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거문도닥나무

호남인1 2012. 12. 2. 14:21

 

 

 

 

 

거문도닥나무

학명: Wikstroemia ganpi (Siebold &Zucc.) Maxim.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팥꽃나무목 >팥꽃나무과 >산닥나무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전라남도 여수시; 경남 남해군; 부산 동래구) /크기: 높이는 1m. /생육환경: 숲의 가장자리

 

낙엽소관목

가지는 원줄기 아래쪽에서 분지해 총생하고, 위쪽에서 원추상의 많은 소지를 내며, 연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새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는다. 갈라진 가지 끝과 위쪽의 엽액에서 짧은 총상화서를 만들고, 통상의 꽃이 여러 개 달리며, 화경에 털이 많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거문도닥나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9021

 

 

잎은 호생하고,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양끝 모두 예리하거나 또는 뭉툭한 형이다. 예거치가 없고, 길이 2~4.5cm, 폭 1~2cm이며, 뒷면 연변와 맥위에 드물게 털이 있다. 표면은 진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로써 떨어지지 않는 악통속에 생기며, 길이 약 4mm정도의 난상방추형이다. 종자는 약 4mm로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 돌출된 능선을 갖는다.

갈라진 가지 끝과 위쪽의 엽액에서 짧은 총상화서를 만들고, 통상의 꽃이 여러 개 달리며, 화경에 털이 많다. 꽃은 양성화로 담홍색이고, 악통은 길이 7~12mm, 폭 1~1.5mm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악열편은 좁은 난형으로 길이 3~4mm, 폭 1.5~2.5mm이다. 수술은 길이 각각 1~1.3mm로 8개인데, 4개씩 상하의 2열을 이루고, 상부의 수술은 통부의 입구에, 하부의 수술은 통부의 중앙 윗쪽에 붙는다. 암술은 길이 2.5~4mm로 악통의 1/3정도 길이이고, 자방은 긴털이 밀생하며, 암술머리는 편구형이다. 화반은 인편상으로 심열한다.

가지는 원줄기 아래쪽에서 분지해 총생하고, 위쪽에서 원추상의 많은 소지를 내며, 연녹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털이 있다가 없어지며, 새가지의 윗부분은 매년 대부분 말라 죽는다.

 

 

보호방안

최근에 자생지가 보고된 종으로 지속적인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종자 및 생채). 

------------------------------------------------------------------------------------------------

 

 

 

산닥나무속 (Wikstroemia) 2종

거문도닥나무 (Wikstroemia ganpi (Siebold &Zucc.) Maxim.)

산닥나무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하늘타리의 야생화 /http://cafe.daum.net/hanultariF/CIQP/439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02 13:02

거문도닥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30 16:45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풀  (0) 2012.12.02
삼지닥나무  (0) 2012.12.02
산닥나무  (0) 2012.12.02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0) 2012.12.02
흰큰방울새란  (0) 201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