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암차즈기
학명: Salvia plebeia R.Br.
이명: 배암차즈키, 뱀차조기, 배암배추, 뱀배추,곰보배추 /영명: Common Sage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암차즈기속
원산지: 한국 /분포: 아시아 동남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서식:약간 습기 있는 들판, 논둑이나 개울가 등 습지 /크기: 높이 30~70cm
생약명: 全草(전초)는 (여지초), 根(근)은 (여지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이년생 초본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8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잔털이 많다. 겨울에 근생엽이 많이 뭉쳐나는데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엽은 마주난다. 5~7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Salvia plebeia)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겨울동안에는 경생엽보다 큰 근생엽이 총생하여 지면으로 퍼지지만 꽃이 필 때는 없어진다. 경생엽은 난상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1~2cm로서 양면에 잔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의 길이는 1~3cm이다.
4개의 분과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0.8mm정도로서 능각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다.
꽃은 5~7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고 길이 8-10cm로서 짧은 털이 다소 밀생한다. 꽃받침은 길이 2.5-3mm에서 4mm정도로 자라며 양순형이고 상·하로 깊게 갈라지며 선점과 잔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4-5mm로서 양순형이고 하순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2개이고 葯隔(약격)이 앞뒤로 비슷하게 수술대처럼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30-70cm로서 네모지며 곧게 서고 아래를 향한 잔털이 밀생한다.
▶아시아 동남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까지 분포한다.
▶약간 습기 있는 들판, 논둑이나 개울가 등 습지에서 자란다.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한 번의 염색으로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염료이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고 특히 철에 대한 반응이 좋고 빠르며 색도 짙다.
▶全草(전초)는 (여지초), 根(근)은 (여지초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여지초)
①3-5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한다.
②성분 : 전초는 flavonoid 즉 homoplantaginin, hispidulin, eupafolin, eupafolin-7-glucoside를 포함한다. 그 밖에 phenol성물질, 精油(정유), saponin,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 qnfvhghksterol, polyterpene類(류)를 함유한다. 종자는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고 다시 4-hydroxyphenyllactic acid, protocatechuic acid도 포함한다.
③약효 : 凉血(양혈), 利水(이수),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咳血(해혈-咳嗽時 出血(해수시 출혈)), 吐血(토혈), 血尿(혈뇨), 崩漏(붕루), 腹水(복수), 白濁(백탁), 咽喉腫痛(인후종통), 癰腫(옹종), 痔瘡(치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30g(신선한 것은 15-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또 짓찧어 낸 즙으로 양치질하던가 귀에 흘려 넣는다.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⑵(여지초근)
①4-6월에 채취한다.
②약효 : 凉血(양혈), 活血(활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崩漏(붕루), 타박상, 腰痛(요통), 腫毒(종독), 流火(유화-脛部(경부)에 생기는 丹毒(단독))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배암차즈기
학명: Salvia plebeia R. Br.
개화시기: 5월~7월
생육특성
배암차즈기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 습한 곳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주변의 습한 도랑이나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30~70㎝가량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잔털이 드물게 나 있으며, 잎의 길이는 3~6㎝, 폭이 1~2㎝가량이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길이는 4~5㎜이고 줄기 윗부분과 잎 사이에서 난다. 열매는 짙은 갈색으로 타원형이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번식은 9~10월에 결실되는 종자를 화분에 뿌린다. 2년생이어서 꽃이 진 후나 이른 봄에 주변을 호미를 이용하여 땅을 부드럽게 해주면서 위에 있는 종자를 땅속으로 넣기 위해 파주면 그 후 발아율이 높다. 이렇게 1~2년생의 경우 따로 종자를 받는 방법과 피어 있는 곳의 주변을 정리해 주면서 번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리법 : 화단에 심어 1~2일 간격으로 물을 흡족하게 준다. 집단적으로 살아가는 품종이어서 한 부분에 이 품종을 심어 놓고 관리하면 좋다.
출처: 배암차즈기 (야생화도감(여름), 2010.6.28, 푸른행복)
배암차즈기
학명: Salvia plebeia R. Br.
생물학적 분류
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강 : 목련강(Magnoliopsida)
목 : 꿀풀목(Lamiales)
과 : 꿀풀과(Lamiaceae)
속 : 배암차즈기속(Salvia)
개요
전국의 저지대 습한 곳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네모지고, 밑을 향한 잔털이 있으며, 높이 30-70cm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연한 보라색이다. 화관은 작은 입술 모양이다. 수술은 4개지만, 2개만 완전하다. 암술은 1개이며, 끝이 2갈래로 갈라지고,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넓은 타원형이다.1)
국내분포: 전국2) /해외분포: 중국, 일본,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3)
서식지/생육지: 습지, 개울가
형태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밑을 향한 잔털이 있으며, 높이 30-70cm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 길이 3-6cm, 폭 1-2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8cm쯤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연한 보라색이다. 화관은 길이 4-5mm, 작은 입술 모양이다. 수술은 4개지만, 2개만 완전하다. 암술은 1개이며, 끝이 2갈래로 갈라지고,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넓은 타원형이다.
생태
고도가 낮은 지역의 다소 습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자라는 다년초로 꽃은 5-7월에 핀다. 햇볕이 들지 않는 그늘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다.
이용 및 활용
전초를 약용한다.
해설
줄기 기부에 달리는 근생엽과 줄기를 따라 달리는 경생엽이 있는 분류군이다. 근생엽은 겨울동안 달려 있다가 봄, 여름을 지나면서 줄기가 자라고 경생엽이 발달한 후 꽃이 필 무렵 떨어진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다른 종류의 배암차즈기 분류군들은 경생엽만 있어 이 특징에 의해 배암차즈기를 구분할 수 있다. 또 우리나라의 배암차즈기속 식물들에 비해서 두해살이풀이며, 잎은 홑잎으로서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꽃은 봄에 피므로 구별된다. 이뇨제나 구충제로 사용되기도 한다(Duke and Ayensu 1985).8)
출처: 배암차즈기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사진출처
anyjack님의블로그 /http://blog.naver.com/anyjack/220048361222
별빛 (kbspass) 님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kbspass/100013447840
꿀풀과(Labiat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5 07:54
배암차즈기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7.22 16:57
배암차즈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6.24 08:3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배암차즈기 (0) | 2014.07.22 |
---|---|
둥근배암차즈기 (0) | 2014.07.22 |
배암차즈기속 (0) | 2014.07.22 |
박하의 효능 (0) | 2014.07.22 |
박하 (0) | 201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