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백미속

호남인1 2014. 10. 26. 00:46

 

 

 

 

 

백미속

 

속명: Cynanchum

분류: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속

 

세계에 약 100종, 우리 나라에는 약 10종이 분포한다. 식물체에 흰색의 유액이 들어 있다.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한국서식 백미속 (Cynanchum) 15종 바로가기

가는털백미 (Cynanchum chinense R.Brown)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덩굴민백미꽃 (Cynanchum japonicum Morr. &Decne.)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Sav.) Matsum.)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Zucc.) Hemsl.)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L.) R.Br.)

자주박주가리 (Cynanchum purpureum (Pall.) K.Schum.)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Hara)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Sav.) Matsum.)

 

 

 

 

한국서식 백미속 (Cynanchum) 15종 특징비교

 

1.  가는털백미 (Cynanchum chinense R.Brown)

가는털백미는 좀박주가리라고도 하는데 박주가리보다는 백미꽃 집안에 속하는 식물이어서 이 이름을 택했다. 

본래 자생지는 몽고에서 만주를 거쳐 평안남도 지역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에 더 남쪽에서 발견돼 새로운 기록을 추가한 것이다.

여름이 시작할 무렵 피기 시작하여 여름내내 볼 수 있다.

순백의 아름다운 꽃이 피는데 자세히 보면 수술과 암술이 약간 뒤틀려 발달하는 꽃잎의 모양도 개성 있고, 심장형의 마주 달리는 잎 모양도 귀엽다.

 

가는털백미 (Cynanchum chinense R.Brown)

 

 

 

2.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없고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며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8cm, 폭 2-4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골돌은 길이 5cm, 폭 6-7mm로서 좁은 피침형이며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갈자색이며 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잎보다 짧거나 같으며 소화경은 길이 3-7mm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좁은 삼각형이고 때로는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좁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 3mm이고 부화관(副花冠)의 열편이 반원형이다. 

전체에 흰빛이 돈다.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3.  덩굴민백미꽃 (Cynanchum japonicum Morr. &Decne.)

잎은 대생, 도란형 또는 타원형, 길이 3-10cm, 폭 2-7cm, 끝이 짧게 뾰족하고, 맥에도 흰색의 곱슬곱슬한 털이 있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엽병은 길이 3-10mm이다. 

열매는 골돌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6cm, 지름 1.5c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넓은 난형이고 길이 8-10mm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황백색으로서 액생하는 산형화서로 달리고 화경(花梗)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5-10mm이고 화서에 흰색의 곱슬곱슬한 털이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통부는 꽃받침보다 짧으며 열편은 길이 4-5mm로서 털이 없고 부화관은 도란상 원형이며 암술과 수술이 합쳐진 대와 길이가 비슷하다. 

높이 30-80cm이고 원줄기는 여러 대가 총생하며 곧게 서지만 윗부분이 흔히 덩굴성으로 되고 줄기에 백색 곱슬털이 있다. 

 

덩굴민백미꽃 (Cynanchum japonicum Morr. &Decne.)

 

 

 

4.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잎은 대생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이고 넓은 피침형 또는 좁은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2cm, 폭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아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4mm이다. 

열매는 골돌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5cm, 지름 5-7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누른 빛이 돌고 윗부분의 엽액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이 없고 소화경은 길이 3-4mm로서 꽃보다 짧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며 부화관의 열편은 낮은 삼각형으로서 암술과 수술이 합쳐진 대 길이의 1/2정도이다. 

길이 40-100cm로서 곱슬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이 곧게 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이다.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5.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Sav.) Matsum.)

잎은 대생하며 터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에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8-15cm, 폭 4-8cm로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위에 굽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골돌과로서 길이 4-6mm, 지름 8mm로서 뿔모양이며 털이 없고 8~9월에 결실한다. 종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7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테가 있으나 날개로 되지 않고 백색 종모가 있다.

꽃은 백색으로 5-7월에 피며 화서는 원줄기끝과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3cm이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에 잔털이 있으며 화관은 백색이고 지름 2c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난형이고 길이 8-10mm로서 양쪽에 털이 없으며 장타원형이다. 부화관(副花冠)은 난상 삼각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높이 30-60cm로서 원줄기를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오고 녹색이며 곧게 선다.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Sav.) Matsum.)

 

 

 

6.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잎은 대생하고 길이 6-15cm, 폭 3-10cm로서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12mm이고 후질이다. 꽃- 화병이 있고 꼭대기 엽액마다 모여 달리고 화경이 거의 없으며 소화경은 산형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화관통보다 짧고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 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둔두이다. 부화관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며 끝은 더러 젖혀진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전체에 털이 밀포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와 근경을 백미라 한다.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7.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끝이 예첨두이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6-12cm, 폭 4-15mm로서 표면과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약간 뒤로 말리고 엽병은 길이 1-3mm이다. 

골돌과로서 뿔같으며 가늘고 길며 길이 6-8cm, 지름 6-8mm로서 털이 없고 종자는 좁은 난형이며 좁은 날개가 있고 길이 4-5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며 연한 황갈색이고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와 몇 개로 갈라지며 잎보다 짧거나 길고 꽃받침과 화관이 각 5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잎은 삼각상 피침형이며 화관열편은 삼각상 좁은 난형이고 길이 7-8mm로서 털이 없으며 부화관의 열편은 난형 둔두이고 수술대보다 약간 짧다.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강질인데 곧게 선다. 

짧은 근경으로부터 굵은 수염뿌리가 뭉쳐 난다.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8.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형,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둔저이며 길이 6-10cm, 폭 3-6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7-10m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mm 정도로서 연한 황색이고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짧은 소화경에 달린 꽃은 산형으로 되고 소화경이 꽃보다 짧거나 길다.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털이 없고 부화관의 열편은 수술대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넓은 삼각형이다. 열매는 골돌로 비스듬히 벌어지고 뿔 같으며 길이 4-5cm, 지름 5mm로서 털이 없고 종자는 넓은 난형이며 길이 5mm 정도로서 날개와 긴 종모가 있다.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9.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잎은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경생엽은 길이 9㎝, 폭 2㎝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수평하거나 다소 심장저이며 뒷면 맥위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가 거칠며 엽병은 길이 1.2cm로서 홈이 진 표면에 털이 있다. 

열매는 골돌 

꽃은 8월에 피고 엽액에서 자란 화경(花梗)끝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과 소화경 한쪽에 털이 있고 포는 선형으로서 작다. 꽃받침은 5개로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2m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고 잔털이 다소 있으며 화관도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4mm이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mm로서 안쪽에 잔털이 밀생한다. 

덩굴식물로서 길게 뻗으며 곱슬털이 있으나 윗부분에서는 없어진다.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10. 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Zucc.) Hemsl.)

잎은 대생, 엽병이 없고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며,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4-8cm, 폭 2-4cm,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골돌로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5cm, 폭 6-7mm이며 종자에 긴 흰색털이 있음.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연한 황색이며 취산화서는 엽액에서 나오고 잎보다 대개 짧거나 같으며 소화경은 길이 3-7mm이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좁은 삼각형이고 때로는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 3mm이고 부화관의 열편이 반원형이다. 화관 안쪽에만 털이 있다. 

높이 40-60cm이며 전체에 흰빛이 돌고 줄기는 곧게 서며 원주형이다. 

 

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Zucc.) Hemsl.)

 

 

 

11.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L.) R.Br.)

잎은 밑부분의 것은 호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총생하고 윗부분의 것은 호생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총생하는 것 같이 보이며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없거나 짧다. 

열매는 골돌로 표주박같으며 한쪽으로 벌어져서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에 종모가 있어 바람에 날린다. 

꽃은 6-7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화서는 윗부분의 엽액에서 나오고 화경이 짧으며 꽃이 약간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이 짧다. 화관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부화관이 있다.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잔털이 있다.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L.) R.Br.)

 

 

 

12. 자주박주가리 (Cynanchum purpureum (Pall.) K.Schum.)

잎은 대생하고 엽병은 짧고(길이 2~3mm) 털이 있다. 엽신은 선형, 가는 피침형(길이 3~5cm)이며 밑부분은 좀 넓어지고 주맥은 돌출하고 잎 앞면과 엽연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길이 8~8.5cm, 직경 1.5~2cm이며 가을철에 여물며 끝은 짧게 뾰족하다. 종자는 갈색이고 납작하며 암갈색의 잔 돌기가 있다. 

꽃은 가지 끝 혹은 엽액에 여러 갈래로 가지를 친 털이 있는 꽃대(길이 3~8cm)가 나오고 그 끝에 산형화서를 이루고 작은 꽃이 모여나며 양성화이다. 포는 선형의 가는피침형이며 화피의 절반정도 크기고 흰색의 긴 털이 있다. 화관의 열편은 선형(길이 3~5.5mm, 너비 0.1~1mm)이며 끝이 무디다. 화관은 통모양인데 얇으며 윗부분은 5갈래로 얕게 갈라졌다. 수술은 5개인데 서로 붙어서 통모양을 이루며 암술보다 크고 꽃밥에 붙어있는 부속물은 넓고 거의 둥그스름하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가지를 치고 흰색의 긴 털이 성글게 있다. 

땅속 근경은 곧게 뻗으며 목질이고 암갈색이다. 

 

자주박주가리 (Cynanchum purpureum (Pall.) K.Schum.)

 

 

 

13.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잎은 대생하며 삼각상 난심형 또는 심장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둥글게 되어 양쪽 열편의 변두리가 접근하며 길이 5-10cm, 폭 4-8cm이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엽병은 원줄기 밑부분의 것은 길며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맥위에 털이 약간 있다. 

골돌과는 길이 8cm, 지름 1cm로서 피침형이며 종모가 있고 9월에 익는다. 종자는 암갈색이며 납작스름한 타원형으로 길이 6mm가량이며 꼭대기에 길이 2cm가량의 종모가 뭉쳐난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화서는 엽액에서 자라며 길이 1-4cm로서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5-8mm로서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로 넓은 피침형이고 첨두이며 화관도 5개의 피침형 열편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3mm로서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오그라들고 안쪽에 잔털이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가늘고 왼쪽으로 감아오르며 길이 1-3m이고 상처에서 백색 유액이 흐른다. 

뿌리는 깊이 들어간다. 육질의 덩이뿌리는 지름 2-7cm, 길이 10-20cm의 방추형이고 겉이 암갈색이다.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14,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6-15cm, 폭 3-10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8-12mm이다. 

골돌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7-8cm, 지름 1.5cm로서 잔털이 밀생하고 종자에 긴 백색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녹색이 돌며 엽액에 모여 달리고 화경(花梗)이 거의 없으며 소화경(小花梗)은 산형(傘形)으로 달리고 꽃보다 짧다. 꽃받침은 녹색으로서 5개로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피침형이며 화관통보다 짧고 화관은 겉에 짧은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안쪽은 짙은 자주색으로서 털이 없고 끝에서부터 1/2-2/3까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이고 원두이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잎과 더불어 털이 밀생한다.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

 

 

 

15.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Hara)

잎은 대생하고 곧추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로서 덩굴박주가리에 비해 질이 다소 두껍고 난상 삼각형이며 암,수술대보다 약간 짧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아심장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2-4mm이다. 

열매는 골돌로서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4-5cm, 지름 5-7mm로서 털이 없으며 종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m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검은 자주색이고 윗부분의 엽액에 산형으로 달리며 화경(花梗)이 없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3-4mm로서 꽃보다 짧다. 화관(花冠)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고 끝이 둔하며 부화관의 열편은 낮은 삼각형으로서 암술과 수술이 합쳐진 대 길이의 1/2정도이다. 

덩굴성으로 곱슬털이 다소 있고 밑부분이 곧추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으로서 길이 40-100cm이다.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Hara)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청계님의 블로그 /아름다운누리/ http://blog.daum.net/kym5219/3876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의 꽃

 

 

 

박주가리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꽃  (0) 2014.10.26
가는털백미  (0) 2014.10.26
박주가리  (0) 2014.10.25
박주가리과  (0) 2014.10.25
왕호장근  (0) 201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