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자귀나무속

호남인1 2014. 9. 20. 09:50

 

 

 

 

 

자귀나무속

 

속명: Albizia

속명풀이: Albizia: 18세기 플로렌스의 귀족 Filipo del Albizzi, 자귀나무를 소개함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콩과 > 자귀나무속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며 교목으로 이루어진 큰 속.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속(屬)은 세계에 약 150종이 있고 원래는 열대성인데 자귀나무는 그 중에서도 가장 북쪽에 분포하는 종이다.

 

구대륙의 따뜻한 지역이 원산지이다. 잎은 어긋나고 날개 모양으로 2번 갈라지는 겹잎이다. 작은 꽃은 공 또는 손가락 모양으로 무리지어 피며, 열매는 띠 모양의 큰 꼬투리이다. 몇몇 종을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다.

 

자귀나무(A. julibrissin/A. julibrizzin)는 아시아와 중동지방이 원산지로 윗부분은 왕관 모양으로 넓게 퍼지며, 꼬투리는 길이가 12㎝ 정도로 납작하다. 알비지아 레베크(A. lebbek)는 아시아 열대와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이며 키가 약 24m이고, 길이가 23~30㎝ 정도 되는 꼬투리가 달린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산지인 알비지아 로판타(A. lophantha)는 키가 6m까지 자라며 7.5㎝ 정도인 꼬투리가 달린다.

 

자귀나무는 황해도 이남지역에서 자라는데, 6~7월에 분홍색의 꽃이 우산 모양으로 화려하게 피어 정원 등에 심기도 한다. 왕자귀나무는 전라남도 목포 유달산에서 자라는데, 자귀나무에 비해 잎이 크고 흰색 꽃이 핀다는 점이 다르다.

 

자귀나무는 미모사(Mimosa, 신경초)와 모양이 비슷하며 밤이 되면 증산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작은 잎이 서로 마주보기로 붙어 버린다.

50-80개나 되는 소엽이 항상 짝수가 되어 짝이 없는 소엽은 없기 때문에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뜻으로 심기도 하며 합환수(合歡樹)라고도 한다.

 

또 콩꼬투리처럼 생긴 긴 열매는 겨울에 바람이 불면 서로 부딪쳐 시끄럽기 때문에 옛 사람들은 여설수(女舌樹)라 부르기도 했다.

자귀나무 껍질은 합환피(合歡皮)라 하여 동의보감에 보면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근심을 없애서 만사를 즐겁게 한다'고 한다.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

 

힌국서식 자귀나무속 (Albizia) 2종 바로가기

 

 

왕자귀나무 (Albizia kalkora Prain)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왕자귀나무 (Albizia kalkora Prain

 

 

 

 

=============================================================================================================================

 

힌국서식 자귀나무속 (Albizia) 2종 특징비교

 

 

 

1. 왕자귀나무 (Albizia kalkora Prain)

잎은 호생하고 우수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대생하고 칼모양으로 길이 20~45mm, 너비 5~10m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야간에 수면운동을 한다. 

과실은 협과로 길이 8~17cm, 너비 2cm이며 종자는 길이 7mm, 나비 4~5mm이고 10월에 성숙한다.

꽃은 6∼7월에 엷은 홍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두상화서가 총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없다. 꽃받침통은 난형으로 길이 3mm로서 털이 있고 화관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다. 수술은 길이 25mm로서 30~40개이다. 

 

왕자귀나무 (Albizia kalkora Prain

 

자귀나무의 세밀화

 

 

 

 

=============================================================================================================================

 

2.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의 우수2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낫같고 원줄기를 향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6-15㎜, 넓이 2.5-4㎜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인편은 7-12쌍이며 우편축의 양측에 약 15-30쌍의 소엽이 대생하고 있다. 우편측 양쪽의 소엽은 낮에는 나래처럼 펴져 있고 밤에는 서로 합쳐진다. 

9~10월에 콩깍지 같은 긴 열매가 익으며 길이 15cm 정도의 편편한 꼬투리에 5~6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소지 끝에서 길이 5㎝정도의 화경(花梗)이 자라서 15-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해질무렵 활짝 핀다. 6~7월경에 피고 소화경이 없다. 꽃받침통은 잔털이 있으며 길이 3mm정도로서 연녹색이고 끝이 그리 뚜렷하지 않게 5개로 갈라지며 화관은 종형이고 길이 6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이고 길이 3cm로서 상반부는 홍색, 하반부는 백색이며 암술이 보다 약간 길고 자방에 털이 없다. 연분홍색의 꽃이 우산형으로 달리며 공작처럼 피어 그 아름다움이 1개월간 지속된다. 

줄기가 굽거나 사선으로 자라며, 약간 드러눕는다. 큰 가지가 드문드문 나와 퍼지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능선이 있다. 

직근과 잔근이 있다.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의 세밀화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Giovanni Marradi - Jeux Interdits(금지된 장난)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관갈퀴나물  (0) 2014.09.20
자귀나무  (0) 2014.09.20
자귀풀  (0) 2014.09.20
약초명해설(ㅈ-ㅎ)  (0) 2014.09.19
흰전동싸리  (0) 201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