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활나물

호남인1 2014. 9. 13. 07:17

 

 

 

 

 

활나물

 

학명: Crotalaria sessiliflora L.

이명: /영명: Purpleflower Crotalaria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황기속(Astragalus)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지, 중국 전역 /서식: /크기: 높이 20~70cm

생약명: 전초(全草)를 野百合(야백합)이라 하며 약용한다.

 

일년생초본

콩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는 20~70센티미터이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잎은 표면을 제외하고는 전체에 털이 있다. 7~8월에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협과(莢果)이며 2개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동부 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활나물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1239&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며 단순하고 엽병이 거의 없으며 넓은 선형이거나 피침형이고 길이 4~10cm, 나비 3~10mm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탁엽은 선형으로 길이 3~5mm이다. 

 

협과는 장타원형이고 밋밋하며 길이 10~12mm로서 2개로 갈라진다. 

 

꽃은 청자색이고 7~9월에 피며 원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5~8mm이다. 꽃받침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위쪽의 것이 2개로 갈라지며 밑의 것은 3개로 갈라지고 꽃과 열매를 감싸며 과시에는 길이가 10-15mm로 되고 겉에 갈색 털이 밀생하며 꽃잎이 꽃받침보다 작다. 

 

높이 20-70cm이고 잎 표면을 제외하고 전체에 긴 갈색 털이 있다. 

 

전국 각지, 중국 전역에 분포한다. 

종자 번식한다. 

 

생약명

전초(全草)를 野百合(야백합)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철의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7종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것은 monocrotaline 외 2종이다. Monocrotaline의 함량은 전초의 약 0.02%, 종자에는 약 0.4%이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炎症性發熱(염증성발열), 小便不利(소변불리), 腹水(복수), 水腫(수종), 耳鳴(이명), 眩暈(현운), 癌腫(암종), 小兒疳積(소아감적)을 치료한다. 최근에는 암치료에 試用(시용)되고 있다. ※암 치료에 외용, 내복, 주사제로 이용되며, 종양 치료에는 생약을 3~4개월 가량 매일 60~120g 사용한다. 항암작용, 피부암, 자궁경암, 음경암, 유선암, 위암, 간암, 식도암, 폐암 및 만성기관지염에 효과가 높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전초는 감미(甘味)가 있고 성(性)은 온(溫)하며 약간의 독이 있다. 한명(漢名)은 농길리(農吉利)이다. 

 

 

 

 

활나물

학명 Crotalaria sessiliflora L.

 

학명은 Crotalaria sessiliflora L.이다. 전 줄기에 털이 많이 나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 있는데, 한 줄기 또는 분지되기도 한다. 높이는 20∼60㎝에 이르고, 잎은 서로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잎에는 억센 털이 많고 탁엽은 작다. 꽃은 7∼8월에 엷은 자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로서 줄기의 끝단에서 핀다. 열매는 협과로서 긴 타원형을 이루고 평활하다. 전국 각지의 원야에서 널리 야생한다.

 

이 식물의 지상부는 야백합(野百合)이라고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약효성분은 알칼로이드로서 대표적인 것은 모노크로타린을 들 수 있다. 이 성분은 암세포의 발육을 억제시키는 데 현저한 공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임상적으로는 위암·자궁암·피부암·폐암·유방암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만성기관지염에도 부작용 없이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또한, 개를 통한 실험에서는 혈압하강작용과 이뇨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밖에 소염작용이 있어, 피부의 종기로 염증이 심할 때에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어린아이의 황달에는 40g을 달여서 복용시키면 치유효능을 얻게 된다. 산야에서 독사에게 물렸을 때에도 이것을 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독성이 약화된다.

[참고문헌]

• 『한국식물도감(韓國植物圖鑑)』(정태현, 신지사, 1964)

•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진출처

floma http://www.floma.pe.kr/  마야님, 明知/姜寬洙님. 淸香님, 하늘금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 동백꽃님, 촌부(조재근님, 하늘에서님, 꽁지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활나물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녀콩  (0) 2014.09.13
해녀콩속  (0) 2014.09.13
자운영  (0) 2014.09.13
자주개황기  (0) 2014.09.12
개황기  (0) 2014.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