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박주가리과

호남인1 2014. 10. 25. 23:36

 

 

 

 

 

박주가리과

 

과명: Asclepiadaceae

분류: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의 꽃과 열매

 

 

 

브리태니커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용담목(龍膽目 Gentianales)에 속하는 꽃피는 식물의 한 과(→ 색인 : 밀크위드).

 

280속(屬) 이상, 2,000여 종(種)이 있는데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풀 또는 덩굴성 관목으로 이루어졌으며 드물게는 관목이나 교목도 있다.

이 과의 식물들은 대부분 유즙이 나오고 꽃은 꽃잎 5장이 합쳐졌으며 열매는 꼬투리처럼 생겼고 씨는 털로 덮여 있다.

부드러운 털이 달린 씨는 꼬투리 밖으로 나와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

 

각 꽃들의 암술과 수술은 하나로 합쳐져 있다.

꽃가루는 꽃가루덩이[花粉塊]를 만드는데, 꽃가루덩이는 암술머리에 퍼져 있는 조직으로서 꽃을 찾는 곤충의 머리나 몸에 달라붙어 다른 꽃으로 옮겨진다. 어떤 종들은 번식력이 낮아서 꽃은 많이 피지만 열매를 거의 맺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아스클레피아스 시리아카(Asclepias syriaca)와 아스클레피아스 쿠라사비카(A. curassavica)는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북아메리카산 아스클레피아스 투베로사(A. tuberosa)는 밝은 오렌지색 꽃이 핀다.

납질의 흰색 꽃이 피기 때문에 흔히 왁스 식물(wax plant)이라고 부르는 호야(Hoya carnosa)는 종종 화분에 심어 집 안에서 키운다.

 

호오디아속(Hoodia)·스타펠리아속(Stapelia)·후에르니아속(Huernia) 같은 다육식물은 악취를 풍겨서 파리를 끌어들여 꽃가루받이를 한다(→ 색인 : 캐리언플라워). 디스키디아 라플레시아나(Dischidia rafflesiana)는 주머니처럼 생긴 잎에 빗물을 모아두며 자라서 주머니잎이 되는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한다(→ 색인 : 벌레잡이식물).

 

가끔 개미들이 주머니잎 바닥에 구멍을 뚫어 물을 빼낸 뒤, 그 공간을 다른 식물로 채운 다음 새끼들을 키우는 둥지로 이용한다.→ 나비풀 , 캐리언플라워

츌처: 식물 | 브리태니커

 

호야 (Hoya carnosa (L.f.) R.Br.)의 꽃차례

 

 

 

다육식물도감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Plantae)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 용담목(Gentianales)

 

특징

식물형은 다년생초본, 직립 또는 기어오르는 관목(灌木), 드물게 교목(喬木). 가끔 다육질이며, 선인장형 잎을 가지기도하며, 유관(乳管)이 발달한다. 유액(乳液)을 분비하고, 부화관(副花冠, paracorolla)1)부리가 있으며, 용도로는 화훼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잎은 대생(對生) 가끔 윤생(輪生)하고, 드물게 호생(互生) 한다. 단엽으로 전연(全緣), 탁엽(托葉)은 없다.

꽃은 방사상칭형(放射狀稱形, actinomorphic)2), 완전화(完全花, complete flower)3), 취산화서 또는 산형상 취산화서(聚繖花序, cyme)4), 드물게 총상화서(總狀花序, raceme)5), 5수성, 합판화, 화피는 부화관(副花冠)이 있고, 그 안에 부화관부리가 있다.

 

수술은 화관통에 이합하고 약(葯)과 화주(花柱)는 관상(冠狀)으로 붙어 예주(蘂柱, gynostegium)를 형성한다.

화분립은 화분괴(花粉塊, pollinium)를 만들며, 서로 인접한 2약(葯)의 화분괴는 연결사에 의하여 구상체(球狀体)와 연결된다.

 

암술은 이생심피(離生心皮, apocarpous)6) 2개로 이루어지고 화주(花柱, style)도 이생하나 화주의 머리 부분은 동합한다.

자방상위(子房上位, ovary superior)이며, 한 개 또는 다수의 배주(胚珠, ovule)는 측벽태좌(側壁台座, pairetal placentation)7)로 달린다.

 

열매는 2골돌과(蓇葖果, follicle)8)이지만 흔히 하나만 발달한다.

 

[분류와 분포]

250속(屬) 2000여 종(種)이 열대와 아열대에 걸쳐서 폭넓게 분포하며 특히 아프리카에 종류가 많다.

몇몇 속(屬)만이 온대에서 자란다. 그중에서도 선인장처럼 다육화 되어 화분에 심어 관상용으로 이용되는 것도 많다.

 

본 과(科)는 꽃의 구조나 열매의 모양 등이 협죽도과[Apocynaceae]와 극히 유연관계가 깊다. 꼭두서니과[Rubiaceae]와 용담과[Gentianaceae], 마전과[Loganiaceae] 등 같이 용담목(目)에 포함된다.

 

각주

1 부화관(副花冠, paracorolla) : 화관과 수술사이에 생긴 화관상의 부속체를 말함. 부관(副冠)이라고도 함.

2 방사상칭형(放射狀稱形, actinomorphic) : 꽃이 한 개의 축에서 서로 똑같은 2개의 거울모양으로 나눌 수 있는 모양의 꽃, 정제화관이라고도 말함(예 : 장미과)

3 완전화(完全花, complete flower) : 꽃받침, 꽃잎, 수술, 심피 이 4가지 기관을 모두 갖추고 있는 꽃

4 취산화서(聚繖花序, cyme) : 중앙에 꽃이 먼저 핀 다음 뒤이어 주위의 꽃들이 피는 화서

5 총상화서(總狀花序, raceme) : 화축(花軸)이 길게 자라고 소화경도 발달하나 분지하지 않는 화서(예 : 아까시나무, 때죽나무)

6 이생심피(離生心皮, apocarpous) : 심피가 둘 이상이거나 서로 분리된 자예군(雌蕊群)

7 측벽태좌(側壁胎座, pairetal placentation) : 자방이 한 개의 자방실로 되어 있으나 2개 또는 그 이상의 태좌가 자방 벽 안쪽에 배열되는 경우(예 : 버드나무 속, 제비꽃 속)

8 골돌과(蓇葖果, follicle) : 단자예로 구성된 배봉선을 따라 열리는 건폐과(乾閉果)이다. 대개 한 꽃에 있는 여러 개의 암술이 익어서 하나의 열매가 되므로 취과(聚果)에 속하기도 한다.(예 : 목련과, 모란과)

저자 하순혜 | 교수

출처: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다육식물도감, 2012.12.25, 아카데미서적)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의 갓털[冠毛]이 달린 씨앗

 

 

 

 

한국서식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5속 바로가기

 

나도은조롱 (Marsdenia) 1종

박주가리 (Metaplexis) 1종

백미속 (Cynanchum) 15종

왜박주가리 (Tylophora) 1종

호야 (Hoya) 1종

 

호야 (Hoya carnosa (L.f.) R.Br.)의 꽃차례

 

 

 

한국서식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5속의 종 바로가기

 

나도은조롱속 (Marsdenia) 1종

나도은조롱 (Marsdenia tomentosa Morren &Decne.)

 

나도은조롱 (Marsdenia tomentosa Morren &Decne.)

 

 

 

박주가리속 (Metaplexis) 1종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백미속 (Cynanchum) 15종

가는털백미 (Cynanchum chinense R.Brown)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덩굴민백미꽃 (Cynanchum japonicum Morr. &Decne.)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Sav.) Matsum.)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Zucc.) Hemsl.)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L.) R.Br.)

자주박주가리 (Cynanchum purpureum (Pall.) K.Schum.)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Hara)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왜박주가리속 (Tylophora) 1종

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Miq.)

 

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Miq.)

 

 

 

호야속 (Hoya) 1종

호야 (Hoya carnosa (L.f.) R.Br.)

 

호야 (Hoya carnosa (L.f.) R.Br.)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속  (0) 2014.10.26
박주가리  (0) 2014.10.25
왕호장근  (0) 2014.10.25
호장근  (0) 2014.10.25
감절대  (0) 201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