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하수오

호남인1 2014. 10. 24. 19:28

 

 

 

 

 

하수오

 

학명: Fallopia multiflora (Thunb. ex Murray) Haraldson var.multiflora 

이명: 적하수오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

원산지: 중국 /분포: 전국 /서식: 산야 /크기: 키 3~4m

생약명: 塊根(괴근)은 何首烏(하수오), 蔓莖(만경)은 夜交藤(야교등), 잎은 何首烏葉(하수오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덩굴성다년생초본

마디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길이는 1~3미터 정도로 덩굴성이며,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와 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꽃은 백색으로 8~9월에 피며 가지 끝에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잎은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약용으로 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하수오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5638&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6cm, 폭 2.5-4.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짧은 원통형이다. 

 

수과는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서 길이 7~8mm쯤 되고 세모진 난형의 열매는 길이 2.5mm쯤 된다. 

 

꽃은 8-9월에 피며 백색이고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1.5-2mm이지만 꽃이 핀 다음에는 길이가 5-6mm로 된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자방은 난형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가늘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면서 때로는 둥근 괴근을 형성하는데, 괴근은 여러 개의 가는 줄기로 연결되며 그 길이는 1.4~1.5cm에 달한다. 

 

중국 원산. 

전국 각지에 난다. 

덩굴성 다년생 초본.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야생하므로 전국 어디서나 재배할 수 있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점질양토나 사질양토가 적당하고 내한성, 내충성, 내건성에 강한 단일성 식물이다.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에서 실생은 묘상에서 육묘하여 가을에 정식하며 종자가 작으므로 5-6배의 모래와 혼합파종한다. 분근은 괴근을 3-6㎝길이로 끊어서 심고, 10월 중하순이나 해동 후부터 4월 중순에 심는다. 정식은 10월 중하순-이른봄에 하고 정식거리는 30X10㎝(주당 1본)이다. 지주를 세워 덩굴을 올리고 정식 후 2-3년이 지난 가을부터 수확한다. 

 

 

 

 

생약명

塊根(괴근)은 何首烏(하수오), 蔓莖(만경)은 夜交藤(야교등), 잎은 何首烏葉(하수오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何首烏(하수오)

①심은지 3-4년 된 것을 봄에는 발아 전에, 가을에는 잎이 마른 뒤 캐서 큰 것은 2개로 쪼개 햇볕에 말리거나 焙乾(배건)한다.

②성분 : 根(근)과 根莖(근경)에는 anthraquinone류가 함유되어 있다. 주로 chrysophanol과 emodin rm 다음은 rhein, 痕迹量(흔적량)의 physcione과 chrysophanol anthrone 등(불에 쬐어 구우면 rhein은 없어진다.) 그 밖에 전분 45.2%, 粗脂肪(조지방) 3.1%, lecithin 3.7% 등이다.

③약효 : 强精(강정), 强壯(강장) 또는 緩下藥(완하약)으로 補肝(보간), 益腎(익신), 養血(양혈), 祛風(거풍)의 효능이 있다. 肝(간), 腎(신)이 陰虧(음휴), 모발의 早白(조백), 빈혈로 인한 眩暈(현운), 腰膝虛弱(요슬허약), 筋骨酸痛(근골산통), 遺精(유정), 자궁출혈, 崩帶(붕대), 만성학질, 慢性下痢(만성하리), 만성간염, 癰腫(옹종), 나력, 腸風(장풍), 치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분말로 살포, 또는 塗布(도포)한다.

 

⑵夜交藤(야교등)

①잎이 달린 덩굴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가을에 잎이 떨어진 다음에 덩굴만 베어서 가는 가지와 남은 잎을 버리고 약 70cm정도 잘라 묶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줄기는 anthraquinone류를 함유하고 주로 emodin, chrysophanol, physcione으로 결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③약효 : 養心(양심), 安神(안신), 通經絡(통경락), 祛風(거풍)의 효능이 있다. 불면, 폐병, 多汗(다한), 血虛(혈허)에 의한 身體疼痛(신체동통), 癰疽(옹저), 나력, 風瘡(풍창),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煎汁(전즙)으로 환부를 씻거나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⑶何首烏葉(하수오엽)

①瘡腫(창종), 疥癬(개선), 나력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잎을 종양에 붙인다.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짓찧어서 붙인다.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나도하수오(P. cilinervis): 뿌리는 굵고 목질,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자연채취 - 하수오

 

 

브리태니커

하수오 [Pleuropterus multiflorus]

 

마디풀과(―科 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랫동안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이다.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심장형의 잎은 길이가 약 3~6㎝, 너비가 2.5~4.5㎝ 정도로 어긋나며, 잎자루와 턱잎[托葉]이 있지만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8~9월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장이다. 열매는 길이가 2.5㎜ 정도로 세모진 난형이고 윤기가 난다.

 

한국에는 지리산에 나도하수오(P. cilinervis)가 있는데 잎이 크고 열매가 날개 없이 세모진 난형으로 꽃덮이[花被]에 싸여 있어 하수오와 다르다.

덩이뿌리는 강장제·강정제·통경제·양혈제·진해제로 쓰고 감기·토혈·신경쇠약·관절염 치료에 쓰인다.李相泰 글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국립중앙과학관 식물정보

하수오

 

학명: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Plantae)

: 현화식물문(Anthophyta)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 마디풀목(Polygonales)

: 마디풀과(Polygonaceae)

: Pleuropterus

개화시기: 8월~9월

파종시기: 3월~4월

수확시기: 3월~4월

원산지: 중국

분포지: 한국

 

특징

땅속으로 뻗는 뿌리는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가늘게 뻗는 줄기는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이 어긋나게 달린다. 잎은 잎자루가 있고 예두, 심장저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8~9월에 가지 끝에서 흰색의 꽃이 원추화서로 달리는데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8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수과인 열매는 날개가 있고 꽃받침에 싸여있다.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덩굴성 다년생 초본이다. 흔히 우리나라 각지의 산야에 야생하고 내한성, 내충성, 내건성 등이 강해 전국 어디서나 재배가 가능하다.

 

효능

콜레스테롤 저하, 동맥경화 억제, 항바이러스, 강장, 보혈, 익정, 소종의 효능이 있다.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종자파종 시 젖은 톱밥과 혼합하여 흩어 뿌리면 고루 파종 할 수 있다. 이랑은 너비 30cm, 깊이 10cm로 만든 후 모를 20cm 간격으로 늘어 놓고 머리부분이 약간 보이게 심는다. 포기나누기는 뿌리를 3~6cm 길이로 잘라서 초목회를 묻혀 심는다.

번식방법: 종자번식/분주번식

 

(1) 가꾸기 포인트

8월 상순에 웃거름을 주되 생육 상태를 보며 질소를 시비한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서늘한 기후에서 덩이 뿌리의 비대가 잘된다.

(2) 토양조건

사질양토나 퇴적토로 토심이 30~40cm 정도로 깊지 않은 곳이 적지이다.

 

3) 관리하기

(1) 거름주기

정식 시 300평당 퇴비 2,000kg, 질소 14kg, 인산 12kg, 칼리 8kg을 사용하는데 질소는 50%를 인산, 칼리는 전량을 밑거름으로 주고, 남은 질소는 덧거름으로 준다.

(2) 질병관리

ㆍ충해(고자리파리, 거세미, 굼벵이): 유기인제 입제농약을 웃거름과 함께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기본정보: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재배정보: 식물 재배정보 - 경기도농업기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하수오

 

한자 何首烏

학명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

원산지 중국

개화시기 8∼9월

집필자 이우철

 

학명은 Pleuropterus multiflorus TURCZ.이다. 중국에서 들어와 오랫동안 재배되어온 약용식물로,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때때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있으며 길이 3∼6㎝, 너비 2.5∼4.5㎝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형인 난상심장형을 하고 있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과실은 수과(瘦果: 볍씨와 같이 과피가 목질 또는 혁질을 이루고 속에 1개의 씨가 들어있는 열매)이다.

 

한방에서는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溫)하고 감고(甘苦)하며 조삽(燥澁: 파슬파슬함)하다. 강장·강정·양혈(養血)·보간·거풍·소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허약·요통·동맥경화·양위(陽痿)·고혈압·만성간염·결핵성임파선염·장염·옹종(癰腫)·변비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쓴다.

 

성분은 질소 1.1%, 전분 45.2%, 지방 3.1%, 광물 4.5%, 레시틴 3.7%, 수용성 물질 26.4%로 구성되어 있다. 한방에서 백하수오라 불리는 약재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큰조롱이라는 식물로, 하수오와 식물학적으로 다른 식물이다.

 

[참고문헌]

『천연약물대사전(天然藥物大事典)』(김재길, 남산당, 1984)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은조롱[白何首鳥]

학명: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ey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Plantae)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크기: 1~3m

개화시기: 7월~8월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일반적특징

넌출성 다년초로 뿌리는 굵고 줄기는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며 길이 1~3m이고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잎은 대생하고 심형 또는 난심형으로 길이 5~10㎝, 너비 4~8㎝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깊은 심형으로 양쪽 끝이 서로 접근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잎짬에 산형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8㎜이고 털이 있다.꽃받침 조각은 넓은 피침형이고 화관은 5열하며 부화관의 열편은 도란형으로 암술대보다 짧고 과실은 골돌이다.

 

본종은 줄기는 넌출성이고 뿌리는 길게 벋으며 잎은 심형 또는 난심형이다. 이에 비해 잎이 피침형으로 기부는 수평 또는 심형이고 꽃이 백색인 것을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ey라 한다.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생태적특징

산야에 난다. 전도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출처: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은조롱 [白何首鳥] 1996.11.15, 아카데미서적)두산백과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백하수오)의 잎과 꽃

 

 

두산백과

큰조롱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학명: Cynanchum wilfordii

목: 용담목

분포지역: 한국·일본·우수리강, 중국 북동부

서식장소/자생지: 산기슭 양지의 풀밭, 바닷가의 경사지

크기: 높이 1∼3m

 

은조롱·새박풀·하수오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의 풀밭이나 바닷가의 경사지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 있고 여기에서 원줄기가 나오며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의 심장꼴 또는 심장 모양이며 길이 5∼10cm, 나비 4∼8cm이다.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피고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줄기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길이 1∼4cm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갈래로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오므라들고 안쪽에 잔털이 난다.

열매는 골돌과이고 바소꼴이며 길이 약 8cm, 지름 약 1cm이고 9월에 익는다.

종자에는 희고 긴 털이 난다.

 

한방에서 뿌리를 백하수오(白何首烏)라고 하며 강장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우수리강,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출처: 큰조롱 (두산백과)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백하수오)의 뿌리

 

 

한국전통지식포탈

백하수오[白何首烏]

하수오(何首烏)는 적색과 백색 두 종류가 있는데 그 중 백색의 하수오를 일컫는 것임.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Hemsley) 이며 생약명은 백수오임. 조롱, 새박풀, 해숭애, 새조롱, 곱뿌리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병후쇠약, 빈혈, 조기백발(早期白髮), 신경쇠약, 만성풍비(慢性風痺) 등에 사용함.

출처: 백하수오 [白何首烏] (한국전통지식포탈)

 

 

 

 

하수오전설

 

옛날 중국의 남쪽 지방에 하전아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몸이 몹시 허약하여 쉰여덟 살이 도도록 장가도 못들고 혼자 살았다.

어느 날 집 뒤에 있는 산에 올라갔다가 이상하게 생긴 덩굴을 보았다. 두 그루의 덩굴이 서로 엉켜 마치 사랑을 나누 있는 것처럼 보였던 것이다. 그는 이 덩굴의 뿌리를 캐어 돌아와서 친구들한테 보였으나 아무도 그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그는 그 뿌리를 옆에 두고 누웠다가 깜박 잠이 들었다.

그런데 꿈속에 머리카락과 수염이 하얀 노인이 나타나서 그를 불렀다.

“전아!전아!”

그는 대답을 하려고 했지만 말이 나오지 않았다. 우물쭈물하고 있는 사이에 노인이 말했다.

“네가 오늘 산에서 캔 뿌리는 선야깅니 정성스럽게 먹도록 하여라.”

하전아가 꿈에서 깨어보니 한밤중이었다. 이상한 꿈이다라고 생각하고 다시 잠이 들었다. 그런데 날이 밝을 때까지 같은 꿈을 세 번이나 꾸었다.

 

예사 꿈이 아니라고 생각한 그는 그 뿌리를 절구에 찧어서 가루 내어 먹었다.

한 달쯤을 먹고 나니 몸에 기운이 나고 머리가 맑아졌다. 다시 산에 올라가 그 덩굴의 뿌리를 많이 캐서 가루로 만들어 두고 1년을 더 먹었다. 그랬더니 허약하던 몸이 무쇠처럼 튼튼해지고 기운이 세졌다. 나이는 예순 살이 다 됐지만 머리카락이 까맣게 되고 얼굴이 젊은이 같이 바뀌어 보는 사람마다 이상하게 여겼다.그는 예순 살에 아내를 맞아 아들을 낳고 이름을 연수라고 지었다.

 

연수가 자라 어른이 되었을 때 그는 아들한테 그 신기한 약초 뿌리를 가르쳐 주었다.

세 식구는 산에 올라가 그 덩굴의 뿌리를 캐서 말려 가루 내어 날마다 열심히 먹었다. 아들 연수는 100살이 넘었는데도 머리카락이 까마귀처럼 검었고 하전아는 160살까지 살았다.

 

연수가 130살이 넘었어도 머리칼이 까맣다고 하여 사람들은 그를 하수오라 불렀다.

그의 성이 하씨이고 머리칼이 까마귀같이 까맣다는 뜻이다. 그 뒤로 사람들은 이들이 먹던 약초 뿌리를 하수오 라고 불렀다.

 

하수오는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칼을 검게 하며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한다.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 쇠약이나 불면증 같은 데에도 효과가 있다.

 

 

 

 

하수오감별법

 

겉모양으로는 국산과 외산이 비슷하여 구별하기 쉽지 않은 약재인데 그 맛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국산은 쓴 맛이 강하여 마와 같은 맛을 띠기도 하는데 외산인 경우에는 국산보다는 단맛이 강한 편이다.

 

수입되는 백하수오나 적하수오 모두다 국산하고 형태상으로는 차이가 없는 편이나 맛을 보면 단맛이 강하다는 차이가 있다.

굵고 겉이 깨끗하여 잡질이 없는 것을 상품이라 한다.

 

참고자료 문화콘텐츠닷컴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연관목차 (285/2,187)

출처: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무협 백과

만년하수오[萬年何首烏]

구분: 무협소설 용어

하수오란 무처럼 생긴 식물로서 약재로 쓰이는 것이다. 만년 묵은 하수오는 일반인이 먹으면 불로장생의 영약이 되고 무림인들이 먹으면 엄청난 내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출처: 만년하수오 [萬年何首烏] (무협 백과, 바로북)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56손오공님,

대산님의 블로그 /http://blog.daum.net/kimyg0930/7135899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닭의덩굴 | 식물도감(植物圖鑑)

하수오약효.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딸모와 흰머리에 좋은 하수오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10.24 10:35

하수오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13 23:31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도하수오  (0) 2014.10.25
나도하수오  (0) 2014.10.25
하수오약효.효능  (0) 2014.10.24
딸모와 흰머리에 좋은 하수오  (0) 2014.10.24
큰닭의덩굴  (0) 201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