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목
Polypodiales
분류: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사리목
양치식물문(Pteridophyta)
고사리강(Filices)
고사리목(Filicales)
양치식물강에 속하며 가장 중요한 큰 그룹의 하나이다. 아포체는 초본성이며 간혹 덩굴이나 목본성도 있다. 포자낭은 한 개의 원시세포에서 발달하며 대부분 환대가 발달하고 있다. 잎은 끝에 생장점이 있어 와권상으로 발달하며 탁엽은 없다.
고사리목의 분류는 주로 포자낭의 환대의 위치, 포자낭군의 형성, 포막의 유무나 형태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화석의 경우는 실엽이 발견되지 않거나 불완전하기도 하여 분류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부득이 많은 형태속이 설치되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화석으로는 풀고사리과(Gleicheniaceae)와 실고사리과(Schizaeaceae)는 석탄기부터, 마토니아과(Matoniaceae), 딕소니아과(Dicksoniaceae), 디프테리드과(Dipteridaceae) 등은 트라이아스기부터, 고란초과(Polypodiaceae), 생이가래과(Salviniaceae)는 쥐라기 이후에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비과(Osmundaceae)는 대부분이 실엽(fertile leaf)과 나엽(sterile leaf)이 서로 다르다. 실엽은 가늘게 갈라지고 전면에 포자낭이 생기며, 환대는 포자낭의 정부에 있고 세포막이 두꺼워 다른 종류의 환대와는 현저하게 다르다.
우리나라의 고생대와 중생대 지층에서 고사리목에 속하는 화석이 많이 산출되고 있다.
출처 - 지구과학사전, (사)한국지구과학회, 2009.8.30, 북스힐
Polypodium californicum
고사리목(Polypodiales)은 양치식물의 주요 계통으로, 현존하는 양치식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열대, 준열대, 온대 지역을 포함하여 전세계의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이 분류군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포자낭은 줄기와 열개부(Stomium)에 의해 끊기는 수직으로 된 환대를 가지며, 포막(indusium)이 측면 또는 중앙에 달려있다.(또는 사라짐)
최신의 유전학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고사리목은 진화론적으로 가장 발달한 중원형식물(양치식물) 목 중의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약 1억년 전에 처음 나타나 다양하게 번성해왔으며, 뒤따라서 속씨식물의 분화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위 과
고사리목은 다음과 같은 과를 포함하고 있다.
• Saccolomataceae Doweld &Reveal 2008
• Lonchitidaceae C.Presl ex M.R.Schomb. 1848
• Cystodiaceae J.R.Croft 1986
• 비고사리과 (Lindsaeaceae) C.Presl ex M.R.Schomb. 1848
• 봉의꼬리과 (Pteridaceae) E.D.M.Kirchn. 1831
• 북바위고사리아과 (Cryptogrammoideae) S.Linds. 2009 (=) Cryptogrammaceae Pic. Serm. 1963
• 물고사리아과 (Ceratopteridoideae) (J.Sm.) R.M.Tryon 1986 (=) Ceratopteridaceae Underw. 1900
• 봉의꼬리아과 (Pteridoideae) C.Chr. ex Crabbe, Jermy &Mickel 1975
• 개부싯깃고사리아과 (Cheilanthoideae) W.C.Shieh 1973 (=) Cheilanthaceae B.K.Nayar 1970
• 일엽아재비아과 (Vittarioideae) (C.Presl) Crabbe, Jermy &Mickel 1975 (=) Adiantoideae (C.Presl) R.M.Tryon 1986
• 잔고사리과 (Dennstaedtiaceae) Lotsy 1909
진정고사리군 II (Eupolypods II)
• Cystopteridaceae Schmakov 2001
• Rhachidosoraceae X.C.Zhang 2011
• Diplaziopsidaceae X.C.Zhang &Christenh. 2011
• 꼬리고사리과 (Aspleniaceae) Newman 1840
• Hemidictyaceae Christenh. 2011[3][5]
• 처녀고사리과 (Thelypteridaceae) Pic.Serm. 1970
• 우드풀과 (Woodsiaceae) Herter 1949
• 야산고비과 (Onocleaceae) Pic.Serm. 1970
• 새깃아재비과 (Blechnaceae) Newman 1844
• 개고사리과 (Athyriaceae) Alston 1956
진정고사리군 I (Eupolypods I)
• 금털고사리과 (Hypodematiaceae) Ching 1975
• 면마과 또는 관중과 (Dryopteridaceae) Herter 1949
• 면마아과 또는 관중아과 (Dryopteridoideae) B.K.Nayar 1970
• Elaphoglossoideae (Pic.Serm.) Crabbe, Jermy &Mickel 1975 (=) Elaphoglossaceae Pic.Serm.
• 덩굴고사리과 (Lomariopsidaceae) Alston 1956
• 네프롤레피스과 (Nephrolepidaceae) Pic.Serm. 1975
• Tectariaceae Panigrahi 1986
• Oleandraceae Ching ex Pic.Serm. 1965 (=) Olandraceae
• 넉줄고사리과 (Davalliaceae) M.R.Schomb. 1848
• 고란초과 (Polypodiaceae) J.Presl &C.Presl 1822
• Loxogrammoideae H.Schneid. 2011
• Drynarioideae Crabbe, Jermy &Mickel 1975
• Platycerioideae B.K.Nayar 1970
• Microsoroideae B.K.Nayar 1970
• Polypodioideae B.K.Nayar 1970
계통발생학적 관계
아래는 고사리목에 속하는 식물 과들 사이의 계통발생학적 관계를 2011년 레토넨(Lehtonen)[3]과 2012년 로트펠스(Rothfels)[6]와 그의 공저자들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여주는 분기도이다.
고사리목 |
|
| ||||||||||||||||||||||||||||||||||||||||||||||||||||||||||||||||||||||||||||||||||||||||||||||||||||||||||||||||||||||||||||||||||||||||||||||||||||||||||||||||||||||||||||||||||||||||||||||||||||||||||||||||||||||||||||||||||||||
|
|
폐기된 과
아래는 고사리목에서 폐기된 과의 목록이다.
• 드리나리아과 (Drynari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그람미티스과 (Grammit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김노그람미티스과 (Gymnogrammit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주걱일엽과 (Loxogramm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네프롤레피스과 (Nephrolepidaceae) - 현재는 덩굴고사리과로 분류하기도 함.
• Platyceri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Pleursoriopsid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 Vittariaceae - 현재 고란초과로 분류
출처 - 한국어워키백과
-------------------------------------------
넉줄고사리 (Davallia mariesii T.Moore ex Baker)
------------------------------------------------
고사리강(Filice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8 11:00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리강(Filices) (0) | 2013.02.28 |
---|---|
넉줄고사리과(Davalliaceae) (0) | 2013.02.28 |
산꽃고사리삼 (0) | 2013.02.27 |
산고사리삼 (0) | 2013.02.27 |
단풍고사리삼 (0) | 201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