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이명: 덩굴괭이눈, 애기괭이눈풀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범의귀과 >괭이눈속
원산지: 한국 /분포: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서식: 산골짝 습한 바위겉 /크기: 화경(花莖) 길이 5-15cm
다년생초본
범의귓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5센티미터이고 땅에 닿은 가지에서 뿌리가 내려 새싹이 돋는데 잎은 어긋나며 심장 모양이다. 4~5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피며 삭과(蒴果)를 맺는다. 우리나라 울릉도 및 북부 지방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흔히 없어지고 새싹에서 돋은 잎은 근생엽같지만 엽병이 길며 길이와 폭이 각 4cm로서 크고 밑부분이 뚜렷한 심장저이며 겉에 털이 있다. 경생엽은 심원형이고 둥근 톱니가 있으며 길이 3-10mm, 폭 4-12m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다.
삭과는 얕게 2개로 갈라지며 좌우로 퍼진다. 종자는 난형이고 길이 0.6mm정도로서 1개의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화경(花莖)은 길이 5-15cm로서 잎이 호생하며 뻗는 가지의 끝이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황록색이며 꽃받침잎은 편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2mm로서 퍼진다.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짧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줄기는 총생하고 긴 털이 다소 있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난다.
화경(花莖)은 길이 5-15cm
산골짝 습한 바위겉에서 자란다.
긴 털이 다소 남
애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크기: 15cm
용도: 관상용
개화시기: 4월~5월
생육특성
애기괭이눈은 우리나라 각처의 계곡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위틈에 이끼와 같이 공존하고 있다. 키는 약 15㎝가량 되며, 잎은 둥근 심장형으로 길이는 0.3~1㎝ 정도, 폭은 0.4~1.2㎝ 정도이다.
꽃은 연한 황록색이며 가운데 노란색 꽃이 핀다. 열매는 6월경에 속이 여러 칸으로 나누어진 씨방에 많은 종자가 달린다. 애기괭이눈은 다른 괭이눈과는 달리 길고 가늘게 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식은 6월경에 열리는 종자로 이루어진다.
종자로 번식하는 대부분의 식물에서는 변이체가 나타나기 쉬운데, 괭이눈 종류도 마찬가지여서 최근에 약용식물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보고가 되고 있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6월경에 익은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리거나 가을에 포기나누기를 한다. 종자는 한 송이에서 20~40개 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한 송이만 가지고 있어도 많은 양의 묘를 얻을 수 있다.
관리법 : 햇볕이 많이 들어오는 곳으로 돌에 이끼와 흙을 붙여 심으면 좋다. 이렇게 심은 후에는 상대습도를 높게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수반과 같은 곳에 물을 많이 넣어 수분이 증발되게 만들거나 스프레이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공중에 뿌려줘도 좋다.
출처 - 애기괭이눈 (야생화도감(봄), 2010.4.10, 푸른행복)
애기괭이눈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분포지역: 한국·일본·사할린·중국 동북부·몽골 등지
서식장소/자생지: 산의 습한 바위틈
크기: 높이 5∼15㎝
덩굴괭이눈 또는 만금요라고도 한다. 산지의 습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긴 털이 있으며 밑 부분에서 가는 기는줄기가 나와 옆으로 벋고, 기는줄기가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길이 3∼10㎜, 폭 4∼12㎜의 부채꼴이며 가장자리에 5∼7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노란빛이 도는 연한 녹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수평으로 벌어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1∼2mm이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꽃밥은 노란 색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고 2개로 얕게 갈라지며 노란 색이다. 종자는 길이 0.6mm의 달걀 모양이고 1개의 모가 난 줄이 있으며 전체에 작은 돌기가 있다. 봄에 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는다. 속명 Chrysosplenium의 어원은 그리스어 ‘Chrysos’(황금)와 ‘spleen’(비장)의 합성어로, 황금색 꽃이 피고 이 속에 속한 식물 중에 약으로 쓰이는 것이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한국·일본·사할린·중국 동북부·몽골 등지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울릉도와 중부·북부 지방의 산에서 자란다.
출처 - 애기괭이눈 (두산백과)
애기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r. Schm.)
장미목 범의귀과의 쌍떡잎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덩굴괭이눈, 만금요가 있다.
괭이눈보다 잎도 꽃도 작고 앙증맞아 보인다.
산지의 습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긴 털이 있으며 밑 부분에서 가는 기는줄기가 나와 옆으로 벋는다.
기는줄기가 땅에 닿는 곳에서 뿌리가 내리고 새싹이 돋는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길이 3∼10㎜, 폭 4∼12㎜의 부채꼴이며 가장자리에 5∼7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6월에 노란빛이 도는 연한 녹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수평으로 벌어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1∼2mm이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꽃밥은 노란 색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2개로 얕게 갈라지며 노란 색이다.
종자는 길이 0.6mm의 달걀 모양이고 1개의 모가 난 줄이 있으며 전체에 작은 돌기가 있다.
봄에 잎과 줄기를 나물로 먹는다. 신 맛이 있다.
속명 Chrysosplenium의 어원은 그리스어 'Chrysos'(황금)와 'spleen'(비장)의 합성어로, 황금색 꽃이 피고 이 속에 속한 식물 중에 약으로 쓰이는 것이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한국, 일본, 사할린, 중국 동북부, 몽골 등지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울릉도와 중부, 북부 지방의 산에서 자란다.
출처: 무지개세상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행운 님,창와(昌蛙) / 강창호 님, 김기훈님, 천지/김태중, 꽁지님,
범의귀과(Saxifrag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1 20:37
괭이눈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6.30 04:32
애기괭이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1.12 10:22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치밥나무속 (0) | 2014.07.02 |
---|---|
흰괭이눈 (0) | 2014.07.01 |
선괭이눈 (0) | 2014.06.30 |
금괭이눈 (0) | 2014.06.30 |
가지괭이눈 (0) | 201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