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흰쑥

호남인1 2014. 8. 16. 10:08

 

 

 

 

 

흰쑥

 

학명: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이명: 산흰쑥, 눈빛쑥 /영명: Beach Wormwood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라 북도 덕유산 이북지역, 동해안 지역 /서식: 들이나 모래땅 /크기: 높이 20-65㎝ 

생약명: 흰쑥/더위지기/털산쑥의 全草를 白蒿(백호)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약용식물)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65센티미터. 잎은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이며 깃꼴로 갈라져 어긋맞게 난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많이 벋는데, 7~9월에 누른 갈색의 두상화(頭狀花)가 가지 위에서 원뿔 꽃차례로 핀다. 우리나라 북부 동해안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흰쑥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5716&mn=KFS_28_01_02_01

 

 

------------------------------------------

꽃이 없는 줄기의 잎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6-30mm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3-7㎝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2쌍으로서 끝이 둔하며 긴 타원형이고 표면에 면모가 있으며 밑부분이털로 두껍게 덮여 있고 꽃이 달려 있는 가지 중앙부의 잎은 길이 3-9cm, 나비 2-5cm이다. 

 

수과는 좁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양끝이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다소 굽는다. 

 

꽃은 7-9월에 피며 두상화는 황갈색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처지며 좁은 원추형으로 배열되고 길이 7mm, 나비 7-10㎜로서 처음에는 화경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의 화경은 길이 1-7mm이다. 총포는 털로 두껍게 덮여 있으며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높이 20-65cm이고 꽃이 피기 전에는 가지와 더불어 끝이 처지며 털로 두껍게 덮여 있다. 

 

지하경이 옆으로 자란다. 

전라 북도 덕유산 이북지역, 동해안 지역에서 자란다. 

들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생약명

흰쑥/더위지기/털산쑥의 全草를 白蒿(백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늦가을에 채취한다.

②성분 : 녹색부분은 일종의 sesquiterpine (methylene 基를 갖는다) sieversinin을 함유한다. 지상부분은 sieversin, artabsin, artab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식물은 alkaloid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類 및 미량의 furocoumarins을 함유한다. 이 밖에 rutin, isoquercetin을 함유한다. 더위지기에서는 coumarin 계열성분(aesculetin)이 알려져 있다. 利膽效果(이담효과)가 있다.

③약효 : 五臟邪氣(오장사기), 風寒濕痺(풍한습비)를 치료하고 補中益氣(보중익기)의 효능이 있다. 정신불안정으로 少食(소식)하기 때문에 항상 空腹感(공복감)을 갖는 증상, 風寒濕痺(풍한습비), 황달, 熱痢(열리), 疥癩惡瘡(개라악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달이거나, 또는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한다. 

 

 

 

흰쑥

 

학명: Artemisia stelleriana Besser

크기: 20~65cm

개화시기: 7월~9월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북미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근경이 옆으로 벋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65㎝이고 전체에 두꺼운 백색의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꽃이 없는 줄기의 잎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6~30㎜이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이 달리는 줄기의 잎은 호생하고 중부의 잎은 길이 3~9㎝, 너비 2~5㎝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양면에 백색 털이 많고 엽질이 두껍다. 위로 갈수록 작아져 단엽으로 된다.

 

꽃은 7~9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원추화서로 달리며 두화는 지름 6~7㎜이고 화경은 꽃이 진 뒤에 길이 1~7㎜로 된다. 총포편은 4열로 배열하고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다. 과실은 수과로 길이 3㎜이다.

 

본종은 구와쑥과 비단쑥에 비해 전주에 털이 많아 백색을 띠고 잎은 우상으로 중렬하며 두화는 구형으로 크고 과실은 녹황색이다.

 

생태적특징

해안의 모래땅에 난다.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북미에 분포한다.

출처: 흰쑥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쑥속 (Artemisia) | 식물도감(植物圖鑑)

흰쑥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쑥  (0) 2014.08.16
  (0) 2014.08.16
절굿대속(Echinops)  (0) 2014.08.15
마키노국화  (0) 2014.08.14
남구절초  (0)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