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나도하수오

호남인1 2014. 10. 25. 06:41

 

 

 

 

 

나도하수오

 

학명: Fallopia ciliinervis (Nakai) Hammer 

이명: 하수오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전남·경북·강원·평북) /서식: 산의풀밭 /크기: 길이가 2m

생약명: 塊根(괴근)을 紅藥子(홍약자)라 하며 약용한다.

 

덩굴성다년생초본

마디풀과에 속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덩굴은 2미터 정도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엉긴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어긋나며, 6~8월에 흰 꽃이 원추 꽃차례로 핀다. 지리산의 풀밭에서 많이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나도하수오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8189&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6-11cm, 폭 3-6cm이며, 심장저이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5cm로서 밑부분에 환절이 있으며 표면에 홈이 있고 뒷면에 잔돌기 또는 잔털이 있다. 잎이 없는 마디에 달린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로 흑갈색이고 잎이 달린 부분의 턱잎은 다소 투명하다. 

 

열매는 수과로 세모진 난형, 꽃받침에 싸여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정생하거나 다소 밑부분에서 총상으로 달리는 원추화서로 자라고 백색 꽃이 밀생하며 소화경이 있고 외화피에 날개가 있다. 꽃받침은 5장, 날개가 있고, 수술은 8개, 암술머리는 3개이며 방패같다. 

 

줄기는 많이 갈라져서 엉킨다. 덩굴은 당년생이다. 

뿌리는 굵은 목질이고 갈라진다.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평안북도의 산지에 분포한다. 

덩굴성 다년초료 길이가 2m 가량 자란다. 

산능선을 따라 풀밭에서 자란다. 

 

 

생약명

塊根(괴근)을 紅藥子(홍약자)라 하며 약용한다.

 

①연중 괴근을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괴경의 성분 emodin, physcione은 황색포도구균, 대장균, 化膿杆菌(화농간균)에 억제작용이 있고 水製(수제)엑스에는 다종의 呼吸道(호흡도) 및 腸管(장관) virus에 대하여 廣域(광역) specttre의 항virus작용이 있다.

③약효 : 신선한 것을 그대로 쓰면 항균 소염, 順氣活血(순기활혈), 凉血活血(양혈활혈), 鎭靜鎭痙(진정진경), 止痛(지통), 지사, 潰瘍癒合促進(궤양유합촉진) 등의 작용이 있고, 鹽(염)을 가하여 조제한 것은 補腎(보신)의 효능이 있다. 醋(초)를 써서 조제한 것에는 지혈작용이 있고, alkali성으로 조제한 것은 健胃(건위)의 효능이 있다. 편도선염, 장염, 궤양, 菌痢(균리), 膽道蛔蟲症(담도회충증), 외상감염, 蜂巢織炎(봉소직염), 癰癤(옹절), 膿痂疹(농가진), 비뇨기감염, 월경불순, 崩漏(붕루), 외상출혈, 토혈, 鼻出血(비출혈), 혈변, 타박상, 류머티성 腰腿痛(요퇴통)을 다스린다.

④용법/용량 : 날것은 1.5-6g, 修製品(수제품)은 9-12g을 달요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갔다가 복용하거나 분말로 沖服(충복)한다.

<외용> 분말을 살포한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유사종

▶하수오(P. multiflorus):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땅 속으로 뻗으며, 둥근 괴근을 형성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두산백과

나도하수오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학명: Pleuropterus cilinervis

분포지역: 한국(전남·경북·강원·평북)

서식장소/자생지: 산의 풀밭

크기: 덩굴길이 약 2m

 

산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목질이고 갈라지며, 덩굴은 길이 2m 정도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엉킨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세모진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6∼11cm, 폭이 3∼6cm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5cm이고 밑 부분에 고리 모양의 마디가 있다. 잎이 없는 마디에 달린 칼집 모양의 턱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흑갈색이며, 잎이 달린 마디에 있는 턱잎은 다소 투명하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작은 꽃이 많이 핀다. 8개의 수술은 화피보다 짧고, 암술머리는 3개로 방패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이며 화피에 싸여 있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북도·강원도·평안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나도하수오 [─何首烏] (두산백과)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나도하수오

 

학명: Fallopia ciliinervis (Nakai) K. Hammer

 

개요

산기슭이나 들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굵고 속은 비었으며, 길이 1-2m이다. 윗부분은 덩굴성이고 가지를 치며 밑부분은 나무질이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3-6cm이다.

 

꽃은 9-10월에 피며, 흰색으로 잎겨드랑이 또는 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가 있으며, 외화피편에 날개가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삼각상 난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중국에 분포한다.1)

 

다른 학명: Pleuropterus ciliinervis Nakai2)

국내분포: 전국3) /해외분포: 중국(동북부)4)

서식지/생육지: 산기슭, 들, 길가5)

 

형태

줄기는 굵고 속은 비었으며, 길이 1-2m, 윗부분은 덩굴성이고 가지를 치며 밑부분은 나무질이다.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3-6cm이다. 꽃은 흰색으로 잎겨드랑이 또는 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가 있으며, 외화피편에 날개가 있다. 수술은 7-8개이고 포보다 비교적 짧다. 열매는 수과, 삼각상 난형이고 길이 2.5mm 정도이다.6)

생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9-10월에 피며,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7)

 

해설

하수오(F. multiflora (Thunb.) H. Haraldson)에 비해 땅속줄기의 단면은 븕은색이고, 잎은 좁은 난형으로 끝은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맥에 털이 있다.8)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현진오 · 나혜련, 2011.12.16

출처: 나도하수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산천님, 거목님, 꽁지님,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닭의덩굴 | 식물도감(植物圖鑑)

나도하수오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13 23:43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절대  (0) 2014.10.25
삼도하수오  (0) 2014.10.25
하수오  (0) 2014.10.24
하수오약효.효능  (0) 2014.10.24
딸모와 흰머리에 좋은 하수오  (0) 201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