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절굿대속(Echinops)

호남인1 2014. 8. 15. 06:27

 

 

 

 

 

절굿대속(Echinops)

 

속명: Echinops

속명 에키높스는 희랍어에서 `echinos(고슴도치)`와 `pos(발)`의 합성어로 둥근 두상화서(두상꽃차례)의 모양이 가시가 돋은 고슴도치의 발과 같이 생겼다고 하는데에서 유래한다.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절굿대속(Echinops)

 

절굿대 (Echinops setifer Iljin)

 

 

 

한국서식 절굿대속(Echinops) 2종 바로가기

절굿대 (Echinops setifer Iljin)

절굿대 (Echinops latifolius Tausch)

 

 

 

 

한국서식 절굿대속(Echinops) 2종 특징비교

 

1. 절굿대 (Echinops setifer Iljin)

잎은 호생하고 엉겅퀴의 잎 같으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면모로 덮여 있고 백색이지만 건조하면 흑색으로 변하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2-3mm의 가시가 달린 뾰족한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엽병이 없으며 긴타원형이며 길이 15~25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5-6쌍으로 갈라진다.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황갈색 털이 밀생하고, 관모는 인편상으로서 윗부분이 가시처럼 되며 밑부분에 돌기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5cm정도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남자색이다. 화관은 길이 12-13mm로서 5개로 깊게 갈라져 뒤로 젖혀지고 통부의 좁은 부분은 길이 4-5mm이며 인부(咽部)는 길이 7-8mm이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백색 털로 덮여 있어서 전체가 솜으로 덮여 있는 것같다.

 

절굿대 (Echinops setifer Iljin)

 

 

 

2. 큰절굿대 (Echinops latifolius Tausch)

근생엽은 꽃이 필 때 거의 없어지며 타원상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25-30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같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지만 엽맥에는 털이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 끝에 길이 2-3mm의 가시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타원형이고 5-6쌍의 열편이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톱니 끝이 가시로 된다. 밑잎에는 긴 엽병이 있고 윗잎은 엽병없이 줄기를 감싼다.

수과는 원통형으로서 갈색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1mm정도의 인편으로서 밑이 합생하였으며 9-10월에 익는다.

두화는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둥글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총포편은 길이 17-18mm, 나비 5mm로서 외포편이 내포편보다 점차 짧아지며 주걱형이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뒷면에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딱딱하며 내포편은 긴 능형(菱形)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고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갈색이다.

높이 60-8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단일하고 밑부분에는 거미줄털이 약간 있고 윗부분에서는 백색의 솜털이 있다.

길이 10-25cm의 육질인 원주형 뿌리가 있으며 겉은 황갈색이다.

 

큰절굿대 (Echinops latifolius Tausch

♬배경음악:Tu Ne Sais Pas Aimor♬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14.08.16
흰쑥  (0) 2014.08.16
마키노국화  (0) 2014.08.14
남구절초  (0) 2014.08.14
산국속   (0)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