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석위 (石韋)

호남인1 2012. 3. 10. 22:01

 

 

 

 

석위 (石韋)

 

학명: Pyrrosia lingua (Thunb.) Farw.

이명: /영명: Tongue Fern, Japanese Felt Fern,, /원산지: 한국

분류: 양치식물 고사리강 고사리목 고란초과 /분포: 아시아 /서식: 나무줄기, 바위면 /크기: 약 10cm~26cm

생약명: 석위모,석위근,석사(石사), 석피(石皮), 석위(石葦), 금성초(金星草)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잎이 드문드문 돋는다. 잎은 긴 타원형인데, 겉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누런 갈색이다.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살며, 잎과 줄기는 이뇨제로 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석위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35624

 

 

 

뿌리줄기는 땅속에 있으며 길고 다갈색 인편(鱗片)들로 덮여 있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7㎝ , 너비 2~6㎝이다.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뒷면에는 갈색의 별처럼 생긴 털들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6~26㎝ 정도이다.

 

포자낭은 잎 뒤에 골고루 퍼져 있으며 포막(苞膜)은 없다. 잎 또는 식물 전체를 그늘에 말린 것을 석위라 하여 한방에서 임질 또는 기관지염의 치료나 이뇨제로 쓴다.

 

남쪽 지방의 그늘진 바위나 오래된 나무 표면에 자라지만 현재는 많은 관엽식물 품종들이 만들어져 널리 심고 있다.

 

잎에 잔털이 밀생하는 우단일엽(P. linearifolia), 잎이 단풍잎처럼 갈라져 있는 세뿔석위(P. tricuspis), 석위와 비슷하지만 잎이 작은 애기석위(P. petiolosa) 들도 석위처럼 이용된다. 申鉉哲 글

 

애기석위

 

 

석위 (학명: Pyrrosia lingua (Thunb.) Farwell)

 

잎은 드물게 근경에서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가 10~26cm이며 가늘고 길며 빳빳하고 흑색이 나며 홈이 파지고 성상모가 있으나 밑부분이 근경에서 나와 인편으로 덮인 짧은 가지와 연결되며 인편은 길이 7-8mm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은 갈색이 도는 성상모가 밀생하고 중륵이 뚜렷하게 도드라진다.

 

가장자리는 약간 파상이다. 열매의 포자낭군은 갈색의 점모양 조밀하게 잎 뒷면에 덮여 있다. 줄기는 근경은 거칠며 가냘프고, 적갈색의 인편이 덮여 있다. 뿌리의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3mm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길이 4mm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 출처: 무지개세상

 

 

 

생육환경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란다.

▶음지 또는 적당한 반음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지에서도 어느 정도 적응한다. 건조에는 강한 식물이므로 지하부의 물빠짐이 좋아야 한다. 충분히 관수하여 축축하게 관리하며, 공중습도는 다습하게 관리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중간 /수분: 습윤 

 

번식방법

수태나 배양토에 심는다. 그늘 또는 반그늘에서 잘 자라고, 5℃ 이상에서 월동하며, 10~21℃에서 잘 생육한다. 

 

석위의 잎줄기

 

▶화분에 심어 관상하거나 수태에 심어 Hanging plant로 이용된다.

 

▶잎은 석위(石韋), 근경은 석위근(石韋根), 잎에 있는 털은 석위모(石韋毛)이다.

 

1.석위(石韋) :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잎이며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수치(修治) : 협잡물을 제거한 후 흙이나 모래를 털어 씻고 솔로 용모(茸毛)를 제거하고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반드시 황모(黃毛)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며 엽병을 제거해서 약용할 것이며 반드시 뭉근한 불에 쬐어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양(羊)의 기름에 볶아 말려서 사용한다.

ⓑ성분 : 석위, 애기석위의 전초는 모두 flavonoid를 함유한다. 석위의 전초는 그 위에 szponin, anthraquinones, tannin, hopene-b, β-sitosterol을 함유하고, 애기석위의 전초는 phenolic substances, 수지(樹脂), saponin을 함유한다. 이 밖에 분리된 결정성분(結晶成分)으로는 fumaric acid, caffeic acid, isomangiferin 등이 있다.

ⓒ약효 : 설열, 이수(利水), 통림배석(通淋排石), 청폐(淸肺), 止血의 효능이 있다. 임병(淋病)으로 인한 통증, 혈뇨, 요로결석, 신염(腎炎), 자궁출혈, 세균성설사,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咳嗽), 만성기관지염, 창상(創傷), 옹저(癰疽)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대제大劑는 30-90)을 달여서 또는 산제(散劑)로 복용한다.

ⓔ배합 금기사항 : 단사(丹砂)를 억제하고 음허(陰虛) 또는 습열(濕熱)이 없는 자는 복용을 피한다. 골석(滑石), 행인(杏仁), 사간(射干)은 상사(相使), 창포(菖蒲)는 상득(相得)이다.

 

석위의 잎(뒷면)

 

2.석위근石韋根 :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근경(根莖)이다.

ⓐ약효 : 통림(通淋), 소종(消腫), 제노열(除勞熱), 지혈(止血), 창상출혈(創傷出血)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가루를 산포(散布)한다.

 

석위의 줄기

 

 

3.석위모(石韋毛) :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잎에 있는 털이다.

ⓐ약효 : 화상에 바른다. 

 

세뿔석위의 털

 

 

애기석위(P. petiolosa Ching)

 

 

유사종

▶우단일엽(P. linearifolia Ching)

▶애기석위(P. petiolosa Ching)

▶세뿔석위(P. tricuspis Tagawa)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동속식물

 

단풍잎석위 Pyrrosia polydactyla (Hance) Ching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우단일엽 Pyrrosia linearifolia (Hook.) Ching 

큰우단일엽 Pyrrosia×nipponica Beppu et Serizawa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단풍잎석위

 

학명: Pyrrosia polydactyla (Hance) Ching

분류: 고란초과(Polypodiaceae)

학명풀이: Pyrrosia: 그리스어 pyrros '불꽃 색깔의‘ - 적황색의 엽상체를 가리킴

polydactyla: poly '많은‘; dactylos '손가락’

 

세뿔석위와 모양이 아주 비슷한데 , 잎이 5-7갈래로 relv이 갈라진다. 대만의 높은 산에 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풍잎석위 Pyrrosia polydactyla (Hance) Ching

 

 

사자머리석위 

 

영명 : Tongue Fern

학명 : Pyrrosia lingua 'Obake'

분류 : 고란초과의 상록양치식물

 

 

사자머리석위 : Pyrrosia lingua 'Obake'의 변종 애기사자머리석위

 

사자머리석위 : Pyrrosia lingua 'Obake'

 

 

애기석위

 

학명: Pyrrosia petiolosa (Christ. et Baroni) Ching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한국, 중국, 몽골 등에 분포한다.

일반적 특징 :

높이 5~15cm이다. 영양엽의 잎몸은 달걀 모양으로 가죽질을 띠며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별 모양의 갈색 털로 덮인다. 포자엽의 뒷면에도 별 모양의 갈색 털이 있고 그 안에 포자낭이 숨어 있다. 포자낭군은 둥근 모양으로 뒷면 전체에 달린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서식처 및 분포] : 우리나라 남부지방, 특히 섬 지방의 산지 바위 또는 노목에 붙어 자생한다.

[약효 또는 용도] : 관상용으로 심고 민간에서 전초 및 포자를 보익, 지혈, 이뇨, 항암 등에 활용한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애기석위는 분에 식재하는 것 보다 돌에 붙이는 것이 식물의 생리에도 맞고 운치도 더 있어 보인다. 돌에 생명토와 이끼를 반죽하여 붙이고(얇게, 생명토가 이끼를 반죽하는 것은 생명토가 떨어지지 말라고) 그 위에 애기석위를 붙인다. 그 다음 실로 떨어지지 않게 묶어 두고 물 관리만 잘 하면 1년이면 충분히 붙는다. 그런데 작품화 되려면 세월이 많이 걸린다. 인내심이 요구된다.

 

창석위

 

 

창석위

 

 창석위는 상록이며 변이종이 가끔 나온다. 창석위를 가지고 작품을 만들려면 최소한 5년 이상은 길러야 한다. 그 만큼 다른 풀들에 비해 작품화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창석위의 산지는 남해안이다. 그러나 창석위의 환경 적응력이 우수해 내륙에서도, 양지쪽에서도, 음지에서도 잘 견딘다. 창석위는 재배하는 그릇이나 환경에 따라 잎이 조금씩 달라진다.

 

잎이 넓은 것도 돌붙임 해 놓고 3.4년 동안(물을 적게 주면) 잎이 좁아지는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수분을 조절하면 잎 뒷면의 포자가 일찍 형성 되어 운치를 더한다.

 

 

 

세뿔석위  Pyrrosia tricuspis (SW.) TAGAWA

 

세뿔석위

 

힉명: Pyrrosia tricuspis (SW.) TAGAWA

 

바위 표면의 틈에 붙어서 사는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제주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에 분포하며 국외로는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15~20cm 정도로 자라는 뿌리줄기는 지름이 4mm이며 옆으로 뻗는다.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의 비늘조각이 덮여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다. 잎은 질이 두꺼우며 표면이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 별처럼 생긴 갈색의 털이 촘촘히 난다. 가장자리가 보통 3~5개로 갈라지며 중앙의 갈래조각이 가장 크다. 포자낭군은 3~6줄로 측맥 사이에 퍼져 있다. 모양이 특이해서 관상용으로 분재하며 전체를 약으로 쓰기도 한다.

 

세뿔석위 만큼 변이가 많은 식물은 드물 것이다. 변이가 많아 모양이나 색깔에 따라 붙여진 이름도 다양하다. 오손석위, 톱니석위, 흰 우단 석위, 붉은 석위, 흰 줄무늬 석위, 은행잎 석위 등 매우 다양하다.

 

 

쇠뿔석위 변이종-고흥쇠뿔석위

 

세뿔석위는 주로 남해안 바닷가 벼랑 바위에 붙어 자생하는 식물인데 2003. 여름 매미(태풍)의 습격으로 모두 실려 갔거나 짠물에 담겨서 목숨을 잃어 버렸다. 매미가 지나간 자리에서 세뿔석위를 찾기 어려워 졌고 매미의 피해를 적게 입은 지방의 해변에서는 가끔 발견되리라 생각된다.

 

중부지방에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로 그 가치 또한 모르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뿔석위의 희소성과 함께 그 가치를 알게 될 날이 멀지 않았다고 보여 진다.

 

 

세뿔석위  Pyrrosia tricuspis (SW.) TAGAWA

 

세뿔석위를 처음 재배하는 사람을 보면 이른 봄에 잎이 펴지기 전에 말라 비틀어져 있으면 그 잎을 죽은 잎으로 생각하고 모두 잘라 버리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죽은 잎이 아니다. 날이 풀리고 물을 주면 훌륭한 잎들이 쫙쫙 펴진다. 말라비틀어진 것을 모두 잘라 버리면 새싹이 나기 어렵다. 기존의 잎에서 탄소동화작용을 해 주어야 새 싹도 나오는 것이다.

 

 

석위변이종-거제대포 석위

 

 

은행잎석위

 

 

 

톱석위

 

 

 

고려석위

 

 

 

 

별석위

 

 

 

 

고란초과 [Polypodiaceae]

 

고란초목(皐蘭草目 Polypodiales)에 속하는 양치류의 한 과.

 

30~50속(屬)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속의 수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이 과에 속하는 종류는 1,000종(種) 이상으로 매우 넓은 지역에서 자라는데, 식물체의 크기는 작거나 중간 정도이다.

 

한때 고란초과에 속하는 속의 수가 170 이상, 종의 수가 7,000 이상 되었으나 현재는 이들 대부분이 다른 과에 속하고 있다. 그러나 진화상으로 볼 때 모두 고등한 형질들을 갖고 있어 지금도 이들을 함께 묶어 고란초무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긴 자루가 달려 있는 포자낭과 불완전하며 두꺼운 벽을 가진 세포들이 띠를 이루어 수직으로 배열된 환대(環帶)를 들 수 있다. 또한 현재 고란초과에 속하는 종류들 대부분은 열대나 아열대에서 다른 식물에 뿌리를 내리고 사는 착생식물들로서, 뿌리처럼 생긴 기는줄기가 있으며 특이하게 생긴 비늘조각들이 그 줄기를 덮고 있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잎의 아래쪽에는 둥그렇거나 타원처럼 생긴 포자낭의 무리인 포자낭군이 있으나, 다른 양치류에서 볼 수 있는 포막은 없다. 줄기와 잎에 털의 있고 없음과 털의 형태, 포자낭군의 배열상태, 기는줄기의 형태, 자랄 때의 습성 등 여러 특징들에 의해 과에 속한 속들을 구분하며, 과의 한계를 정하거나 속들을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한 속은

75종으로 이루어진 미역고사리속(Polypodium),

40종으로 이루어진 버들일엽속(Loxogramme),

100여 종으로 이루어진 석위속(Pyrrosia),

17종으로 이루어진 박쥐난속(Platycerium),

40종으로 이루어진 플레오펠티스속(Pleopeltis)과

60종으로 이루어진 미크로소리움속(Microsorium) 등이 있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약 150종으로 이루어진 그람미티스속(Grammitis),

약 200종으로 이루어진 크테놉테리스속(Ctenopteris) 및 다른 7개 속에 속하는 식물들을 흔히 난쟁이고란초라고 부르며 때때로 고란초과에 넣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그람미티스과(Grammitidaceae)로 분리하고 있다.

 

경제적으로 볼 때는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몇몇 종류들은 관상용으로 심고 있으며, 특히 이중에서도 박쥐난속과 미역고사리속 식물들을 널리 심는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우리나라에는 버들일엽속의 버들일엽(L. salicifolia) 등 3종, 미역고사리속의 미역고사리(P. vulgare) 등 3종, 석위속의 석위(P. lingua) 등 4종이 자라며 이중 석위의 잎과 뿌리는 약으로 쓰고 있다. 또한 고란초속(Crypsinus)의 고란초(C. hastatus), 콩짜개덩굴속(Lemnaphyllum)의 콩짜개덩굴(L. microphyllum), 일엽초속(Lepisorus)의 일엽초(L. thunbergianus) 등이 있다. 이밖에 박쥐난속 식물들을 온실에 심고 있다.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생약명: 석위[石韋]

 

다른이름 : 金星草(금성초),石䩾(석사),石蘭(석란),石葦(석위),石皮(석피)

약       맛 : 고(苦)  감(甘)     

귀       경 : 간(肝)  폐(肺)  방광(膀胱)    

주       치 : 衄血, 淋病, 崩中漏下, 吐血, 肺熱咳嗽

약용부위 : 풀전체

처       방 : 순경산(順經散) : 의학입문                  석연환(石燕丸) : 동의보감

금       기 : 陰虛者와 濕熱이 없는 者는 服用을 禁한다.

효       능 : 利水通淋,淸熱止血,淸肺化痰

 

주치증상 : "<本經(본경)> : 虛熱(허열)과 邪氣(사기)의 침범을 치료하고 소변이 막혀 잘 통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치료하며 下氣(하기)시키는 작용이 있다. 방광이 막혀서 가득한 증상을 치료하고 과로로 인한 쇠약을 치료하고 五臟(오장)을 안정시키며 惡風(오풍)증상을 없앤다. 精氣(정기)를 북돋운다.<日華子本草(일화자본초)> : 소변이 똑똑 떨어지고 시원하게 보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蘇頌(소송) : 볶아서 가루내어 시원한 술과 함께 복용하면 등의 종기를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 여성의 崩漏(붕루)와 금속에 의하여 다친 상처를 치료하며 肺氣(폐기)를 맑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石䩾(석자), 石皮(석피), 石蘭(석란)이 있다.

陶弘景(도홍경) : 자갈밭에 가죽 같은 잎이 나오기 때문에 石韋(석위)라고 하였다.

李時珍(이시진) : 부드러운 가죽을 韋(위)라고 하고 䩾(자) 또한 가죽을 뜻한다."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석위(石韋)는 맛은 쓰고도 달며, 성질은 평하고(微寒) 폐경, 방광경에 작용한다. 석위의 잎은 설열, 이수, 통림배석, 청폐, 지혈의 효능이 있어 임질, 혈뇨, 요로결석, 신염, 폐열로 인한 해수, 만성기관지염, 창상, 옹저를 치료하며, 석위의 뿌리는 통림, 소종, 제노열, 지혈 등에 사용하고, 석위모(잎의 작은 털)은 화상에 바른다고 한다.

 

약리 실험에서 진해 거담작용, 이뇨작용, 결석용해와 배석작용, 황색포도상구균, 이질균,변형간균의 억제작용이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중국에서 석위의 임상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고 한다.

 

급성신염과 신우신염에는 석위 20-30g 물 500-1리터를 넣고 1시간 전탕하여 1일 2회 공복에복용하거나 차 대용으로 마시면 매우 높은 치유율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103증레의 환자중에서 급성 사구체신염 39증례 에서 유효율이 92.3% 신우염 20중에 유효율 85%로 나타났다.

 

요로 결석에는 석위 30-60g 차전자 30-60g 생치자30g 감초 8-15g 물 3-3,5리터를 붓고 40분 전탕하여 차로 복용한 결과 33증레에서 결석이 배출되였고 46증례에서는 증상이 완화되였고 전체적으로 보면 97.5%의 유효율을 나타냈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3일에서 21일사이에 배출이 된다.

 

만성기관지염에석위 30g 설탕 30g을 쓰는데 먼저 석위를 3회에 걸처 다려서 매 1시간마다 한번씩 다릴 때에 농축액이 500미리리터가 되게하여 설탕을 넣고 복용한다. 이를테면 3회 복용량이 1개월분에 해당하는데 500증례의 환자 중에서 98%의 유효율를 기록했다는 보고가 있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기관지 천식에는 석위 45g 을 다려서 농축하고 여기에 설탕을 넣고 1일 3회로 나누어 복용하면 81.8%의 유효율을 보였는데 어린이는 나이와 체중을 가려서 복용하며,백혈구 감소증에 석위 30g 대추 10개를 환자 증상에 알 맞게 배합해서 복용하면 탁월한 반응을 얻게 된다.

 

신장결석에는 석위, 산약, 산수유, 오미자, 호장근은, 목통을 다려 먹으면 결석이 삭아서 나온다고 한다. 약효와 사용방법 이뇨 하루 6~12그램을 정량으로 하여 물 400cc에 넣고 1/3의 양이 될 때까지 달여 3회 나누어 복용한다.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와 바위손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Christ &Baroni) Ching와 골무꽃

 

 

 

 

 


석위 Pyrrosia lingua (Thunb.) Farw.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귤나무  (0) 2012.03.12
단풍나무   (0) 2012.03.12
보리  (0) 2012.03.10
주목  (0) 2012.03.09
며느리밑씻개  (0) 2012.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