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가는기린초

호남인1 2014. 5. 10. 06:37

 

 

 

 

 

가는기린초

 

학명: Sedum aizoon L.

이명: 가는꿩의비름, 가는잎기린초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극동부에 . /높이: 20-50cm 가량.

생약명: ▶全草(전초)는 景天三七(경천삼칠), 根(근)은 景天三七根(경천삼칠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

돌나물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5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뭉쳐나고 잎은 어긋맞게 난다. 7~8월에 원줄기 끝에 노란 꽃이 피며, 어린줄기와 어린잎은 식용하는데 개화기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토혈, 혈변, 외상, 종기 치료에 사용한다. 산기슭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Sedum aizoon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가는기린초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9793&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며 도피침형이거나 간혹 좁고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없고 길이 3-6cm, 폭 7-15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육질이다. 

골돌은 5개가 별처럼 배열되었으며 난형(卵形)이고 10개 내외의 종자가 8-9월에 성숙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0-13mm이며 원줄기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짧거나 거의 없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선형이며 밑부분이 약간 퍼지고 길이 3-5mm이다. 꽃잎은 5개이며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6-10mm로서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수술은 10개로서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5개이다. 

 

1-2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 20-50cm정도 자라고 전체에 털이 없다. 

근경은 짧고 굵다. 

 

산비탈 돌밭, 모래자갈 땅,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이용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는데 신맛이 있기 때문에 데친 다음 물에 담갔다가 먹는다.

 

 

▶全草(전초)는 景天三七(경천삼칠), 根(근)은 景天三七根(경천삼칠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景天三七(경천삼칠)

①8-9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alkaloid, oleanol酸(산), sitosterol, sedoheptulose, 蔗糖(자당), 果糖(과당),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외에 flavonoid類(류)와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止血(지혈), 化瘀(화어)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혈변, 혈뇨, 崩漏(붕루), 타박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 60-9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景天三七根(경천삼칠근)

①연중 수시로 캐서 쓰지만 늦가을에서 다음해 봄에 채취한 것이 良品(양품)이다.

②성분 : 뿌리에는 alkaloid, tannin, 전분, arbut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止血(지혈),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外傷出血(외상출혈), 筋肉外傷(근육외상)에 의한 통증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달여서 복용한다. <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유사종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가는기린초보다 잎이 넓다. 

많은 변종이 있다. 

 

 

산기슭에서 자란다. 줄기는 뭉쳐나고 원기둥 모양이며 곧게 선다. 높이는 50cm 정도이다. 잎은 길이 3∼6cm이고 어긋나며 바소꼴이 거꾸로 줄 모양 또는 좁고 긴 타원형으로 잎자루가 없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앞뒤에 모두 이 없다.

 

꽃은 산방상 취산꽃차례로 7∼8월에 원줄기 끝에 노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넓은 줄 모양으로 밑부분이 약간 퍼지고 꽃잎은 바소꼴 또는 넓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고 암술은 5개이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달걀 모양이다.

 

어린 줄기와 잎을 나물로 먹는다. 기린초·속리기린초와 더불어 개화기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비채(費菜)라 하며, 토혈·혈변·심계항진증·외상·종기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주로 한국·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등지의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가는기린초 [─麒麟草] (두산백과)

 

 

돌나물과(Crassul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4 10:47

돌나물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5.08 04:49

가는기린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5.15 22:3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암나무속  (0) 2014.05.11
돌채송화  (0) 2014.05.11
바위채송화  (0) 2014.05.10
말똥비름  (0) 2014.05.09
땅채송화  (0) 201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