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자운
학명: Gueldenstaedtia verna (Georgi) Boriss.
이명: 털새동부, 털새돔부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애기자운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몽골 / 한국(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 대구시) /서식: 산양의 양지 모래 자갈땅. /크기: 높이 5-10cm
생약명: 전초를 황달, 장염, 이질, 고열번조타박상, 유선염, 종기 등에 쓴다.
다년생초본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우상 복엽이며 잔잎은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잎 사이에 긴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자주색 꽃이 1~4송이씩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를 맺는다. 깊은 산에 나는데 한국의 경북ㆍ평북ㆍ함북,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모두 근출엽이며 9-17개 소엽으로 된 기수1회우상복엽으로 엽병이 길고 길이 3-8cm이다. 소엽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길이 0.5-1.5cm, 폭 2-5mm로서 둔두 또는 첨두에 짧은 까끄라기같은 1개의 돌기가 있고 원저거나 설저이며 앞뒷면에 긴털이 밀생한다. 탁엽은 난형으로 긴복모가 있다.
협과(莢果)는 긴 난형이고 1실이며 길이 12mm정도로서 2조각으로 갈라져 많은 종자를 떨어낸다.
화경(花莖)은 길이 4-9cm로서 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잎이 없고 끝에 1-4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12-15mm로서 보라색의 접형화이다.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7mm로서 겉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하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긴 열편은 길이 3mm정도이다. 기판의 현부는 난형이고 끝이 파지며, 익판은 장원형으로 용골판보다 길다. 자방에 긴 백색 털이 있다.
굵고 긴 뿌리에서 잎이 총생하고 가는 뿌리는 적다.
중국, 몽골 / 한국(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 대구시)
높이가 5-10cm 정도로 자란다.
산양의 양지 모래 자갈땅.
광선: 양생 /결실기: 6월, 7월
전초를 황달, 장염, 이질, 고열번조타박상, 유선염, 종기 등에 쓴다.
자생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분류군으로,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위기종] 평가내용:위기종 / 국가단위
털새동부(애기자운)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Gueldenstaedtia verna (Georgi) Boriss. 털새동부는 대구에서만 볼수 있는 특산식물로 1999년 계명대 김종원 교수의 논문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했다.
털새동부”는 세계적인 희귀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대구에서만 자생하는 콩과(荳科) 다년생 식물이며 멸종위기 꽃 애기자운을 말한다. 애기자운영 이라 불리기도 한다.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깃모양 겹잎이며 잔잎은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잎 사이에 긴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자주색 꽃이 1~4송이씩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를 맺는다. 깊은 산에 나는데 한국의 경북·평북·함북, 시베리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애기자운
크기: 5~6cm
개화시기: 7월~8월
분포지: 한국, 중국, 러시아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높이 5~6㎝이고 전체에 견모가 있으며 뿌리는 굵고 길다.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21개이고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과 더불어 갈색 털로 덮여 있다.
꽃은 7~8월에 보라색으로 피고 긴 화경 끝에 1~4개씩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백색 털이 밀생하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다. 기판(旗瓣)은 끝이 파지고 자방에 백색 털이 있다. 과실은 협과로 장난형이며 긴 털이 밀생한다.
본종은 지상경이 없고 꽃은 화경 끝에 모여나며 과실에 긴 털이 밀생한다.
생태적특징
깊은 산에 난다. 경북(대구), 평북, 함북에 나며 중국, 만주, 우수리,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출처: 애기자운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마야님, 죽화님, 맑은영혼/마용주님, 라비오님, 째즈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captain님, 꽁지님, 갈매빛/崠駐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애기자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애기자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까시나무속 (0) | 2014.09.26 |
---|---|
팥애기자운 (0) | 2014.09.25 |
애기자운속 (0) | 2014.09.25 |
양골담초 (0) | 2014.09.25 |
큰여우콩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