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털개살구

호남인1 2015. 1. 19. 12:27

 

 

 

 

 

털개살구

학명: Pru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Nakai) W.T.Lee 

 

 

이명: 털개살구나무(중)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벚나무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충남, 강원 이북),만주, 우수리 /서식: 산기슭 양지 /크기: 높이 5~10m

생약명: 종자는 한방에서 해수·천식·편도선염·진통 등에 약재로 쓴다.

 

낙엽활엽 교목

개살구와 비슷하나 잎맥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털개살구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8984&mn=KFS_28_01_02_01

 

개살구나무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5~12cm이며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짬에 잔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3cm이다. 

 

과실은 핵과로 황색으로 익으며 떫은 맛이 강하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색 또는 거의 백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고 1~2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8mm이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으로 선상 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둥글고 길이 10~12mm이다. 암술대의 하반부와 자방에 털이 있다. 

수피는 코르크가 발달하며 소지는 밤색이고 털이 없다. 

 

충남, 강원 이북에 나며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낙엽활엽 교목이다. 

높이 5~10m이다.  

 

접붙이기로 번식한다. 

과실은 드물게 식용, 종자는 약용. 

털개살구는 개살구나무에 비하여 잎뒤 맥상에 털이 있다. 

 

 

 

 

=============================================================================================================================

 

두산백과

털개살구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교목.

 

학명: Prunus mandshurica var. barbinervis

분포지역: 한국(중부 이북)·중국

서식장소/자생지: 산지

크기: 높이 5~10m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5~10m이다. 나무껍질은 코르크질이 발달하였으며, 작은가지는 밤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길이 5~12cm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개살구와 비슷하나 잎맥에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잎 뒷면은 녹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2~3cm로 털이 없다.

 

꽃은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이며 4~5월에 잎보다 먼저 1개씩 핀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이며 털이 없고 줄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둥글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인데, 암술은 길이 15mm로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며, 암술머리는 술잔모양이다.

암술대 아래쪽과 씨방에 털이 난다.

 

열매는 지름 2~2.5cm의 달걀모양 핵과로 7~8월에 노랗게 익는다.

표면에 털이 많고 떫은 맛이 난다. 열매는 먹고,

종자는 한방에서 해수·천식·편도선염·진통 등에 약재로 쓴다.

밀원용(蜜源用)·관상용으로 심고 접붙이기로 번식한다. 한국(중부 이북)·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털개살구 (두산백과)

 

 

 

=============================================================================================================================

사진출처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벚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귀룽나무  (0) 2015.01.19
귀룽나무  (0) 2015.01.19
털시베리아살구  (0) 2015.01.19
시베리아살구  (0) 2015.01.19
개살구나무  (0) 201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