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느삼
학명: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이명: 개너삼, 개능함, 개미풀, 느삼나무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개느삼속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분포: 한국(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서식: 해발 200m 이하의 산기슭 양지 /크기: 높이 1m 내외.
생약명:
낙엽활엽관목
콩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고, 잎은 어긋나며, 5월에 노란 꽃이 총상 꽃차례로 핀다. 우리나라 특산으로 강원도, 평남, 함남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고삼과 비슷하다는 뜻의 이름으로 강원도 이북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심어서 기르기도 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환경부 선정 보호야생동·식물,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기도 하다. 추위와 건조에 강한 편이고 볕이 잘 드는 양지에서 군락은 형성하며 자란다.
-------------------------------------------------------------
잎은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호생하고 길이 4-6㎝이다. 소엽은 13~27개이고 타원형 미요두 원저이며 길이 8-10m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으며 소엽병과 엽축에도 털이 많다.
협과는 길이 7㎝로서 겉에 돌기가 많으며 7월에 익는다.
총상화서는 길이 3-5㎝로서 새로 난 가지 끝에서 나와 5-6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5월에 황색으로 피고 길이 15mm로서 털이 없다. 소포는 피침형이며 검은 빛이 돌고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뒤쪽의 2개가 약간 작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다. 기판은 둥글며 뒤로 젖혀지고 익판과 용골판은 서로 비슷하며 부엌칼모양이다.수술은 10개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길이 12mm로서 털이 없고 윗부분이 약간 꼬부라진다. 자방은 털이 많으며 6-7개의 배주가 들어 있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가지는 털이 있으며 암갈색이고, 동아는 털로 덮여 있어 보이지 않고 엽흔이 돌출하여 양쪽에 침상의 포가 있다.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낙엽활엽성관목, 수형:불규칙형.
햇빛이 잘 드는 양지에서 잘 자라며 토양은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척박지에서도 잘 자라나 적절한 시비관리는 생육 상태를 좋게 한다.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건조
식재시에는 밭고랑을 만들고 고랑의 밑부분에 심어 뿌리가 위로 뻗어 가게 재배하면 잘 자란다. 밀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식기: 3월, 4월, 10월, 11월 /결실기: 7월 /삽목기: 3월, 4월
이용
척박한 경사지에 식재하거나 절개사면 녹화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꽃이 매우 아름답다. 강원도 동북부지역에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넓게 분포한다. 개체수는 많으나 유전적 다양성이 크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천연기념물 제372호 - ⓐ소재지:강원도 양구군 동면 임당리, 양구군 양구읍 한전리 ⓑ면적:13,200㎡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희귀특산종)
▶우리나라 특산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맹아력이 강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느삼
학명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외형(크기, 길이, 높이) 길이 4∼6㎝
출산/개화시기 5월
집필자 이창복
[정의]
콩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우리 나라 특산식물의 하나이며 학명은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이다. 강원도 양구군을 비롯하여 평안남도 북창군 남양리 및 맹산군 동면 대흥리 그리고 함경남도 북청군 산록에서 자란다. 지하경으로 번식하며 메마른 모래땅에서 자란다.
[내용]
가지는 털이 있고 검은 갈색이며 겨울눈은 털로 덮여서 잘 보이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1회 우상복엽(羽狀複葉)이며 길이 4∼6㎝로서 13∼27개의 작은 잎으로 되어 있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퍼지고 밑은 둥글며 길이 8∼10㎜로서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털이 촘촘히 나며 작은 잎자루와 엽축(葉軸 : 잎자루)에 털이 많다.
꽃은 5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총상화서(總狀花序)에 달린다. 화서는 길이 3∼5㎝이며 새가지 끝에서 나와서 5∼6쌍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뒤쪽 2개가 약간 작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다.
기판(旗瓣 : 콩과 식물의 나비모양 꽃부리의 한가운데에 있는 꽃잎)은 둥글고 뒤로 젖혀지며 익판(翼瓣 : 콩과 식물의 꽃부리 뒷쪽에 있는 꽃잎)과 용골판은 서로 비슷하게 생기고 부엌칼 비슷하며 수술은 10개가 서로 떨어졌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이 다소 꼬부라지고 길이 12㎜정도이다.
씨방은 털이 많으며 6∼7개의 배주(胚珠 : 자방 속 뒤에 씨가 되는 밑씨)가 들어 있다. 꼬투리는 길이 7㎝ 정도로서 겉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으며 7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많이 달리지 않고 지하경으로 번식하며 관악산에 이식한 것은 잘 자라고 있으나 그늘에 약하다.
결실기는 7-9월이며, 관상용이다. 강원도, 함경남도, 평안남도의 산록이나 길가에 나는 낙엽 관목이다. 땅속줄기가 발달하였고, 키는 1m이다.
도둑놈의 지팡이를 많이 닮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브리테니커
개느삼
서식지 인가 주변, 길가 /크기 약 1m
소개: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개미풀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개느삼속(―屬 Echinosophora)의 하나뿐인 식물이다.
1918년 북청 근처에서 처음 채집되어 평안북도와 함경북도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강원도 양구 근처에서도 발견되었다. 싹이 잘 트고 잘 자라지만 키가 1m 정도로 작기 때문에 교목들 아래에서는 자라기가 힘들며 식물원 등지에 널리 심는다.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의 개느삼 자생지는 천연기념물 제37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1992. 12. 23).
땅속에 가는 줄기가 있으며 어두운 갈색의 가지에는 털이 나 있다. 깃털처럼 생긴 잎은 엇갈려나며 13~2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잔잎은 길이 0.8~1㎝ 정도로 윗면에는 털이 없으나 아랫면에는 하얀 털들이 빽빽하게 있다.
꽃은 5월에 그해에 생긴 가지의 겨드랑이에 5~6송이씩 모여 노란색으로 핀다. 꽃의 길이는 약 1.5㎝이며 털이 나 있다. 깃발꽃잎[旗瓣]은 둥글며 뒤로 젖혀지나 날개꽃잎[翼瓣]과 용머리꽃잎[龍骨瓣]은 부엌칼과 비슷하게 생겼다.
열매는 7월에 꼬투리로 맺히는데 길이는 약 7㎝ 정도이며, 겉에 가시 같은 돌기가 많다. 모래가 섞인 기름진 흙에서 잘 자라며 어린줄기를 나누거나 땅속줄기에서 새싹이 나와 번식한다. 늦봄에 화려한 노란색 꽃을 피우므로 정원수로도 적합하다. 申鉉哲 글
출처: 브리테니커
남북한의천연기념물
양구의 개느삼자생지 (천연기념물 제 372 호)
소 재 지 : 강원 양구군 양구읍한전리산54,동면임당리산148,149
개느삼은 평안남도, 함경남도, 강원도 양구 이북의 추운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가 굵으며 키는 1m 정도로 자라고 넓은 잎은 봄에 돋았다가 가을에 떨어진다. 꽃은 황금색으로 이른 봄에 피며 줄기의 끝부분이 약간 꼬부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일 뿐만 아니라,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리잡은 이곳 양구의 개느삼 자생지는 개느삼이 자랄 수 있는 남쪽한계선이 되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면적 : 13,200㎡
지 정 일 : 1992-12-23
개느삼은 우리나라에서만 자라고 있는 1속1종의 희귀식물로 평남맹산, 함남에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양구 비봉공원 대암산 기슭에 자라고 있는 이 곳은 남한계 지역에 해당한다.
개느삼은 목본식물이라는 점이 뚜렷하며 양지에서 잘자라고 추위에 강하며 척박한 토양에 잘자란다. 개느삼은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이른봄에 황금색꽃이 황홀하게 피며 새가지 끝에 5∼6개 꽃이 달리고 꽃잎은 뒤로 젖혀진다. 수술10개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윗부분이 약간 꼬부라지는 것이 특이하다.
출처: 남북한의천연기념불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박하님, 한란님, 마야님, 小花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꽁지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행암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개느삼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낭콩 (0) | 2014.10.18 |
---|---|
강낭콩속 (0) | 2014.10.18 |
자주개자리 (0) | 2014.10.17 |
노랑개자리 (0) | 2014.10.17 |
좀개자리 (0) | 201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