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뀌속
Persicaria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ichlamydeae)
마디풀목(Polygonales)
마디풀과(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이전에는 마디풀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한해살이풀이거나 여러해살이풀이다. 대부분 분홍색이거나 흰색 꽃으로 된 이삭꽃차례를 단다. 일부 종이 작물 및 관상용 식물로 쓰이지만, 많은 종이 위해 식물로 취급된다.
출처 - 한국어 워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여뀌속
개모밀덩굴(Persicaria capitata)
한국서식 여뀌속(屬. Persicaria)의 45종(種) 바로가기
가는개여뀌 (Persicaria trigonocarpa (Makino) Nakai)
가는여뀌 (Persicaria hydropiper var. fastigiatum Nakai)
가시여뀌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Mori)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Bruijn) Kitag.)
겨이삭여뀌 (Persicaria taquetii (H.Lev.) Koidz.)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Zucc.) H.Gross ex Nakai)
기생여뀌 (Persicaria viscosa (Hamilt. ex D.Don) H.Gross ex Nakai)
긴미꾸리낚시 (Persicaria hastatosagittata (Makino) Nakai ex Mori)
긴화살여뀌 (Persicaria breviochreata (Makino) Ohwi)
꽃여뀌 (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Mori)
끈끈이여뀌 (Persicaria viscofera (Makino) Nakai var. viscofera)
나도미꾸리낚시 (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Mori)
넓은잎미꾸리낚시 (Persicaria muricata (Meisn.) Nemoto)
대동여뀌 (Persicaria erectominor var. koreensis (Nakai) I.Ito)
덩굴모밀 (Persicaria chinensis (L.) Nakai)
만주겨이삭여뀌 (Persicaria foliosa (H.Lindb.) Kitag. var. foliosa)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var. senticosa)
며느리배꼽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물여뀌 (Persicaria amphibia (L.) S.F.Gray)
미꾸리낚시 (Persicaria sagittata (L.) H.Gross ex Nakai)
민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aestiva Ohki ex T.B.Lee)
바늘여뀌 (Persicaria bungeana (Turcz.) Nakai ex Mori)
바보여뀌 (Persicaria pubescens (Blume) H.Hara)
버들겨이삭여뀌 (Persicaria foliosa var. paludicola (Makino) H.Hara ex I.Ito)
봄여뀌 (Persicaria vulgaris Webb &Moq.)
산여뀌 (Persicaria nepalensis (Meisn.) H.Gross)
새이삭여뀌 (Persicaria neofiliforme (Nakai) Ohki)
세뿔여뀌 (Persicaria debilis (Meisn.) H.Gross ex Mori)
솜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var. salicifolia Miyabe)
실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paludosa (Kom.) Nakai ex Kitag.)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is (Thunb.) Nakai ex Mori)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Meisn.) H.Hara)
좁은잎미꾸리낚시 (Persicaria praetermissa (Hook.f.) Hara)
짧은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for. breviseta (Meisn.) W.T.Lee)
쪽 (Persicaria tinctoria H.Gross)
큰끈끈이여뀌 (Persicaria viscofera var. robusta (Makino) Hiyama)
털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i var. sericea Nakai ex T.B.Lee)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흰꽃여뀌 (Persicaria japonica (Meisn.) H.Gross ex Nakai)
흰명아주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for. alba Y.N.Lee)
흰솜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var. incana (Roth) Nakai)
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히말라야여뀌 (Persicaria wallichii Greuter &Burdet)
털여뀌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여뀌에는 (독) 이 있어 소도 먹지 않습니다
현재 우리 나라에 자라는 여뀌속 식물은 30여 종이 넘습니다.
물여뀌는 1753년 린네(Linnaeus)가 그리스 어의 많은(polys) 무릎(gonu)처럼 생긴 마디를 갖고 있다고 하여 Polygonum 속(屬)으로 기록했습니다. 지금은 복사나무(Persica) 잎과 비슷하다고 하여 Persicaria 속으로 분류하고, 수륙양용(amphibius)으로 사는 식물이기에 amphibia라는 종명을 붙였습니다.
여뀌는 독성이 있어서 식용 직접 사용은 부적당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시골에서는 여뀌의 독성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기도 했습니다.
여뀌는 강한 매운 맛을 갖고 있고 냄새가 나기 때문에 매운여뀌, 맵쟁이라 하고, 잎이 버들 꼴이라 하여 버들여뀌라고도 합니다.
가을이 되어 날씨가 건조해지면 줄기는 붉은 색을 띠는데 이 때는 꽃이 피어 씨가 익기 직전입니다. 줄기 아래쪽 잎은 대부분 말라 있지만 위쪽 잎은 싱싱합니다. 이러한 줄기를 거두어 그늘에서 말리면 유용한 한방약으로 한방에서는 여뀌를 수요(水蓼), 택요(澤蓼), 천요(川蓼), 수홍화(水紅花), 홍요자초(洪蓼子草)라 합니다. 한방에서는 여뀌를 여러 가지 질병 치료에 쓰는 좋은 약재입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여뀌(蓼葉)는 맛이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했습니다. 본초구원(本草求原)에도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평(平)하다." 고 했습니다. 귀주초약(貴州草藥)의 처방에 따르면 상처가 났을 때 물여뀌(小黃藥) 잎과 담배(野煙) 잎 각 3돈을 한데 짓찧어 붙이면 특효라고 했습니다.
독도 약으로 쓴다는 말이 있습니다. "독이 없다"는 말은 "약"으로 쓸 때 이야기이지 분명한 것은 대부분의 여뀌류는 독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함부로 쓰면 구토와 함께 심한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한자로는 물여뀌를 양서료(兩棲蓼)라 하고 생약명을 소황약(小黃藥)이라 적습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 아비큘라린(avicularin)과 약간의 알칼로이드(alcaloid) 성분이 포함돼 있습니다.
글/네이버지식 - omk****
---------------------------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var. hydropiper)
꽃여뀌 (Persicaria conspicua (Nakai) Nakai ex Mori)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흰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L.) Gray var. lapathifolia)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ex Nakai var. senticosa)
La lluvia( The Rain)/ Alpamayo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8 14:0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여뀌 (0) | 2012.12.18 |
---|---|
털여뀌 (0) | 2012.12.18 |
마디풀과(Polygonaceae) (0) | 2012.12.18 |
노린재나무 (0) | 2012.12.18 |
노린재나무과 (0) | 201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