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호남인1 2012. 12. 2. 13:02

 

 

 

 

 

팥꽃나무과

Thymelaeaceae

 

英 : Stachyrus Family 日 : Jinchoge Ka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팥꽃나무목 >팥꽃나무과

분포지역: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이리아, 지중해, 아시아의 서부와 중부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ichlamydeae)

팥꽃나무목(Thymelaeales)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낙엽 또는 상록관목이며 수피에 섬유질이 발달하여 잘 꺾어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나며 홑잎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이 없는 것이 많으며 꽃받침은 통처럼 생겼는데 끝이 4∼5개로 갈라져서 꽃잎같이 생겼다.

 

거문도닥나무 (Wikstroemia ganpi (Siebold &Zucc.) Maxim.)

 

 

분포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약 50속의 8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아프리카에 그 종류가 많다. 한국에는 서향·백서향나무·삼지닥나무·팥꽃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다.

 

특징

대부분 관목으로, 잎은 단순하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며 어긋난다. 턱잎은 없다. 꽃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리는 것이 기본이지만, 종에 따라서는 두상꽃차례를 이루는 것도 있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이면서 암수딴그루이며, 수술의 수는 꽃받침조각의 수와 같거나 반수 또는 2배수이다. 씨방은 상위로 1-2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데, 각 방에는 1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는 수과 또는 핵과이며, 벌어지지 않는다.

 

 

• Aetoxylon

• Amyxa

침향속 (Aquilaria)

• Arnhemia

• Atemnosiphon

• Basutica

• Craspedostoma

• Craterosiphon

• Cryptadenia

• Dais

팔꽃나무속 (Daphne)

• Daphnimorpha

다프놉시스속 (Daphnopsis)

• Deltaria

• Dendrostellera

아마풀속 (Diarthron)

• Dicranolepis

• Dirca

• Drapetes

삼지닥나무속 (Edgeworthia)

• Englerodaphne

 

과거에는 저자들마다 팥꽃나무를 다른 방법으로 정의했다. 예를 들어, 존 허친슨(John Hutchinson)은 고니스틸루스속(Gonystylus)과 그 관련 종 뿐만 아니라 침향속(Aquilaria)과 그 관련 종들을 팥꽃나무과 분류에서 제외했으며, 이들을 별도의 2개 과 고니스틸루스과(Gonystylaceae)와 침향과(Aquilariaceae)로 분류했다.

 

그러나 현재는 텝푸이안투스속(Tepuianthus)을 팥꽃나무과에 둘 것인지 별도의 과로 분리할 것인가 논란만이 남아 있다. 스티븐슨(Stevens)은 텝푸이안투스속을 포함시키는 반면에, 쿠비츠키(Kubitzki)는 이를 가설로 보고 텝푸이안투스과(Tepuianthaceae)라는 별도의 과로 취급한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삼지닥나무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한국서식 5속의 종

 

한국에는 5속 9종이 자라며 그 중에는 중국에서 들어온 서향을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일본에서 들어온 삼지닥나무와 강화도 이남에서 자라는 산닥나무 등은 섬유자원으로 중요시되기도 하였다.

 

산닥나무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산닥나무속 (Wikstroemia) 2종

거문도닥나무 (Wikstroemia ganpi (Siebold &Zucc.) Maxim.)

산닥나무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삼지닥나무속 (Edgeworthia) 1종

삼지닥나무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아마풀속 (Diarthron) 1종

아마풀 (Diarthron linifolium Turcz.)

 

 

 

 

팥꽃나무속 (Daphne) 4종

두메닥나무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Nakai) Hamaya)

백서향 (Daphne kiusiana Miq.)

서향 (Daphne odora Thunb.)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Zucc.)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Zucc.)

 

 

 

피뿌리풀속 (Stellera) 1종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英 : Stachyrus Family 日 : Jinchoge Ka

 

양 반구에 널리 약 50속 800종. 우리 나라에는 4속 6종. 목본 드물게 초본.

잎은 대생, 호생, 홑잎. 대개 소형, 턱잎은 없음.

꽃은 대개 방사 상칭. 양성화 또는 단성화(대개 암수딴그루). 대개 가지 끝에 두상화서, 이삭화서, 총상화서로 달림.

꽃받침은 통형. 때로 꽃잎 모양, 4~5갈래, 기와 모양으로 배열.

꽃잎은 없거나 4~12개의 비늘 조각 모양. 꽃받침의 통 부분이나 입구에 있음.

수술은 2~다수, 대개 꽃받침 갈래와 같은 수로 대생하거나 2배수. 화반은 비늘 조각 모양. 고리 모양 또는 잔 모양. 간혹 없음.

자방은 상위, 1~2실, 암술대는 자방의 옆에 붙고, 암술머리는 두상. 배주는 각 실에 1개, 거꾸로 달림.

열매는 열개하지 않음. 씨는 배유가 있거나 없고, 배는 곧음.

-자료: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이 과는 주로 관목으로 이루어진 중간 크기의 과이다. 서향속(Daphne)은 매력적인 장식용의 종을 포함함. 

분포 : 열대와 온대에 모두 분포하지만 북반구보다 남반구에 더 다양하며, 특히 아프리카가 대표적임. 많은 속이 태평양 섬에도 분포함.

특성 :  잎은 호생하며(때로 대생) 전연이고 탁엽이 없음. 꽃은 정제화이며 대개 양성화이고 일반적으로 4수성 또는 5수성이고 취산화서, 두상화서처럼 속생함.

꽃은 기본적으로 잔 모양이고 화탁이 깊이 파뭍혀서 대부분의 꽃부분이 그 주변에 배열되어 있음.

꽃받침이 꽃잎 모양을 하고 있으며 통의 연장부처럼 보이고 수술의 수는 대개 꽃받침의 반수에서 2배이고 꽃받침통 안에 있음.

화관은 눈에 잘 띄지 않거나 없음. 자방상위이며 화탁의 기부에 있고, 1~2개(드물게 3~8개)의 심피가 융합되어 있으며 많은 수의 자실을 가짐. 그 각각은 중축, 측막, 현하배주를 가짐. 암술대는 단순함.

열매는 다양한데 수과, 장과, 핵과, 때때로 삭과임.

종자는 배젖이 약간 있거나 없고, 배는 직생함.

 

분류 : 상대적으로 연관있는 종들로 이루어진 과이지만 대개 4개의 아과로 나누어 짐.(지금까지 과 수준으로 있는 것도 있음)

몇 속은 그 밖의 속들과 크게 다름.

 

티멜라에아아과(Thymelaeoideae) : 대부분의 속이 속하는데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인도.세일론까지 분포하는 가장 큰 속인 그니디아속(Gnidia;100종)을 포함.  피멜레아속(Pimelea;80속, 호주), 산닥나무속(Wikstroemia;70종, 호주~중국 남부), 서향속(Daphne;70종, 호주,아시아, 유럽, 북미), 라시오시폰속(Lasiosiphon;50종, 그니시아속과 분포 같음)이 있음.

아퀼라리아아과(Aquilarioideae) : 단일 현하배주를 가지는 티멜라에아아과에 비해 2개(때로 그 이상)의 현하배주를 가지며, 태평양에서 아프리카까지 여러 가지 작은 속을 갖음. 옥톨레피스속(Octolepis)은 서아프리카에 분포하는데 4~5개의 자실을 가지며 열매는 삭과임.

고니스틸루스아과(Gonystyloideae) : 동남아시아와 보르네오에 분포하는 3개의 작은 속으로 이루어진 아과로 많은 수술이 있는 고니스틸루스속(Gonystylus)을 포함함.

길기오다프네아과(Gilgiodaphnoideae)는 서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단일속(길기오다프네속(Gilgiodaphne))으로 구성되며 4개의 수술과

4개의 의웅예를 가지는데 4개의 수술은 기부에서 밖으로 나오며 의웅예는 융합된채 그대로 있음. 

이 과와 다른 과의 유연관계는 명확하지 않음. 대개 이과를 도금양목에 두지만 일부 학자는 이나무과와 합치기도 함.

 

용도 : 서향속의 일부는 관상용 관목으로 재배하고 꽃꽂이도 함. 일부는 상록성임. 몇 속의 수피는 특히 산닥나무속은 종이를 만드는데 이용됨. 일부 지중해 국가에서는 서향속의 수피를 물고기를 마비시키는데 이용하고 서부 인디언들은 라게토 린테아리아(Lagetto lintearia)에서 장식용 끈을 만들어 냄. 

 

 

아마풀 (Diarthron linifolium Turcz.)

 

 

피뿌리풀 (Stellera chamaejasme L.)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문도닥나무  (0) 2012.12.02
산닥나무  (0) 2012.12.02
흰큰방울새란  (0) 2012.12.02
방울새란   (0) 2012.12.01
방울새난속  (0) 201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