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소경불알

호남인1 2012. 1. 1. 06:51

 

 

 

 

소경불알

학명: Codonopsis ussuriensis (Rupr. &Maxim.) Hemsl.

 

이명: 소경불알더덕,알더덕,만삼아재비,까치더덕, /원산지: 한국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더덕속

 

여러해살이 덩굴풀.

덩이뿌리는 둥글고, 줄기는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는데 곁가지에서는 네 개가 마주난 것처럼 보이며, 7~9월에 자줏빛 꽃이 가지 끝에 핀다. 뿌리는 식용한다. 우리나라, 일본,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더덕과 흡사하지만 잎은 더덕보다 연두색이고 4잎 가운데 떡잎이 더 달린다.땅속뿌리는 둥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소경불알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26945

 

 

 

소경불알 (학명: Codonopsis ussuriensis (Rupr. &Maxim.) Hemsl.)

잎은 호생하나 측지에서는 4개의 잎이 대생한 것 같이 보이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4.5cm, 나비 1.2~2.5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백색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1-1.5cm, 나비 4-6mm로서 녹색이다. 화관은 종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약간 뒤로 말리고 길이 2-2.5cm로서 안쪽은 짙은 자주색이며 겉은 윗부분이 더욱 짙은 자주색이고 밑부분은 연한색이다. 열매는 원추형이다. 뿌리는 전체에 털이 있고 괴근 끝이 가늘어지지 않아 둥근 모양이다.

 

 

 

 

 

소경불알과 더덕의 비교

 

소경불알이 꽃이 좀 작음, 꽃줄기는 더덕이 더 긴 편임

소경불알은 잎의 수가 3개인경우가 많음(4개중 한개는 작은 잎) 더덕은 잎이 4개임,

소경불알-꽃전체가 자주색이 진함, 꽃이 말린부분 자주색이 얕은 편임, 꽃 안쪽에 자주색의 뚜렷한 태가 있음태가 뚜렷함, 암술머리 미색임

더덕-녹색이며 자주색이 약간 있음, 꽃이 말린부분 자주색이 깊이 들어감. 꽃 안쪽 태가 없음 꽃안쪽 전체가 자주색 점이 많음

 

원문/소경불알과 더덕의 비교 /http://cafe.daum.net/parkju5000/6Xph/308?docid=1D16x|6Xph|308|20100816141645&q=%BC%D2%B0%E6%BA%D2%BE%CB

소경불알

 

 

왼쪽 소경불알, 오른쪽 더덕(소경불알 덩굴에 더덕꽃 한개를 끼워서 찍은 것임)-어느 산약초 시험장에서

 

 

더덕꽃

 

 

소경불알

 

 

왼쪽 소경불알, 오른쪽 더덕

 

 

왼쪽 소경불알, 오른쪽 더덕

 

 

더덕잎

 

 

더덕(소경불알은 더덕처럼 꽃대가 많이 늘어나지 않음)

 

 

 

소경불알과 더덕이야기

http://www.kyco235.com/?document_srl=2190&mid=freeboard

 

예전에 ‘눈 감으면 코 베어가는 세상’이라는 말이 있었는데언제부터인가 ‘눈 뜨고도 코 베어가는 세상’이란 말로 바뀐 것 같다.그만큼 오늘날 세상살이가 각박해졌다는 말이다. 눈을 떠도 코를 베인다는데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은 오죽할까.

 

그런저런 생각에 밑 터진 자루처럼 생긴 소경불알의 꽃을 보면알맹이를 도둑맞은 밑 터진 불알로 보여서 슬며시 웃음이 나왔다.그런데 더덕의 꽃도 소경불알의 꽃과 아주 닮았으므로꽃 모양에서 소경불알의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소경불알과 더덕은 웬만한 사람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닮았다.책에 나와 있는 구별법이나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를 추려보면,첫째, 더덕은 꽃 안쪽에 자주색 반점이 있는 반면 소경불알에는 없고,둘째, 두 가지 식물 모두 잎줄기에 네 장의 잎이 달리지만더덕은 잎 크기가 모두 같고 소경불알의 잎은 넷 중 하나가 작으며,셋째, 소경불알에는 더덕 특유의 향기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막상 이들을 만나면 말처럼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다.왜냐하면 꽃 안쪽에 있는 자주색 반점이 개체에 따라 변이가 많고,잎의 크기도 서로 비슷한 듯 보이기도 하고 작은 듯도 보일 것이며,더덕도 꽃이 필 때는 향기가 별로 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 두 가지 식물은 뿌리를 캐보면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더덕의 뿌리는 도라지와 비슷하게 길게 자라며 향기가 있는데,소경불알의 뿌리는 그야말로 불알처럼 둥근 모양에 주름이 있다.게다가 막 캐내었을 때 묻어난 부엽토의 거무스레한 색깔하며잔털이 많이 달려서 성인 남자의 그것과 영락없이 닮았다.

 

그런데 ‘불알’ 앞에 ‘소경’이란 접두사를 붙인 까닭이 궁금했다.소경이란 봉사와 함께 옛날에 많이 쓰이던 말이었는데분별력이 모자란 사람을 빗대어 하는 말이기도 했다.감각과 분별력이 무딘 사람이 그로 말미암은 잘못을 했을 때, 옛날에는 ‘아이구! 이 소경아....’라는 핀잔을 듣기 십상이었다.

 

두메산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나도 그런 말을 들어보았다.내가 열 살쯤 되었을 무렵부터 효자의 소질이 좀 있었는지농사일에 바쁘신 부모님의 일손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린답시고소꼴도 베고, 나물도 뜯고, 더덕이나 도라지도 캐오곤 했다.

 

더덕을 캐온 걸망에 이 불알처럼 생긴 뿌리가 몇 개 섞여있으면‘아이구! 이 소경이 더덕을 캐러 가더니 불알까지 캐왔네....’하고 집안이나 이웃의 어른들이 우스갯소리로 놀려대곤 했다.

 

이처럼 ‘

소경불알’이란 분별력이 모자란 사람이 더덕을 캔다는 것이불알처럼 생긴 뿌리를 캐 온데서 유래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았다.

 

 

 

 

더덕속 (Codonopsis) 5종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Zucc.) Trautv.)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Maxim.) Hemsl.)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푸른더덕 (Codonopsis lanceolata for. emaculata (Honda) H.Hara)

 

 

초롱꽃과(Campanul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0.17 11:07

소경불알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30 18:1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쟁이에 대하여(약성.약효)  (0) 2012.01.01
지리터리풀 - 포토  (0) 2012.01.01
세발버섯   (0) 2011.12.31
섬초롱꽃   (0) 2011.12.31
섬자리공   (0) 201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