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디풀과
Polygonaceae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ichlamydeae)
마디풀목(Polygonales)
마디풀과(Polygonaceae)
• 분포지역: 세계 각지
[식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에 속한 과. 줄기에 뚜렷한 마디가 있다. 전 세계에 30속 800종이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5속 82종이 있다. 마디풀, 메밀, 여뀌 따위가 이에 속한다. 과명은 Polygonaceae이다.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의 꽃
초본성이지만 가끔 관목도 있다. 잎은 거의 어긋나고 턱잎[托葉]은 원줄기를 둘러싸며 잎자루에 붙는다.
꽃은 양성(兩性)이지만 단성도 있고 포의 겨드랑이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달려서 전체가 수상 ·총상 또는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화피(花被)는 4∼6개로 갈라지고 때로는 꽃이 핀 후 자라는 것도 있다. 수술은 6∼9개이고 씨방은 상위이며 암술대는 2∼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2∼3개의 능선이 있으며 화피로 둘러싸여 있다. 세계에 30속(屬) 800종(種)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5속 82종이 있다. 약용식물인 대황(Rheum undulatum)과 염료식물인 쪽(Persicaria tinctoria)이 이에 속한다.
[출처] 마디풀과 | 두산백과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이다. 43개 속에 약 1100종이 있다.
주로 북반구의 온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지만 열대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한국에서는 마디풀·수영·참소루쟁이·닭의덩굴·범꼬리·여뀌·메밀·며느리배꼽·쪽·개싱아 등 11속 58종이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 풀이지만 드물게는 나무가 되는 것도 있으며, 잎은 단순한 모양으로 마주나거나 어긋나는데, 잎자루의 아랫 부분은 꼬투리가 된 턱잎과 합쳐져 있다. 꽃은 작고 방사대칭이며, 대부분 양성화이지만 종류에 따라서는 단성화인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총상·수상 꽃차례 또는 두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덮이는 녹색·흰색 또는 분홍색을 띠며, 3~6갈래로 나뉘어 있어, 이들이 기와 모양으로 겹쳐지면서 1줄 또는 2줄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꽃덮이는 열매가 익을 때까지 남아 있는데, 종종 날개 모양으로 발달되어 열매를 퍼뜨리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이때 날개 뒷면에 혹이 있는 것도 있다. 수술은 6~9개로, 보통 안팎의 2줄로 늘어서며, 수술대는 서로 떨어져 있거나 또는 아랫부분이 붙어 있다. 이때 안줄에 있는 꽃밥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바깥줄에 있는 것은 안쪽으로 벌어진다. 암술은 1개가 존재하는데, 그 아랫 부분에는 고리 모양이나 화반 모양의 꿀샘이 있다.
씨방은 상위로, 편평하거나 3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2~4개의 심피가 1개의 방을 이루고 있다. 한편, 그 안의 아랫 부분에는 1개의 밑씨가 곧게 서 있다. 열매는 수과로 벌어지지 않는다.
분류
• Afrobrunnichia
• Antigonon
• Antipogon
• Aristocapsa
• Atraphaxis
• Brunnichia
• 칼리고눔속 (Calligonum)
• Centrostegia
• 코리잔테속 (Chorizanthe)
• 코콜로바속 (Coccoloba)
• Dedeckera
• Dodecahema
• Emex
• 에리오고눔속 (Eriogonum)
• 메밀속 (Fagopyrum)
• 닭의덩굴속 (Fallopia)
• Gilmania
• Goodmania
• Gymnopodium
• Harfordia
• Hollisteria
• Knorringia
• Koenigia
• Lastarriaea
• Leptogonum
• Mucronea
• Muehlenbeckia
• Nemacaulis
• Neomillspaughia
• 옥시고눔속 (Oxygonum)
• 나도수영속 (Oxyria)
• Oxytheca
• Parapteropyrum
• 여뀌속 (Persicaria)
• Podopterus
• Polygonella
• 마디풀속 (Polygonum)
• Pteropyrum
• Pterostegia
• 대황속 (Rheum)
• 소리쟁이속 (Rumex)
• Ruprechtia
• Stenogonum
• Symmeria
• Systenotheca
• 트리플라리스속 (Triplaris)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노인장대,붉은털여뀌
한국서식 마디풀과(Polygonaceae)의 11속 바로가기
나도수영속 (Oxyria)
닭의덩굴속 (Fallopia)
대황속 (Rheum)
마디풀속 (Polygonum)
모밀(메밀)속 (Fagopyrum)
범꼬리속 (Bistorta)
붉은호장근속 (Reynoutria)
소리쟁이속 (Rumex)
시베리아여뀌속 (Knorringia)
싱아속 (Aconogonon)
여뀌속 (Persicaria)
한국서식 마디풀과(Polygonaceae)의 11속(屬)의 종(種)바로가기
나도수영속 (Oxyria) 1종
나도수영 (Oxyria digyna (L.) Hill)
나도수영 (Oxyria digyna (L.) Hill)
닭의덩굴속 (Fallopia) 10종
감절대 (Fallopia forbesii (Hance) K.Yonekura &Ohashi)
나도닭의덩굴 (Fallopia convolvulus (L.) A.Love)
나도하수오 (Fallopia ciliinervis (Nakai) Hammer)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L.) Holub)
삼도하수오 (Fallopia koreana B.U.Oh &J.G.Kim)
애기닭의덩굴 (Fallopia pauciflora (Maxim.) Kitag.)
왕호장근 (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큰닭의덩굴 (Fallopia dentatoalata (F.Schmidt) Holub)
하수오 (Fallopia multiflora (Thunb. ex Murray) Haraldson var. multiflora)
호장근 (Fallopia japonica (Houtt.) RonseDecr.)
닭의덩굴 (Fallopia dumetorum (L.) Holub)
대황속 (Rheum) 2종
대황 (Rheum rhabarbarum L.)
장군풀 (Rheum coreanum Nakai)
대황 (Rheum rhabarbarum L.)
마디풀속 (Polygonum) 9종
개마디풀 (Polygonum equisetiforme Sibth. &Sm.)
갯마디풀 (Polygonum arenastrum Boreau)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
부산마디풀 (Polygonum humifusum Merk ex C.Koch)
애기마디풀 (Polygonum plebeium R. Brown)
이삭마디풀 (Polygonum polyneuron Franch. &Sav.)
제주큰옥매듭풀 (Polygonum aviculare var. fuscoochreatum (Kom.) A.J.Li)
중국매듭풀 (Polygonum liaotungense Kitag.)
큰옥매듭풀 (Polygonum bellardii Alloni)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
모밀속 (Fagopyrum) 1종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범꼬리속 (Bistorta) 12종
가는범꼬리 (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Besser) Kom.)
눈범꼬리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둥근범꼬리 (Bistorta globispica Nakai)
범꼬리 (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L.) Gray)
애기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var. angustifolia Nakai)
이른범꼬리 (Bistorta tenuicaulis (Bisset &S.Moore) Nakai)
참범꼬리 (Bistorta pacifica (Petrov ex Kom.) Kom.)
털씨범꼬리 (Bistorta vivipara for. roessleri (G.B.Mannageta) Kitag.)
털참범꼬리 (Bistorta pacifica for. velutina Kitag.)
호범꼬리 (Bistorta ochotensis (Petrov ex Kom.) Kom.)
흰범꼬리 (Bistorta incana (Nakai) Nakai ex Mori)
범꼬리 (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붉은호장근속 (Reynoutria) 1종
붉은호장근 (Fallopia japonica for. elata Y.M.Lee &H.J.Choi)
붉은호장근 (Fallopia japonica for. elata Y.M.Lee &H.J.Choi)
소리쟁이속 (Rumex) 14종
가는잎소리쟁이 (Rumex stenophyllus Ledeb.)
개대황 (Rumex longifolius DC.)
금소리쟁이 (Rumex maritimus L.)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L.)
멧수영 (Rumex montanus Desf.)
묵밭소리쟁이 (Rumex conglomeratus Murray)
부령소리쟁이 (Rumex patientia L.)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수영 (Rumex acetosa L.)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L.)
좀소리쟁이 (Rumex nipponicus Franch. &Sav.)
참소리쟁이 (Rumex japonicus Houtt.)
토대황 (Rumex aquaticus L.)
호대황 (Rumex gmelini Turcz. ex Ledeb.)
소리쟁이 (Rumex crispus L.)
시베리아여뀌속 (Knorringia) 1종
시베리아여뀌 (Knorringia sibirica (Laxm.) Tzvelev)
시베리아여뀌 (Knorringia sibirica (Laxm.) Tzvelev)
싱아속 (Aconogonon) 8종
개싱아 (Aconogonon micranthum Nakai ex Mori)
긴개싱아 (Aconogonon ajanense (Regel &Tiling) H.Hara)
산바위싱아 (Aconogonon limosum (Kom.) H.Hara)
싱아 (Aconogonon alpinum (All.) Schur)
얇은개싱아 (Aconogonon mollifolium (Kitag.) H.Hara)
왜개싱아 (Aconogonon divaricatum (L.) Nakai ex T.Mori)
참개싱아 (Aconogonon microcarpum (Kitag.) H.Hara)
털싱아 (Aconogonon brachytricum (Ohwi) T.B.Lee)
싱아 (Aconogonon alpinum (All.) Schur)
여뀌속 (Persicaria) 45종
가는개여뀌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가는여뀌 (Persicaria hydropiper var. fastigiatum Nakai)
가시여뀌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겨이삭여뀌 (Persicaria taquetii (H.Lev.) Koidz.)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Zucc.) H.Gross ex Nakai)
기생여뀌 (Persicaria viscosa (Hamilt. ex D.Don) H.Gross ex Nakai)
긴미꾸리낚시 (Persicaria hastatosagittata (Makino) Nakai ex Mori)
긴화살여뀌 (Persicaria breviochreata (Makino) Ohwi)
꽃여뀌 (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Mori)
끈끈이여뀌 (Persicaria viscofera (Makino) Nakai var. viscofera)
나도미꾸리낚시 (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Mori)
넓은잎미꾸리낚시 (Persicaria muricata (Meisn.) Nemoto)
대동여뀌 (Persicaria erectominor var. koreensis (Nakai) I.Ito)
덩굴모밀 (Persicaria chinensis (L.) Nakai)
만주겨이삭여뀌 (Persicaria foliosa (H.Lindb.) Kitag. var. foliosa)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var. senticosa)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물여뀌 (Persicaria amphibia (L.) S.F.Gray)
미꾸리낚시 (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ex Nakai)
민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aestiva Ohki ex T.B.Lee)
바늘여뀌 (Persicaria bungeana (Turcz.) Nakai ex Mori)
바보여뀌 (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버들겨이삭여뀌 (Persicaria foliosa var. paludicola (Makino) H.Hara ex I.Ito)
봄여뀌 (Persicaria vulgaris Webb &Moq.)
산여뀌 (Persicaria nepalensis (Meisn.) H.Gross)
새이삭여뀌 (Persicaria neofiliforme (Nakai) Ohki)
세뿔여뀌 (Persicaria debilis (Meisn.) H.Gross ex Mori)
솜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var. salicifolia Miyabe)
실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paludosa (Kom.) Nakai ex Kitag.)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Hara)
좁은잎미꾸리낚시 (Persicaria praetermissa (Hook.f.) Hara)
짧은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for. breviseta (Meisn.) W.T.Lee)
쪽 (Persicaria tinctoria H.Gross)
큰끈끈이여뀌 (Persicaria viscofera var. robusta (Makino) Hiyama)
털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sericea Nakai ex T.B.Lee)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흰꽃여뀌 (Persicaria japonica (Meisn.) H.Gross ex Nakai)
흰명아주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for. alba Y.N.Lee)
흰솜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var. incana (Roth) Nakai)
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히말라야여뀌 (Persicaria wallichii Greuter &Burdet)
여뀌 (Persicar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마디풀목 [Polygonales]
마디풀과(―科 Polygonaceae) 1과로 이루어진 꽃피는 쌍떡잎식물의 한 목.
마디풀과는 풀·관목·교목으로 된 약 40속(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목에 속하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잎자루 끝 바로 위에 줄기를 감싸는 잎집[葉鞘]이 달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꽃은 양성화로, 방사대칭이고 하나의 방으로 된 씨방에는 밑씨 1개가 들어 있는데, 씨방은 꽃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꽃은 생김새도 다양하고, 꽃잎처럼 생긴 부위와 꽃가루를 만드는 수술의 수도 다양하다.
꽃잎처럼 생긴 꽃덮이[花被]는 3, 4, 5 또는 6장으로 이루어졌으며, 꽃잎과 꽃받침으로 분화가 되지 않았다.
씨 1개가 들어 있는 열매는 거의 항상 작고 3각형이며, 견과처럼 생겼고 오래 붙어 있는 꽃덮이가 변해서 만들어진 막질(膜質)의 날개가 달려 있다. 씨는 바람을 타고 퍼진다.
이 목에 속하는 가장 큰 속으로는 300종(種)으로 이루어진 마디풀속(Polygonum), 각각 200종이 속하는 에리오고눔속(Eriogonum)과 소리쟁이속(Rumex), 150종으로 된 코콜로바속(Coccoloba), 80종으로 이루어진 칼리고눔속(Calligonum), 50종이 속하는 코리잔테속(Chorizanthe), 25종으로 된 대황속(Rheum), 30종으로 이루어진 옥시고눔속(Oxygonum) 등이 있다.
식물학자에 따라 마디풀과를 석죽목(Caryophyllales)에 속하는 1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목에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종들이 있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식물은 아니다. 메밀(Fagopyrum esculentum)은 식용 씨를 얻기 위해서나 동물의 먹이와 꿀을 얻기 위해 심고 있다.
레움 라폰티쿰(Rheum rhaponticum)은 잎자루를 먹을 수 있지만 잎사귀에는 독성이 있다.
해변에서 자라는 코콜로바 우비페라(Coccoloba uvifera)에는 식용 열매가 맺힌다.
코콜로바 우비페라를 비롯하여 관상용으로 심는 식물로는 왕호장근(Polygonum sachalinense), 폴리고눔 아우베르티이(P.aubertii), 지피식물로 이용되는 폴리고눔 레이노우트리아(P.reynoutria/P.cuspidatum compactum), 호모클라디움 플라티카둠(Homocladium platycadum), 안티고논 렙토푸스(Antigonon leptopus) 등이 있다.
이 목에는 잡초와 목초들도 많이 있는데 수영(Rumex acetosa)이나 애기수영(R.acetosella)은 둘 다 드라이플라워로 쓰기도 한다. 한국에는 80여 종류가 자라고 있는데, 이 가운데 마디풀속 식물들이 가장 흔하며, 특히 메밀을 널리 심고 있다.
나도수영(Oxyria digyna)이 백두산에서 자라고 있으며, 이밖에 대황(Rheum undulatum)·수영·소리쟁이(Rumex crispus)가 곳곳에서 흔히 자라고 있다. 출처: 브리태니커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모차르트 교향곡 18 번 in F, KV 130
사진출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남들꽃연구회 /http://cafe.daum.net/ya2004/19Bt/3240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floma / http://www.floma.pe.kr/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여뀌 (0) | 2012.12.18 |
---|---|
여뀌속 (Persicaria) (0) | 2012.12.18 |
노린재나무 (0) | 2012.12.18 |
노린재나무과 (0) | 2012.12.18 |
검은꽃장포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