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여뀌
학명: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이명: 붉은털여뀌, 노인장대, 말여뀌(중), /원산지: 한국.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남아, 중앙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1-2m이다.
생약명: 근경이 달린 전초는 홍초, 화서는 홍초화, 과실은 수홍화자라 하며 약용한다.
1년생 초본.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높이 2미터 내외로, 전체에 긴 털이 있다. 잎은 넓은 난형이며 어긋나고, 7~8월에 붉은 꽃이 수상 꽃차례로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흑갈색이다. 동남아시아 원산이며 관상용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털여뀌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8320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10-20cm, 폭 7-1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긴 털과 선점이 있다. 초상의 탁엽은 통같으며 털이 있고 길이 7-30mm로서 줄기를 둘러싸며 소엽같은 것이 달리기도 하고 가장자리에 긴털이 있다.
수과는 원반같고 흑갈색이며 길이 3mm로서 꽃받침에 싸여 8-9월에 성숙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적색이고 화서는 수상화서와 비슷하며 길이 5-12cm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원줄기 윗부분에서 나오는 가지에서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길이 3-4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고 8개의 수술은 꽃받침보다 길다. 자방은 타원형이고 암술대는 2개이며 화주는 2갈래이다.
높이 1-2m이고 전체에 털이 많으며 줄기는 굵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연초록색을 띠는 줄기는 단단하며 30㎝ 정도 곧추서서 자라지만 때때로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에 비해 너비가 매우 좁은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턱잎의 위쪽에는 털들이 나 있다.
흰색 바탕에 홍백색의 꽃이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 또는 여러 송이가 무리져 핀다. 꽃잎은 없으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세모지며 꽃받침에 붙어 있다.
이른봄에 어린잎을 캐서 삶은 다음 나물로 먹기도 한다. 식물 전체를 가을에 캐서 그늘에서 말린 변축(萹蓄)은 한방에서 복통·이뇨·황달·구충 치료에 쓴다. 출처: 브리태니커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며 키가 1~2 미터에 달해 한국에 서식하는 여뀌속 중 가장 크다. 줄기 전체에 털이 많으며 굵고 윗 부분에서 줄기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꼴 심장 모양이며 길이 10~20 센티미터, 너비 7~15 센티미터로 꽤 크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앞뒤로 털이 난다.
꽃은 7~9월에 가지 끝 이삭꽃차례에 여러 개가 빽빽하게 달려 핀다. 꽃차례의 길이는 5~12 센티미터 정도이며 벼이삭처럼 밑으로 드리운다. 꽃은 붉은색이며 꽃잎은 없고 수술이 8개인데 꽃받침보다 길다. 열매는 길이 3mm 정도의 수과로 흑갈색이며 꽃받침에 싸여 익는다.
이용방안
▶근경이 달린 전초는 홍초, 화서는 홍초화, 과실은 수홍화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홍초
①채취 : 늦가을 서리가 내린 후 뿌리째 뽑아서 깨끗이 씻어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잎은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건조한다. 습기가 차지 않도록 건조한 장소에 저장한다.
②성분 : 잎은 flavonoid의 orientin과 orientoside, plastoquino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류마티즘성 관절염, 말라리아, 각기, 瘡腫(창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분말로 살포하거나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⑵홍초화
①약효 : 散血(산혈), 消積(소적), 지통의 효능이 있다. 心, 胃氣痛(심,위기통), 이질, 腹腔(복강) 內(내)의 積塊(적괴), 횡현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6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분말로 하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膏劑(고제)로 만들어 붙인다.
⑶수홍화자
①채취 : 8-9월 果穗(과수)를 따서 햇볕에 말려 과실을 털어 협잡물을 제거한다.
②성분 : 홍초의 종자에는 전분이 41.51%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散瘀(산어), 破積(파적), 健脾利濕(건비이습)의 효능이 있다. 복통, 소화불량, 만성간염에 쓰이며 협복징적, 수고, 위통, 식욕부진, 腹腸(복장), 급성결막염, 瘡腫(창종), 나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대량투여시는 3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 膏劑(고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膏藥(고약)을 만들어 붙이거나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특징
▶전체에 털이 밀생한다.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여뀌 종류중에서 가장 크고 모양이 뚜렷하여 구별하기가 쉽다.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8 14:09
여뀌속 (Persica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8 14:25
털여뀌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15 07:5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뀌 (0) | 2012.12.18 |
---|---|
기생여뀌 (0) | 2012.12.18 |
여뀌속 (Persicaria) (0) | 2012.12.18 |
마디풀과(Polygonaceae) (0) | 2012.12.18 |
노린재나무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