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현삼속

호남인1 2016. 1. 30. 15:21

 

 

 

 

 

 

 

현삼속

Scrophularia

현삼속[Scrophularia Linne`] 英 : Figwort  日 : Gomano-hagusa Zoku

 

 

 

 

 

생물분류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합판화아강(Sympetalae)

꿀풀목(Lamiales) Bromhead

현삼과(Scrophulariaceae)

현삼속(Scrophularia)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꿀풀목 >현삼과 >현삼속

 

 

세계의 북반구와 지중해에 300종, 우리 나라에는 5종, 초본 또는 반관목, 좋지않은 냄새가 남.

잎은 대생 또는 호생,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것과 밋밋한 것이 있음.

꽃은 취산화서, 원추형으로 늘어서고, 꽃받침은 깊게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통은 타원형. 한쪽이 볼록하게 나오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짐.

수술은 2강 웅예.

============================================================================================================================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의 꽃차례

 

 

 

 

============================================================================================================================

Daum 백과사전

 

 

현삼류

figwort

 

요약 : 현삼과 현삼속에 속하는 약 200종의 거친 식물.

 

북부 온대의 탁 트인 삼림지에 자생한다. 'figwort'라는 영어 이름은 한때 'fig'로 알려졌던 고질병인 치질을 치료하는 데 이 식물을 썼기 때문에 붙여졌다. 현삼류는 다소 키가 크고 종종 악취가 나는 식물로 자주색·초록색·노란색 꽃이 많은 가지를 치는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북아메리카 동부에 귀화식물로서 널리 자라는 영국산 스크로풀라리아 노도사는 크기가 콩만한 꽃을 피운다.

카프카스산 스크로풀라리아 크리산타는 녹색을 띠는 노란색 꽃이 피며 화단의 가장자리에 심기도 한다.

스크로풀라리아 마릴란디카는 키가 3m까지 자라며 녹색을 띠는 자주색 꽃이 피는데, 홈이 팬 네모진 줄기 때문에 영어로 'carpenter's square'라고 한다.

 

 

섬현삼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

국내서식 현삼속 (Scrophularia) 10종 바로가기

 

 

개현삼 (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

몽울토현삼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설령개현삼 (Scrophularia borealikoreana Nakai)

섬현삼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일월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Sakata)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Yamaz.)

좀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Nakai)

큰개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개현삼 (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이 화서 

 

 

 

 

 

 

 

============================================================================================================================

국내서식 현삼속 (Scrophularia) 10종 특징요약

 

 

 

 

-------------------------------------------------------------

1. 개현삼

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

 

 

근엽은 꽃이 필때 쓰러지고 경엽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7~12cm, 나비 4~10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약간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날개가 있다.

 

과실은 삭과로 난상 구형이다.

 

꽃은 6∼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는 모여서 하나의 큰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은 5열하고 화관은 짧은 통상 순형이며 수술은 2강웅예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모가 지며 날개가 있고 전주에 털이 없다.

 

 

개현삼 (Scrophularia grayana Maxim. ex Kom.)

 

 

 

 

 

-------------------------------------------------------------

2. 몽울토현삼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잎은 대생하고 장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10~15cm, 나비 4~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엽병은 짧다.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개로 갈라진다.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

 

 

 

몽울토현삼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

3. 설령개현삼

Scrophularia borealikoreana Nakai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에두 절저이고 길이 7~12cm, 폭 4~10cm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7~15mm로서 날개가 있다.

 

삭과는 난상 구형이고 길이 5~8mm, 지름 4~6mm이며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1mm 정도로서 7개의 종선이 있으며 옆으로도 선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화서는 모여서 하나의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소화경에 선상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길이 2mm, 지름 5mm로서 털이 없으며 화관은 길이 8-9mm이고 통부는 길이 5mm, 지름 4mm이며 암술대는 길이 3~3.5mm이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며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높이 50-90cm이고 원줄기에 날개가 있으며 털이 없다.

설령개현삼 (Scrophularia borealikoreana Nakai)

 

 

 

 

 

-------------------------------------------------------------

4. 섬현삼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경생엽은 길이 4~7.5cm이지만 가장 큰 잎은 길이 12~18.5cm, 폭 9~11cm로서 둔두이며 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크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삭과는 둥글고 길이 8~9mm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추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며 화서는 길이 15~32cm로서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2.5~3mm, 지름 5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서로 포개지고 열편은 둔두이며 길이 1.5mm, 폭 3mm이고 화관은 길이 1cm 정도로서 녹색이 도는 자주색이며 통부는 길이와 지름이 각각 5~6mm이고 정열편은 길며 3개로 갈라진다. 암술대는 길이 2mm이지만 자라서 3mm 정도로 되고 암술머리는 점상이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에 날개가 있다.

 

 

섬현삼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

5. 일월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Sakata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과 엽병에 털이 밀생한다.

 

삭과는 난형 예두로서 2개로 갈라진다.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는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화서에 털이 밀생하고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원줄기에 털이 밀생한다.

 

 

일월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var. melutina Sakata ex Uyeki &Sakata)

 

 

 

 

 

 

-------------------------------------------------------------

6.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Yamaz.

 

 

과실은 삭과로 난형이다.

 

꽃은 7~8월에 황록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가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포는 소형으로 선상 피침형이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난형이며 화관은 길이 6~7mm이고 통부는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수술은 2강웅예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털이 없다.

 

뿌리의 1부는 방추형으로 비대하다.

제주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var. quelpartensis Yamaz.)

 

 

 

 

 

-------------------------------------------------------------

7. 좀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Nakai

 

 

잎은 대생하고 소형으로 길이 2~4cm, 나비 1~2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수평이며 가장자리에 많은 뾰족한 톱니가 있다.

 

과실은 난형이다.

 

꽃은 8~9월에 암홍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는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7~15mm이고 화축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짧으며 5열하고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길이 약 8mm이고 수술은 4개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자줏빛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몇 개의 뿌리가 비대하여 방추형으로 된다.

좀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var. microphylla Nakai)

 

 

 

 

 

 

-------------------------------------------------------------

8. 큰개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긴 난형으로서 예첨두이고 절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폭 3~5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삭과는 난형으로서 지름 5~8mm이고 2개로 갈라지면서 종자가 나온다.

 

꽃은 8~9월에 피고 흑자색이며 취산화서는 모여서 전체가 원추화서로 되고 소화경은 길이 7-15mm이다. 꽃받침은 짧으며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8-10mm로서 통부가 짧으며 가장자리가 5개로 갈라져서 순형으로 되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진다.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수술 4개 중 2개는 길며 화축과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다. 줄기는 자주색이며 가지가 갈라진다.뿌리는 다육질의 괴근이다.

 

 

큰개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

9.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삭과는 난형 예도로서 각편으로 벌어지고 종자는 세소하다.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추화서에 달리고 원추화서는 취산화서가 모여 이루어지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짧고 작으며 끝이 뭉뚝하거나 또는 날카롭다. 화관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높이가 1.5m에 달하고 모가 지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Nakai)

 

 

 

 

 

 

-------------------------------------------------------------

10.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잎은 대생하며 긴 난형이고 예두이며 절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2.5-5cm로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날개가 약간 있거나 없다.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2각편으로 벌어진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취산화서는 짧은 화경과 더불어 길이 1-2cm로서 선모가 많고 화서는 줄기 끝에서 모여 전체가 수상 원추화서로 되며 포가 작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또는 난원형이다. 화관은 길이 6-7mm로서 통부가 단지모양이며 끝이 순형이고 하순이 밑으로 젖혀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줄기높이는 80-150cm이며 사각형이고 가지는 곧게 자라며 털이 없다.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북야생화(들꽃맟이) http://www.jbwildflower.or.kr/

인어의향기 / http://www.sollife.com/main.php  

 

 

 

 

 




Beethoven
Eleven Bagatelles op. 119



No. 1 in G minor: Allegretto
No.. 2 in C major: Andante con moto 
No. 3 in D major: A l'Allemande 
No. 4 in A major: Andante cantabile 
No. 5 in C minor: Risoluto 
No. 6 in G major: Andante- Allegretto 
No. 7 in C major: Allegro ma non troppo 
No. 8 in C major: Moderato cantabile 
No. 9 in A minor: Vivace moderato 
No. 10 in A major: Allegramente 
No. 11 in B flat major: Andante ma non troppo 


 

 

 

 

============================================================================================================================

바로가기

 

현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현삼  (0) 2016.01.30
현삼  (0) 2016.01.30
현삼목  (0) 2016.01.30
속씨식물의 과 목록  (0) 2016.01.30
금어초  (0)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