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Hara
이명: 힌괭이눈, 흰털괭이눈, 큰괭이눈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범의귀과 >괭이눈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이남 /서식: 산지의 물가나 습지 /크기: 높이 3~9cm 정도
다년생 초본
전체에 흰 털이 많아 흰털괭이눈이다. 아랫부분에는 밤빛 털이 난 것도 있다. 원줄기는 아래에서 갈라져 올라온다. 괭이눈 가운데 꽃이 큰 편이다. 열매를 맺으면 불그레해진다. 잎의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털이 없다. 줄기의 윗부분엔 흰 털이, 밑 부분에는 갈색 털이 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다소 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고 엽신은 길이 1~2.3cm, 폭 0.8~2cm이다. 뿌리에서 옆으로는 뻗는 줄기가 없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지며 높이 3~9cm로서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길이 6mm정도이고 2개로 갈라지는 삭과이다.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0.5mm, 지름 0.3mm로서 양쪽에 10개의 돌기조선이 있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화서로 달려 총생하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곧게 서고 길이 2.5mm, 폭 2mm이며 황록색이다. 수술은 8개이고 그 중 4개는 꽃받침밑에 붙어 있으며 수술대는 꽃받침 길이의 1/2정도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둥글다. 암술대는 매우 짧으며 2개이고 끝이 바깥쪽으로 젖혀있다. 자방은 털이 없고 심피는 길이 6mm, 지름 2.5mm로서 벌어진다.
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 Hara
크기: 15cm
용도: 관상용
개화시기: 4월~6월
생육특성
흰괭이눈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 산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고 주변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15㎝ 정도이고, 잎은 길이 1~2.3㎝, 폭 0.8~2㎝이고 표면은 털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고 마주난다. 뿌리에서 옆으로 뻗는 줄기가 없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지며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빽빽하게 있다. 꽃은 황록색이고 길이는 약 0.3㎝, 폭이 약 0.2㎝이며 줄기 끝에 달린다. 열매는 7~8월경에 달리고 종자는 흑색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8월에 받은 종자를 바로 뿌리는 것이 가장 좋고, 가을이나 이듬해 봄에 포기나누기를 한다.
관리법 : 화단이나 화분에 심으면 좋다. 물 빠짐만 좋게 하고 반그늘에서 키운다. 물 관리는 2~3일 간격으로 준다.
출처 - 흰괭이눈 (야생화도감(봄), 2010.4.10, 푸른행복)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이상철(총무)님, 깜보/송동섭님, 相勳님, 천지/김태중님, 꽁지님,
범의귀과(Saxifrag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1 20:37
괭이눈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6.30 04:32
흰괭이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1.22 23:20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치밥나무 (0) | 2014.07.02 |
---|---|
까치밥나무속 (0) | 2014.07.02 |
애기괭이눈 (0) | 2014.07.01 |
선괭이눈 (0) | 2014.06.30 |
금괭이눈 (0) | 201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