘티의 작품에서 베낀 것이라는 혐의를 받기도 했을 정도로 베토벤의 선율답지 않게 달콤하고 유려하다. 그러나 주제가 발전되는 방식은 다분히 베토벤적이다.

 

베토벤은 도입 악장인 알레그로 악장에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그의 작품 중에서는 드물게 바이올린이 먼저 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이것은 아마도 이 아름다운 제1주제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전략인 듯하다. 유려하고 아름다운 2악장에서는 1악장의 선율이 베일에 싸인 채 신비스럽게 제시된 후 3악장에 이르러 이윽고 리드미컬한 스케르초가 이어진다. 베토벤의 ‘봄’ 소나타도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3번과 마찬가지로 전 4악장 구성을 취하지만 브람스의 소나타처럼 심각하고 장대한 결말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밝은 분위기의 4악장의 론도 주제는 여러 차례 색다른 리듬으로 변장을 하며 새롭게 등장해 변화무쌍한 느낌을 전해준다.

 

 

 

 

Beethoven - Violin Sonata No. 5, Op. 24 (Spring) - Yehudi & Jeremy Menuhin

Ludwig van Beethoven - Sonata for Piano and Violin No. 5, Op. 24 in F major (Spring)

 Allegro
 Adagio molto espressivo
 Scherzo: Allegro molto
 Rondo: Allegro ma non troppo

Yehudi Menuhin - violin
Jeremy Menuhin - piano

From the compilation album "Beethoven - Violin Sonatas" (EMI, 1997)

 

 

2016031challea5913

 

 

- 이동활의 음악정원 -

 

 

 

 

 

 

=============================================================================================================================

바로가기

 

국화 | 식물도감(植物圖鑑)

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1. (4,903種중 1.가래과 - 650.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구절초  (0) 2014.08.14
산국속   (0) 2014.08.14
민들레속(Taraxacum)  (0) 2014.08.14
등골나물속  (0) 2014.08.13
돼지풀과 개똥쑥의 구별 포인트  (0) 201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