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현삼목

호남인1 2016. 1. 30. 15:19

 

 

 

 

 

 

현삼목

Scrophulariales

 

 

 

 

분류: 피자식물문 >쌍딱잎식물강 >합판화아강 > 현삼목

 

쌍떡잎식물강(雙─植物綱 Magnoliopsida)에 속하는 꽃피는식물의 한 목.

18과(科), 870여 속(屬), 1만 1,800여 종(種)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분포한다.

=============================================================================================================================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의 꽃차례

 

 

 

 

=============================================================================================================================

Daum 백과사전

현삼목

Scrophulariales

 

 

요약

쌍떡잎식물강(雙─植物綱 Magnoliopsida)에 속하는 꽃피는식물의 한 목.

18과(科), 870여 속(屬), 1만 1,800여 종(種)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분포한다.

 

이 목의 2/3가량은 초본성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관목이며, 몇 종만이 목본성 덩굴식물이나 교목이다.

토마토 같은 식용식물, 약용식물, 담배, 기생성 잡초들이 이 목에 속한다. 현삼목의 약 2/3는 열대지역에 서식하며, 1/3이 온대지역에, 그리고 약 50종이 북극지방에 분포한다. 대부분은 다년생이지만, 오래 살지 못하는 열대산 풀이나 오래 사는 열대산 교목도 있다(게스네리아과, 쥐꼬리망초과).

 

줄기의 길이가 약 10cm인 우트리쿨라리아 올리바케아(Utricularia olivacea)부터, 높이가 50m이고 지름이 2m까지 자라는 교목인 타베부이아 구아이아칸(Tabebuia guayacan)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현삼목의 가장 작은 열매는 미크란테뭄속의 삭과로 길이가 1.5㎜ 이하이고, 가장 큰 열매는 길이 60~121cm, 너비 7.62cm의 오록실룸 인디쿰(Oroxylum indicum)이다. 소시지나무 열매는 때로 길이가 91cm이며 무게가 7kg 이상인 것도 있다. 현삼목에는 수생식물과 기생식물도 있다. 수생식물인 통발과(Lentibulariaceae) 중에 통발속(Utricularia)만이 물 속에서 먹이(원생동물, 갑각류, 연형동물, 갓 부화한 물고기)를 포식하는 '육식성' 식물이다(식충식물). 기생식물에는 열당과(Orobanchaceae), 현삼과의 2과가 있는데, 현삼과 식물은 농업적으로 중요한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당과의 아이기네티아속과 크리스티소니아속은 사탕수수에 기생하는 반면에, 현삼과의 스트리가속(Striga)과 알렉트라속의 기생성 위치위드는 옥수수·사탕수수·벼·수수·땅콩·대두·담배에 기생한다.

 

현삼목의 가장 중요한 식용식물인 가지과(Solanaceae)의 감자(Solanum tuberosum)는 열대지방의 저지대를 제외한 세계 도처에서 주요식품으로 재배된다.

 

감자는 땅속줄기가 부푼 덩이줄기로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토마토는 아메리카에 자생하는 현삼목의 또다른 식물로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매우 주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며, 인도가 원산지인 가지(Solanum melongena)는 그 열매가 채소로 이용된다. 가지의 영어 이름인 'eggplant'는 흰색 열매가 달리는 어떤 변종의 모양이 달걀과 유사하여 붙여졌다.

 

현삼목 중 고추속의 여러 식물들에서만 파프리카·고춧가루·붉은고추·칠리 등의 향신료를 얻을 수 있으며, 유럽과 아시아에 자생하는 참깨(Sesamum orientale)는 씨와 기름을 유용하게 이용된다. 가지과에는 유용한 약품을 생산하는 몇몇 종들이 있는데, 벨라돈나풀로 벨라돈나와 아트로핀을, 사리풀로 스코폴라민을, 독말풀로 다투라를 만든다. 현삼과의 디기탈리스는 약품인 디기탈리스의 원료이다.

 

가지과의 식물 중에서 독말풀, 흰독말풀(tree daturas), 메티스티코덴드론 아메시아눔, 두보이시아속, 그리고 담배 등에는 마취성분이 있다.

 

현삼목의 초본성 식물 중 많은 수가 원예용과 온실용으로 선호되는데, 이들에는 페튜니아·금어초·아프리칸바이올렛·글록시니아·펜스테몬속(Penstemon) 등이 있다.

 

리키움속·피겔리우스속(Phygelius)·벨레페로네속 등은 관상용 관목으로 이용되며, 자카란다 미모시폴리아·밀링토니아 호르텐시아·스파토데아 캄파눌라타(Spathodea campanulata)·개오동류 등은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관상용 교목으로 적당하다.

 

꽃피는 덩굴식물로는 독산타 웅구이스카티와 피로스테기아 베누스타(Pyrostegia venusta)가 있다. 현삼목 중 드물게 몇몇 종은 꽃을 피우지 않고 제꽃가루받이를 하지만 대부분의 종들은 정상적으로 꽃이 피어 바람(예를 들면 느티나무속[Plantago])이나 곤충·벌새 등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데, 드물게는 소시지나무와 인디언트럼펫꽃에서처럼 박쥐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기도 한다.

 

씨들은 주로 바람·물·동물에 의해 퍼지나 현삼과의 개불알속(Veronica)·말람피룸속·송이풀속(Pedicularis) 등 극히 몇 종의 씨는 개미의 먹이로서 개미에 의해 퍼지거나 이식된다. 대부분의 식물은 열매가 삭과이지만 토마토 같은 장과(漿果)도 있으며, 놀라나과(Nolanaceae) 식물처럼 열매가 여러 부분으로 나뉘는 분과(分果)도 있다. 씨의 수는 글로불라리아속과 리토렐라속의 1개부터 열당과에 속하는 보스크니아키아 로시카의 33만 3,000개까지 다양하다.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의 땅속뿌리

 

 

 

현삼 (Scrophularia buergeriana Miq.)의 열매

 

 

 

 

 

=============================================================================================================================

바로가기

 

속씨식물의 과 목록 (APG 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과 목록(APG I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과 목록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기관과 기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기원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분류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진정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합판화아강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11.27 09:2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삼  (0) 2016.01.30
현삼속  (0) 2016.01.30
속씨식물의 과 목록  (0) 2016.01.30
금어초  (0) 2016.01.29
소엽풀  (0)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