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약초명해설(ㅈ-ㅎ)

호남인1 2014. 9. 19. 06:12

 

 

 

 

약초명해설(ㅈ-ㅎ)

 

 

족제비싸리 전초 / [자수괴] 콩과 족제비싸리 잎

 

 

 

[자괴화] 콩과 아카시아나무 꽃

[자구초] 미나리아재비과 털개구리미나리 지상부

[자금우] 자금우 지상부

[자기] 고비과 고비 뿌리줄기

[자기관중] 고비과 꿩고비 뿌리줄기

[자노아] 두릅나무과 두릅나무 뿌리 껍질과 나 무껍질

[자단] 피나무과 피나무, 뽕잎피나무, 염주나무, 염주나무 꽃

[자말리엽] 분꽃과 분꽃 잎

[자매과] 장미과 생열귀나무, 긴생열귀나무 열매

[자목] 뽕나무과 꾸지뽕나무 원줄기

[자미화] 부처꽃과 배롱나무 꽃 *뿌리를 자미근이라고 한다

[자반풍령초] 초롱꽃과 초롱꽃, 금강초롱꽃, 섬초롱꽃 지상부

[자삼] 주목과 주목, 눈주목 가지와 잎

[자수괴] 콩과 족제비싸리 잎

[자오가] 두릅나무과 가시오갈피 뿌리 껍질과 나무 껍질

[자원] 국화과 개미취 뿌리 *자완이라고도 한다

[자인삼] 두릅나무과 땃두릅나무 뿌리

[자주] 마편초과 작살나무, 좀작살나무, 왕작살나무 잎

[자죽근] 화본과 오죽 뿌리줄기[자질려] 남가새과 남가새 열매

[자초] 지치과 지치 뿌리

[자추수피] 두릅나무과 음나무 나무껍질 *우리나라에서는 해동피로 대신 사용

[자형] 인동과 털댕강나무 열매와 꽃

[자형피] 콩과 박태기나무 나무껍질

[자화어등초] 양귀비과 자주괴불주머니 지상부

[자화지정] 제비꽃과 제비꽃, 털제비꽃, 호제비꽃, 뫼제비꽃, 흰젖제비꽃, 왕제비꽃, 잔털제비꽃, 태백제비꽃, 고깔제비꽃, 노랑제비꽃, 금강제비꽃, 엷은잎제비꽃, 종지나물, 아욱제비꽃, 긴잎제비꽃, 서울제비꽃, 섬제비꽃 지상부

[자화포동] 현삼과 참오동나무 열매, 뿌리, 잎, 나무 껍질

[작교] 마디풀과 미꾸리낚시 열매와 지상부

[작목피] 이나무과 산유자나무 나무껍질

[작상] 쥐꼬리망초 지상부[작수피] 너도밤나무과 신갈나무 나무 껍질

[장뇌] 녹나무과 녹나무 원줄기를 증류, 냉각시킨 결정체 *원줄기를 장목이라고 한다

[장미화] 장미과 덩굴장미 꽃 *뿌리를 장미근이라고 한다

[장백극두] 콩과 두메자운 지상부[장백저마] 쐐기풀과 거북꼬리 뿌리

[장병근채] 제비꽃과 흰털제비꽃 뿌리와 지상부

[장약경천] 꿩의비름과 큰꿩의비름 지상부

[장이세신]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 큰노루귀 뿌리줄기

[장춘화] 협죽도과 장춘화 지상부

[장판금련화] 큰금매화 꽃

[장홍화] 붓꽃과 사프란 꽃

[재백피] 능소화과 개오동, 꽃개오동 뿌리 껍질과 나무 껍질

[재앙화] 물푸레나무과 중국금사매 뿌리와 열매

[저령] 구멍장이버섯과 저령 균핵

[저마근] 쐐기풀과 모시풀, 섬모시풀 뿌리

[저백피] 소태나무과 가죽나무 뿌리껍질

[저실] 뽕나무과 꾸지나무 열매 *잎을 저엽, 나무껍질을 저수백피라 한다

[저자] 너도밤나무과 가시나무 열매[적박] 박과 왕과(쥐참외) 열매

[적소두] 콩과 덩굴팥 종자

[적양] 자작나무과 오리나무, 두메오리나무, 떡오리나무, 섬오리나무 어린가지와 나무 껍질

[적양자] 장미과 피라칸다 열매

[전광국] 국화과 깨묵 잎과 꽃

[전궐] 고란초과 손고비 잎

[전도초] 꿀풀과 탑꽃 지상부

[전연관중] 면마과 도깨비고비 뿌리줄기 및 잎자루의 잔기이다

[전엽금계국] 국화과 금계국, 가는잎금계국 잎

[전하라] 석죽과 동자꽃, 제비동자꽃 지상부

[전호] 산형과 바디나물 뿌리 *전호와 털전호의 뿌리가 대신 사용된다

[절절초] 속새과 개속새 지상부

[접골목] 인동과 딱총나무, 털지렁쿠나무, 지렁쿠나무, 엘더베리, 덧나무 가지

[정독초] 제비꽃과 남산제비꽃 지상부

[정동피] 두릅나무과 가는잎음나무 뿌리껍질과 나무껍질

[정력자] 십자화과 다닥냉이 종자 *우리나라에서는 꽃다지의; 종자를 대신 사용한다

[정류] 위성류과 위성류 어린가지

[정빙화] 백합과 중의무릇 비늘줄기

[정향] 정향나무과 정향 꽃봉오리[정향료] 바늘꽃과 여뀌바늘 지상부

[정향엽]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 잎

[제니] 초롱꽃과 모싯대 뿌리

[제채] 십자화과 냉이, 나도냉이 뿌리와 지상부 *두메냉이, 는쟁이냉이는 약용하지 않는다. 종자를 제채자라 한다

[조경초] 노박덩굴과 사철나무 뿌리

[조구등] 꼭두서니과 조구등 잎자루 밑에 달린 가시이다

[조산백] 진달래과 참꽃나무겨우살이(꼬리진달래) 잎과 꽃

[조선괴] 콩과 다릅나무 꽃

[조선백두옹] 미나리아재비과 가는잎할미꽃 뿌리

[조선장주금사도] 물레나물과 큰물레나물 지상부

[조선철선련] 미나리아재비과 세잎종덩굴 뿌리

[조소] 꿀풀과 속단, 산속단, 개속단 뿌리와 지상부

[조유근] 버드나무과 갯버들 뿌리

[조협] 콩과 주엽나무, 조각나무

(조각자나무) 열매 *줄기의 가시를 조각자, 종자를 조협자라고 한다

[조휴] 백합과 삿갓나물 뿌리줄기

[종려피] 종려나무과 종려나무 잎자루 끝에 있는 질긴 털

[주변강] 제비꽃과 졸방제비꽃 지상부

[주사근] 자금우과 백량금 부리

[주아애마] 쐐기풀과 혹쐐기풀 지상부

[죽엽] 화본과 분죽(솜대), 제주조릿대, 조릿대, 섬조릿대, 이대, 신이대 잎 *진액을 죽력이라하며, 겉껍질을 벗긴 후의 섬유질을 죽여라 한다. 어린 순울 죽순이라하여 식용한다

[죽엽청강력] 너도밤나무과 참가시나무 잎

[죽절향부]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바람꽃, 숲바람꽃, 바람꽃, 너도바람꽃 뿌리줄기

[지과회근] 산형과 참나물, 큰참나물 뿌리

[지구자] 갈매나무과 헛개나무 종자

[지금] 포도과 담쟁이덩굴 뿌리와 줄기

[지금초] 대극과 땅빈대 지상부

[지금축] 단풍나무과 고로쇠나무, 왕고로쇠, 우산고로쇠 나무 껍질

[지모] 지모과 지모 뿌리줄기

[지백] 부처손과 구실사리(구슬사리) 지상부

[지봉자] 장미과 돌양지꽃 지상부

[지부자] 명아주과 댑싸리 종자

[지선]도 지치과 반디지치 열매

[지실] 운향과 탱자나무 덜 익은 열매 *완숙된 것을 지각이라고 한다

[지양매] 골풀과 꿩의밥 지상부

[지유] 장미과 오이풀, 산오이풀, 긴오이풀, 큰오이풀 뿌리

[지이초] 물레나물과 애기고추나물 지상부

[지풍초] 화본과 그령 뿌리

[지황과] 낚시제비꽃 지상부

[진교] 용담과 진교 뿌리

[진자] 자작나무과 개암나무, 참개암나무, 병개암나무 열매

[진주매] 장미과 개쉬땅나무(쉬땅나무) 줄기껍질

[진주채] 앵초과 큰까치수염 뿌리와 지상부

[진피]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 좀쇠물푸레, 쇠물푸레나무, 광릉물푸레, 물들레나무 나무껍질

 

 

 

[차전엽산자고] 백합과 얼레지 비늘줄기

[차전자] 질경이과 질경이, 털질경이, 왕질경이, 개질경이 종자 *창질경이의 종자는 약용하지 않는다. 지상부를 차전초라 한다

[차지획] 마편초과 누린내풀 지상부

[착엽자주] 마편초과 흰작살 잎

[참룡초] 국화과 쑥방망이 뿌리와 지상부

[창룡검] 현삼과 냉초 지상부

[창이자] 국화과 도꼬마리 열매

[창출] 국화과 삽주 뿌리줄기

[채자칠] 십자화과 미나리냉이 뿌리

[척촉] 진달래과 철쭉나무, 산철쭉, 흰철쭉나무 꽃

[천굴채] 부처꽃과 부처꽃 지상부

[천궁] 산형과 천궁, 일천궁 뿌리줄기

[천금등] 새모래덩굴과 함박이 뿌리, 줄기, 잎이다

[천남성] 천남성과 천남성, 큰천남성, 두루미천남성, 점박이천남성, 넓은잎천남성 덩이줄기

[천녀목란] 목련과 함박꽃나무 꽃봉오리

[천련자] 멀구슬나무 열매 *뿌리껍질을 고련피라고 한다

[천마] 난초과 천마 덩이뿌리 *싹을 적전이라 한다

[천문동] 백합과 천문동 덩이뿌리

[천봉초] 석죽과 벼룩나물 지상부

[천산룡] 마과 부채마, 국화마, 단풍마 뿌리줄기

[천산화추] 장미과 마가목, 당마가목 나무껍질과 열매

[천선과] 뽕나무과 천선과나무, 좁은잎천선과나무 뿌리 *줄기와 잎을 우내시, 열매를 우내장이라 한다

[천초근] 꼭두서니과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뿌리 *줄기를 천초경이라 한다

[천축계] 녹나무과 생달나무 나무껍질과 열매

[천호유] 산형과 피막이, 선피막이 지상부[천화분] 박과 하늘타리 뿌리 *열매를 과루, 종자를 과루인, 열매껍질을 과루피라고 한다

[철사영선] 백합과 청가시덩굴 뿌리와 뿌리줄기

[철사칠] 고사리과 공작고사리 지상부

[철선련] 미나리아재비과 자주조회풀, 조회풀(병조회풀) 뿌리

[철선초] 화본과 우산잔디 지상부

[첨과] 박과 참외 열매 *꼭지를 과체, 종자를 첨과자라고 한다

[첨당과] 녹나무과 비목나무 가지와 잎

[첨엽산마황] 콩과 도둑놈의갈구리 뿌리와 지상부

[청대] 마디풀과 쭉 잎을 물에 2~3일간 담갔다가 짓찧어 찌꺼기는 버리고 즙 5kg에 석화 500g을 넣고 충분히 저은 다음 위에 뜨는 거품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 것이다. *열매를 남실이라고 한다

[청상자] 비름과 개맨드라미 종자

[청유] 느릅나무과 난티나무, 둥근난티나무 열매

[청해축] 단풍나무과 산겨릅나무 나무껍질

[청호] 국화과 개똥쑥 지상부

[체당화] 장미과 황매화 꽃

[초과] 생강과 초과 열매

[초독앵도] 장미과 섬개벚나무 종자

[초두구] 생강과 초두구 종자

[초림자] 장미과 홍가시나무 열매 *잎을 초림엽이라고 한다

[초매] 장미과 딸기(양딸기) 열매

[초석잠] 꿀풀과 석잠풀 지상부

[초오] 미나리아재비과 놋젓가락나물, 지리바꽃, 세뿔투구꽃, 한라돌쩌귀 덩이뿌리

[초작약] 미나리아재비과 산작약 뿌리

[초장초] 괭이밥, 큰괭이밥, 자주괭이밥 지상부

[촉규화] 아욱과 접시꽃 꽃 *뿌리를 촉규근, 종자를 촉규자라고 한다. 백색곷을 백규화, 적색곷을 적규화라고 한다.

[총목] 두릅나무과 독활 뿌리 *우리나라에서는 산형과의 어수리의 뿌리를 대신 사용

[총백] 백합과 파 비늘줄기 *종자를 총실 또는 총자라 한다

[추영] 국화과 코스모스 지상부

[축림과] 단풍나무과 네군도단풍 열매

[춘백피] 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 나무껍질과 뿌리 껍질

[취국] 국화과 과곷 꽃

[취산양] 운향과 상산 뿌리

[취숭] 천남성과 앉은부채 지상부

[취오동] 마편초과 누리장나무 가지와 잎

[취접화] 풍접초과 풍접초 지상부

[측백엽] 측백나무과 측백나무, 서양측백 잎

[치자] 꼭두서니과 치자나무 잘 익은 열매

[치자연] 장미과 양지곷, 개소시랑개비, 돌양지꽃 지상부 *뿌리를 치자연근이라고 한다

[칠고초] 석죽과 개미자리, 큰개미자리 지상부

[칠엽담] 박과 돌외 지상부

[침통선] 바늘꽃과 한라바늘꽃 지상부

[침향] 팥꽃나무과 침향 원줄기

 

 

 

[탄율수] 물푸레나무과 이팝나무 열매

[태자삼] 석죽과 개별꽃, 다화개별꽃, 좁은잎개별꽃 뿌리

[택란] 꿀풀과 쉽싸리 지상부

[택사] 택사과 택사, 질경이택사 덩이뿌리

[택칠] 대극과 등대풀 지상부

[토당귀] 산형과 참당귀 뿌리 *우리나라에서는 당귀로 잘못 사용하고 잇다

[토목향] 국화과 목향 뿌리

[토백렴] 박과 새박 뿌리

[토복령] 백합과 토복령 뿌리줄기

[토사자] 메꽃과 새삼, 실새삼 성숙한종자

[토상산] 범의귀과 산수국, 탐라산수국 뿌리

[토아산] 국화과 우산나물, 애기우산나물 뿌리와 지상부

[토장화] 장미과 설악아구장나무(설악조팝나무) 가지

[토향비] 개비자나무과 개비자나무 종자

[토황금] 미나리아재비과 가래바람꽃 지상부

[통초] 두릅나무과 통탈목 줄기

[투경냉수화] 쐐기풀과 모시물통이 뿌리, 줄기, 잎

 

 

 

[파극천] 꼭두서니과 파극 뿌리

[파두] 대극과 파두 잘 익은 종자

[파모근] 화본과 물억새 뿌리줄기

[파연동청] 감탕나무과 꽝꽝나무, 좀꽝꽝나무 나무 껍질 점액

[파엽인동] 인동과 구슬댕댕이 꽃

[파자초] 산형과 사상자 열매 *개사상자는 약용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사상자로 잘못 사용되고 있다

[파지송] 소나무과 눈잣나무 가지와 잎

[파채] 명아주과 시금치 뿌리와 지상부

[파파납] 현삼과 개불알풀 지상부

[판람근] 십자화과 승람 뿌리

[팔각금반] 두릅나무과 팔손이나무 뿌리와 잎

[팔선화] 범의귀과 수국 뿌리, 꽃, 잎

[패란] 국화과 등골나물, 골등골나물, 향등골나물, 서양등골나물 지상부

[패모] 백합과 중국패모(절패모) 비늘줄기 *중국에서는 천패모의 비늘줄기를 많이 약용한다

[패장] 마타리과 마타리 뿌리 *금마타리의 뿌리는 약용하지 않는다

[편복갈근] 새모래덩굴과 새모래덩굴 뿌리 *덩굴을 편복갈이라 한다

[편축] 마디풀과 마디풀 지상부

[평] 네가래과 네가래 지상부

[평과] 장미과 사과나무 열매

[평봉초자] 수련과 개연꽃 열매

[포공영] 국화과 민들레, 산민들레, 흰민들레, 서양민들레 지상부

[포도] 포도과 포도 열매 *뿌리를 포도근이라고 하며, 줄기와 잎을 포도경엽이라고 한다

[포황] 부들과 부들, 애기부들, 좀부들 꽃가루

[폭마자] 물푸레나무과 개회나무, 긴잎개회나무 가지

[표초] 사초과 세모고랭이 지상부

[풍류피] 가래나무과 중국굴피나무, 털굴피나무 가지와 잎

[풍하이] 두릅나무과 황칠나무 뿌리와 가지

[풍화채] 십자화과 속속이풀 지상부

[피마자] 대극과 피마자(아주까리) 종자 *잎을 피마엽, 종자기름을 피마유, 뿌리를 피마근이라 한다

[필발] 후추과 필발 덜 익은 열매

 

 

 

[하고초] 꿀풀과 꿀풀, 두메꿀풀, 흰꿀풀 지상부

[하수오] 마디풀과 하수오 덩이부리 *적하수오라고도 하며 줄기를 야교등이라 한다

[하천무] 양귀비과 좀현호색 덩이부리

[하청화근] 양귀비과 피나물 뿌리

[하포목단근] 양귀비과 금낭화 부리줄기

[하화옥란] 목련과 태산목 꽃과 나무껍질

[학슬풍] 산형과 당근 뿌리 *호나복이라고도 한다. 종자를 남학슬이라고 한다

[한금련] 한련과 한련화 지상부

[한련초] 국화과 한련초 지상부

[한생권백] 부처손과 개부처손 지상부

[한신초] 꿀풀과 골무꽃, 광릉골무꽃, 애기골무꽃, 흰골무꽃 뿌리와 지상부

[한인진] 국화과 더위지기 지상부

[한진교] 미나리아재비과 진교, 흰진교 뿌리

[한채] 십자화과 개갓냉이 지상부와 꽃

[함수초] 콩과 미모사 지상부[합맹] 콩과 자귀풀 지상부

[합환피] 콩과 자귀나무, 왕자귀나무 나무겁질 *꽃을 합환화라고 한다

[해금사] 실고사리과 실고사리 성숙한 포자 지상부를 해금사초라 한다

[해백] 백합과 해백 비늘줄기

[해송자] 소나무과 잣나무 종자

[해조] 모자반과 대엽해조, 소엽해조 전초

[해풍등] 후추과 바람등칡(후추등) 줄기

[해홍] 장미과 아그배나무 열매

[핵도추과] 가래나무과 가래나무 열매

[행인] 장미과 살구나무 종자

[행채] 용담과 노랑어리연꽃 지상부

[향근근] 산형과 긴사상자 지상부

[향목균계] 물푸레나무과 구골나무 가지, 잎, 나무 껍질

[향부자] 사초과 향부자 뿌리줄기

[향유] 꿀풀과 꽃향유, 향유 지상부

[향일규자] 국화과 해바라기 종자 *꽃받침을 향일규화탁, 잎을 향일규엽, 꽃을 향일규화라고 한다

[향호] 국화과 개사철쑥 지상부

[현] 비름과 비름 지상부

[현삼] 현삼과 현삼, 토현삼, 큰개현삼 뿌리

[현호색] 양귀비과 현호색, 들현호색, 댓잎현호색, 애기현호색, 세잎현호색, 흰현호색, 점현호색 덩이뿌리

[혈갈] 종려나무과 기린갈 수지

[협과궐] 면마과 청나래고사리 뿌리줄기

[협미] 인동과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 가지와 잎

[협죽도] 협죽도과 협죽도 잎과 나무 껍질

[형개] 꿀풀과 형개 지상부 *꽃이 달린 이삭을 형개수라고 한다

[호도] 가래나무과 호두나무 성숙한 종자

[호로칠] 국화과 곰취 뿌리

[호로파] 콩과 호로파 종자

[호박] 소나무과 식물의 수지가 밑으로 흘러내려 땅속에 파묻혀 응결된 화석모양의 물질이다

[호유] 산형과 고수 뿌리와 지상부 *종자를 호유자라고 한다

[호이초] 범의귀과 범의귀 지상부

[호장근] 마디풀과 호장근, 왕호장 뿌리

[호전표] 장미과 멍석달기 지상부

[호초] 후추과 후추나무 열매

[호황련] 현삼과 호황련 뿌리줄기

[혼계두] 면마과 쇠고비 뿌리줄기[홍모칠] 매자나무과 꿩의다리아재비 뿌리와 뿌리줄기[홍서목] 층층나무과 흰말채나무 나무껍질과 잎[홍약자] 마디풀과 나도하수오 덩이뿌리

[홍윤천리광] 국화과 산솜방망이 지상부[홍차축초] 콩과 붉은토끼풀 지상부[홍초] 마디풀과 털여뀌 지상부[홍한련] 물레나물과 물레나물 지상부[홍화] 국화과 잇꽃 꽃 *종자를 홍화자라고 한다[홍화채] 콩과 자운영 지상부[화두초] 제비꽃과 흰제비꽃 지상부[화마인] 뽕나무과 삼 열매[화목피] 자작나무과 자작나무, 만주자작나무 나무 껍질

[화산반]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 가지와 잎[화중호이초] 범의귀과 바위떡풀, 지리산바위떡풀 지상부[화초] 운향과 초피나무, 개산초, 왕초피나무 열매껍질 *종자를 초목이라 한다[화향수엽] 가래나무과 굴피나무 잎[황과] 박과 오이 열매[황근] 양귀비과 산괴불주머니 지상부[황금] 꿀풀과 황금 뿌리[황기] 콩과 황기, 몽고황기 뿌리[황련] 미나리아재비과 황련, 일황련 뿌리줄기

[황련화] 앵초과 좁쌀풀, 참좁쌀풀 지상부[황백] 운향과 황벽나무, 털황경피나무, 섬황경피나무 나무 껍질[황암채] 국화과 뽀리뱅이 지상부와 뿌리[황양목] 회양목과 회양목, 긴잎회양목, 섬회양 종자[황자근] 양귀비과 눈괴불주머니 지상부[황정] 백합과 황정, 진황정, 층층둥굴레의 뿌리줄기

[황촉규화] 아욱과 닥풀 꽃 *뿌리를 황촉규근, 종자를 황촉규자라 한다[회엽] 측백나무과 향나무 가지, 잎, 종자, 나무 껍질 *상록성 포복성 식물 눈향나무의 잎도 약용한다[회향] 산형과 회향, 팔각회향 열매 *뿌리를 회향근, 줄기와 잎을 회향경엽이라 한다[후롱초] 앵초과 봄맞이 지상부

[후박] 녹나무과 중국후박나무, 일목련 나무껍질 *우리나라에서는 후박나무의 나무껍질을 토후박이라하여 위품을 쓰고 있다[훤초근] 백합과 원추리, 노랑원추리, 왕원추리, 각시원추리, 애기원추리, 큰원추라 뿌리

[흑대두] 콩과 콩 종자 *잘 익은 콩을 찧어서 뽕잎과 개똥숙의 잎으로 싸서 발효시킨 다음 이 잎을 버리고 노천에서 3일간 말린 것을 담두시라 하며 콩을 발아시켜서 건조시킨 것을 대두황권이라 한다[흑수화추] 장미과 차빛당마가목 나무껍질과 열매[흑유] 느릅나무과 흑느릅나무 어린가지[흑지마] 참깨과 참깨 성숙한 종자[흑축] 메꽃과 나팔꽃 종자 *견우자라고도 한다[흑화] 자작나무과 물박달나무, 박달나무 어린 싹[희렴] 국화과 진득찰, 털진득찰 지상부 *희첨이라고도 한다[힐초] 마타리과 쥐오줌풀, 좀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광릉쥐오줌풀 뿌리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귀나무속  (0) 2014.09.20
자귀풀  (0) 2014.09.20
흰전동싸리  (0) 2014.09.19
전동싸리  (0) 2014.09.19
전동싸리속  (0) 201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