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산국속

호남인1 2014. 8. 14. 10:25

 

 

 

 

 

산국속

Dendranthema

 

 

 

 

 

생물분류

: 식물계(Plantae)

: 속씨식물(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국화목(Asterales)

; 국화과(Asteraceae)

: 산국속(Dendranthema)

 

분류 :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산국속

 

 

본 분류군은 구절초속(Chrysanthemum)에 흔히 분류하는데 최근의 한국식물지(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와 중국식물지(Flora of China)에서는 열매에 날개가 없다는 점을 들어 산국속을 구절초속과 다른 독립된 속으로 구분 짓는다.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힌국서식 산국속 (Dendranthema) 14종 바로가기

가는잎감국 (Dendranthema indicum var. acuta (Uyeki) Kitam.)

감국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남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Lee &H.J.Choi)

마키노국화 (Dendranthema makinoi (Matsum.) Y.N.Lee)

바위구절초 (Dendranthema sichotense Tzvelev)

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var. zawadskii)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신창구절초 (Dendranthema sinchangense (Uyeki) Y.M.Lee &H.J.Choi)

울릉국화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이화구절초 (Dendranthema xintermedium (Y.N.Lee) Y.N.Lee)

포천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g.)

한라구절초 (Dendranthema coreanum (H.Lev. &Vaniot) Vorosch.)

흰감국 (Dendranthema indicum for. albescens (Makino) T.B.Lee)

 

 

감국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자료출처: 야생회클럽 /국화과 산국속 10종 /별꽃/민경화님/http://wildflower.kr/xe/2972419

 

 

 

힌국서식 산국속 (Dendranthema) 14종 특징비교

 

 

1.가는잎감국 (Dendranthema indicum var. acuta (Uyeki) Kitam.)

과실은 수과로 길이 1.6mm이고 5개의 줄이 있다. 

꽃은 10∼11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은 2.5cm 정도이다. 총포는 길이 5~6mm이고 화편은 4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작고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등에 털이 있다. 

 

 

 

 

2.감국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3~5cm, 나비 2.5~4cm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정렬편은 크며 끝이 둔하고 측렬편은 타원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과실은 수과로 길이 1.6mm이고 5개의 줄이 있다.

꽃은 10∼11월에 황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의 지름은 2.5cm 정도이다. 총포는 길이 5~6mm이고 화편은 4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작고 난형 또는 장 타원형으로 등에 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하며 하부는 쓰러져 땅에 닿으나 끝은 서로 보통 자흑색을 띠며 전주에 잔털이 있다.

근경은 옆으로 뻗어 끝에서 새싹이 생긴다.

 

감국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3.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서 절저 또는 심장저에 가까우며 윗부분의 것은 예저로도 되고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긴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가장자리가 약간 갈라지거나 거치가 있다.

수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는 2mm 정도로 5개의 줄이 있으며 밑 부분이 약간 굽는다. 종자는 10월 하순경부터 11월초에 성숙한다.

두화는 보다 크며 지름이 8cm에 달한다. 꽃은 보통 백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꽃은 향기가 있으며 줄기나 가지 끝에서 한송이씩 피고 한 포기에서는 5송이 정도 핀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6-7mm, 지름 1.5c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된다. 가운데의 관상화는 화관이 황색이다.

높이가 50cm내외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거나 또는 없으며, 줄기는 곧게 나고 단일하거나 가지가 갈라진다.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4.남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Lee &H.J.Choi)

섬과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뿌리줄기는 기고 밑부분의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다. 밑은 수평이거나 심장 모양이고 줄기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이다. 넓은잎구절초와 비슷하지만 더 두꺼우며 겉면에 윤이 난다. 잎 끝은 얕게 갈라진다.

꽃은 설상화로서 9∼11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길이 약 2cm, 나비 약 5mm의 꽃이 줄기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씩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총포조각은 줄 모양이며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2mm이다.

 

남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Lee &H.J.Choi)

 

 

 

5.마키노국화 (Dendranthema makinoi (Matsum.) Y.N.Lee)

낮은 지대의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그리 흔하지 않으며, 산국과 비슷하지만 잎의 뒷면에 솜털이 빽빽이 나는 것이 다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어서 나무처럼 단단해지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3개로 얕게 또는 중간까지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다시 1∼2개로 갈라져서 국화잎 비슷하게 보인다.

꽃은 가을에 핀다. 두상화(頭狀花)는 지름 3∼5cm이고 흰색이며, 관상화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젖으면 끈끈한 성질이 생겨 서로 붙는다.

 

마키노국화 (Dendranthema makinoi (Matsum.) Y.N.Lee)

 

 

 

6.바위구절초 (Dendranthema sichotense Tzvelev)

잎이 백색 털로 덮여 있다. 잎은 밑부분의 것은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가면서 엽병이 없어지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산구절초와 비슷하게 가늘어지고 첨두이며 넓이 1mm가량이다. 엽병의 기부는 넓어져 줄기를 절반 감싼다.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1.5-2.5mm이고 6-7개의 종륵(縱肋)이 있으며 9-10월에 익는다.

포편의 뒷면과 안쪽 가장자리에 백색 털이 있고 화경이 짧으며 꽃이 크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화는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지름 2-4cm이다. 총포는 길이 5-7mm, 지름 10-18mm이고 포편은 긴타원형으로서 둔두이며 가장자리는 넓은 막질이고 갈색이다. 두상화서의 가장자리에는 설상화가 있고 설상화관은 분홍색 또는 백색이며 길이 10-20mm이다. 화서의 안쪽에 있는 관상화의 화관은 황색이다.

 

바위구절초 (Dendranthema sichotense Tzvelev)

 

 

 

7.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var. zawadskii)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반 정도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길이 2-4.5cm의 엽병이 있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 1-3.5cm, 나비 1-4cm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우상으로 전열(全裂)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나 선형(線形)이며 나비 1-2mm로서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엽병도 짧아져서 마침내 전체가 선형으로 되는 것도 있으며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5개의 줄이 있으며 밑부분이 약간 굽는다.

꽃은 엷은 홍색 또는 백색으로 7~9월에 핀다.

두화(頭花)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3-6cm로서 큰 엷은 홍색의 설상화가 가장자리에 있고 가운데에는 황색의 관상화가 있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6-7mm, 지름 1.5c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막질이고 타원형이다.

설상화는 1줄로 배열되며 길이 1.5-3cm, 나비 3-6.5mm로서 끝이 2-3개로 얕게 갈라지고 통부는 길이 1.5-2mm이며 털이 없고 통상화관은 길이 3mm정도로서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암술머리는 절두이다.

높이 10-60cm이고 한 개가 서거나 또는 가지가 갈라지며 복모가 있다.

 

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var. zawadskii)

 

 

 

8.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중앙부의 것은 긴 타원상 난형이고 길이 5~7cm, 폭 4~6cm로서 기부가 약간 심장저이거나 절저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크기가 거의 비슷하며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측열편은 2쌍으로서 열편 사이가 넓으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중간에서 붙는 털이 있다.

수과는 도란형으로 길이 1mm 정도 되며, 5-6줄이 있으며 관모가 없다. 10-11월에 결실한다.

꽃은 9-10월에 피며 지름 1.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형 비슷하게 달린다. 총포의 길이는 4mm, 직경이 8mm이며, 포편은 3~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선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겉에 털이 있으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설상화관은 길이 5-7mm로서 황색이며 통상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진다.

높이 1-1.5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전체에 짧은 백색 털이 많다. 사방으로 많은 뿌리가 뻗어 있다.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9.신창구절초 (Dendranthema sinchangense (Uyeki) Y.M.Lee &H.J.Choi)

 

 

 

10.울릉국화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높이 30cm이고 줄기는 홍자색을 띠며 곧게 선다. 뿌리잎은 모여나고 깃털 모양으로 두 번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달걀형 피침 모양으로 육질이며 윤기가 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지름 5~6cm의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의 끝부분과 가지의 끝부분에 1개씩 달린다. 총포는 반으로 자른 공 모양이며 포조각은 3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으며 긴 타원 모양이다.

 

울릉국화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11.이화구절초 (Dendranthema xintermedium (Y.N.Lee) Y.N.Lee)

 

 

 

12.포천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g.)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 없어지며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은 나비 2mm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다. 다른 구절초들에 비해 잎이 많이 갈라진다.

꽃이 달리지 않는 줄기는 높이 3-5cm이며 끝에서 잎이 총생하고 화경(花莖) 중앙부의 잎은 우상 또는 3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고 밑부분이 열편보다 좁아져서 엽병으로 되며 끝이 뾰족하고 선형 또는 피침형이다.

열매는 수과로 긴 난형으로서 3개의 능선과 더불어 5개의 능선이 있다. 화경 윗부분에 떨어지기 쉬운 연모(軟毛)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다소 분홍색이 돌고 화경(花梗) 끝에 1개씩 달리며 포편은 1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보다 좁으며 다소 짧고 내편과 더불어 가장자리가 갈색 막질로서 끝이 둥글며 1개의 뚜렷한 맥이 있고 그 밑에 선상의 포엽이 있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털이 거의 없다.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면서 새싹이 돋는다.

 

포천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g.)

 

 

 

13.한라구절초 (Dendranthema coreanum (H.Lev. &Vaniot) Vorosch.)

줄기 높이는 20㎝ 정도이고 지하경은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잎은 호생하며 가늘게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육질이다. 꽃은 보통 흰색, 분홍색이며 두화는 가지가 갈라지는 화경 끝에 1개씩 피고 두상 화서의 지름은 5~6㎝이다. 9~10월에 피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제주 한라산의 해발 1,300m 이상 지역에서 자라며, 구절초에 비하여 잎이 두껍고 혁질이 있다.

 

한라구절초 (Dendranthema coreanum (H.Lev. &Vaniot) Vorosch.)

 

 

 

 

14.흰감국 (Dendranthema indicum for. albescens (Makino) T.B.Lee)

잎은 어긋나는데 얇고 부드러우면서 보통 5갈래로 갈라지는 깃꼴 모양이며, 소엽은 둥근 난형이다.

10~11월에 열매가 익는다.

9~11월에 흰색 꽃이 핀다.

줄기는 자흑색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흰감국 (Dendranthema indicum for. albescens (Makino) T.B.Lee)

 

 

 

 

Symphony No. 6 in F major, K. 43


모짜르트 : 교향곡 제6번, K43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Academy of St. Martin-in-the-Fields
Conducted by Neville Marriner


 1악장 : Andante - Allegro assai


2악장 : Andante


3악장 : Menuetto


4악장 : Allegro

=============================================================================================================================

바로가기

 

국화 | 식물도감(植物圖鑑)

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1. (4,903種중 1.가래과 - 650.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키노국화  (0) 2014.08.14
남구절초  (0) 2014.08.14
께묵속  (0) 2014.08.14
민들레속(Taraxacum)  (0) 2014.08.14
등골나물속  (0) 2014.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