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큰천남성

호남인1 2012. 9. 13. 17:30

 

 

 

 

 

큰천남성

학명: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이명: 푸른천남성, 왕사두초, 자주큰천남성,  /영명: Puto Jackinthepulpit   /원산지: 한국,

분류: 외떡잎식물강 >택사목 >천남성과 >천남성속 /분포: 일본, 오키나와, 중국

생약명: 塊根(괴근)을 天南星(천남성)이라 하며 약용한다.

 

여러해살이풀

경상남도, 전라남도 또는 남쪽 섬 지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산지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바닷가 근처의 숲 속에서 볼 수 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큰천남성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7421&mn=KFS_28_01_02_01

 

 

 

꽃차례(花序) - 육수화서

 

잎은 2개가 대생하고 길이 15-25cm의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3개이고 마름모 비슷한 넓은 난형이며 길이 8-30cm, 나비 4-10cm로서 엽병이 없고 끝이 실처럼 가늘며 길이 5-15mm이고 표면은 윤채가 있는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장과로서 빨갛게 익는다.

 

꽃은 5월에 피고 화경은 길이 3-10cm이며 육수화서가 정생한다. 수그루(雄株)의 육수화서는 원주형이고 암그루(雌株)의 것은 다소 구형이다. 포는 통부 윗부분이 넓게 밖으로 젖혀지고 현부는 안쪽으로 꼬부라져 등이 둥글며 끝부분이 다시 밖으로 꼬부라지고 겉은 녹색, 안쪽은 흑자색이지만 안쪽도 녹색인 것이 있다. 화서의 연장부는 곤봉형이며 밑부분이 굵어져서 화서축에 옥수수알처럼 달린다.

짧고 크며 곧게 서고 엷은 녹색을 띤다.

 

구경(알뿌리)은 편평한 공모양이고 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작은 구경이 옆에 달린다.

 

 

편평한 알뿌리에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져 자란다. 길이 15~25cm 정도의 잎자루 끝에 1쌍의 잎이 마주나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 잎은 마름모 비슷한 달걀 모양으로 앞면에 광택이 있으며 뒷면에 약간 흰빛이 돈다.

 

 

5월에 길이 3~1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육수화서를 이루어 달린다. 불염포는 주둥이 부분이 안쪽으로 말리면서 주머니처럼 되고 녹색에 검은 자줏빛이 돌기도 한다. 화서의 연장부는 곤봉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이며 적색으로 익는다.

 

 

화경(花莖)은 길이 3-10cm이며 잎은 길이 15-25cm의 엽병이 있다. 

 

생육환경

지의 나무 그늘에서 잘 자란다. 기후가 온난하고 공중 습도가 많은 반그늘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바다에서 가까운 숲 속에서 흔히 볼 수가 있다.   광선중생  /수분습윤 

 

번식은 종자, 분근으로 번식한다. 

 

 

塊根(괴근)을 天南星(천남성)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 겨울 2회에 걸쳐서 캐내 잔 가지, 鬚根(수근) 및 외피를 제거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塊莖(괴경)에는 triterpenoid saponins, 安息香酸(안식향산), 녹말, amino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燥濕(조습), 化痰(화담), 祛風(거풍), 定驚(정경), 消腫(소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中風痰涎(중풍담연-중풍으로 痰(담)이 가득 참),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반신불수, 癲癎(전간), 경련, 파상풍, 風痰眩暈(풍담현운), 喉痺(후비), 나력, 癰腫(옹종), 타박골절, 蛇,毒蟲咬傷(사, 독충교상)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2.5-4.5g을 달여 복용한다. 丸劑(환제)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넓은잎천남성(A. robustum Nakai) 

 

 

===============================================================================================================================

 

 

국가지식포럼등록

천남성속 (Arisaema) 10 종

 

거문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Blume subsp. geomundoense S. C. Ko)

눌맥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for. convolutum (Nakai) Y.S.Kim &S.T.Ko)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무늬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Blume)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천남성 (Arisaema negishii Makino)

점박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Nakai)

천남성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

 

 

 

사진출처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

바로가기

 

천남성 | 식물도감(植物圖鑑) 

천남성 | 식물도감(植物圖鑑)

큰천남성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포  (0) 2012.09.14
두루미천남성   (0) 2012.09.13
십자화과  (0) 2012.09.13
천남성과  (0) 2012.09.13
피마자 (蓖麻子)  (0) 2012.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