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삼지닥나무

호남인1 2012. 12. 2. 17:05

 

 

 

 

 

삼지닥나무

학명: Edgeworthia chrysantha Lindl.

 

이명: 삼아나무, 황서향나무, 매듭삼지나무,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팥꽃나무목 >팥꽃나무과 >삼지닥나무속

원산지: 중국 /분포: 전남과 경남 및 제주도에 식재. /크기: 높이 1-2m 정도 자란다. 

생약명: 꽃봉오리는 夢花(몽화), 뿌리는 夢花根(몽화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약 2미터 정도 자라며, 잎은 어긋나며 가지가 세 개씩 갈라진다. 노란색 꽃은 봄철에 잎보다 먼저 피고, 꽃줄기 끝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나무껍질은 종이의 원료로 쓰인다. 우리나라의 경상도와 전라도의 기후에 알맞으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삼지닥나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9034

 

 

잎은 호생하고 막질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8-15cm,너비 2-4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털이 있고 표면은 밝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5-8mm로서 복모가 있다.

열매는 난형의 작은 견과로서 끝에 잔털이 있으며 7-8월에 성숙한다.

가을철 잎이 떨어질 무렵에 가지 끝에서 1-2개의 꽃봉오리가 생기고 조락성의 엽상 포로 싸여 있으며 3월에 잎보다 먼저 황색 꽃이 가지 끝에 둥글게 산형상으로 모여 피고 길이 1cm의 화경이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4개로 갈라지고 길이 1.2-1.4cm로서 겉에 백색의 잔털이 있으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안쪽이 황색이며 2줄로 배열된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가지는 굵으며 황갈색이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수피는 회록색이고 털을 가지고 있다.

------------------------------------------------------------------------------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는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서, 높이는 2m 가량이다. 삼지닥나무라는 이름은 가지가 3갈래로 나누어진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잎은 10㎝ 정도 되는 긴 피침형으로 어긋나며 질이 얇다.

 

꽃은 황색으로 잎이 나기 전인 이른봄에 잎겨드랑이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공 모양의 두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한편, 각각의 꽃은 길이가 1cm 정도의 긴 통 모양으로 끝은 4갈래지고, 안쪽은 등황색이며 바깥쪽에는 흰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수술은 8개인데, 그 중 4개는 꽃받침통 위쪽에 붙어 꽃밥이 통 밖으로 뻗어나오게 된다.

 

중국이 원산지로 주로 따뜻한 곳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나무껍질은 예전부터 종이를 만드는 원료로 사용되어 왔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한지(韓紙, 문화어: 조선종이) 또는 닥종이는 한국 고대의 종이로 중국의 제지술을 도입하여 이를 더욱 발전시켰고, 그 품질 또한 매우 우수하였다. 삼지닥나무·안피나무·닥나무·뽕나무 등의 수피(樹皮)의 섬유를 뜬 것이다. 용도에 따라 창호지, 복사지, 화선지, 태지로도 분류할 수 있다.

한지는 부채와 연, 바구니, 종이 상자 등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한지는 외국의 양지보다 훨씬 오래 간다. 외국의 양지는 200년이지만 우리나라의 한지는 그의 1000년이나 더 긴 1200년이나 지속된다. 또한 우리가 쓰는 A4용지보다 질기며,글쓰기와 그림그리기가 매우 잘된다고 한다. 특히, 한지는 옻칠을 할 경우 2100년 까지 간다.

 

오늘날에도 한지를 많이 만들고 있다. 한지의 멋스러움과 좋은 점을 알고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즈음에도 한지에 물을 들여 여러 색깔의 한지를 만들기도 한다.

 

 

 

생육환경

내한성이 약하여 중부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며, 참나무류 숲의 가장자리나 나무 밑의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음성은 강하나 내건성이 약하다. 

광선: 음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분주로 한다. 7월에 익는 종자를 채취하여 건사저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여 증식한다. 분주로서도 증식시키고 있다. 

결실기: 7월, 8월 

 

이용방안

▶늑피섬유는 지폐용지나 증권, 지도용지, 사전용지, 등사원지 등의 원료로 쓰인다.

▶남쪽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봄에 피는 꽃을 감상하기 위해서 정원에 식재하기도 한다.

꽃봉오리는 夢花(몽화), 뿌리는 夢花根(몽화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夢花(몽화)

①이른봄에 개화하지 않은 花序(화서)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靑盲(청맹-녹색색맹), 角膜白斑(각막백반), (예장-각막박예), 多淚(다루-淚液分泌過多症(누액분비과다증)), 羞明(수명-시신경이 쇠약하여 빛을 싫어하는 증상), 夢精(몽정), 虛淋(허림), 失音(실음) 등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2.4-3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夢花根(몽화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夢遺(몽유-夢精(몽정)), 早泄(조설-早漏(조루)), 白濁(백탁), 虛淋(허림), 血崩(혈붕), 白帶(백대)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특징

맹아력이 강하고 생장도 신속하다.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t__nil_loginbox=cafe_list&nil_id=2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02 13:02

삼지닥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10.25 10:14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닥나무  (0) 2012.12.02
아마풀  (0) 2012.12.02
거문도닥나무  (0) 2012.12.02
산닥나무  (0) 2012.12.02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0) 201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