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산마늘

호남인1 2013. 2. 25. 17:36

 

 

 

 

 

산마늘

학명: Allium microdictyon Prokh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부추속

원산지: 한국,일본,만주,아무르,우수리,사할린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한국

                                                     

다년생초본

잎은 그물 같은 섬유로 싸여 있는 비늘줄기에 두세 개씩 달리고, 5~6월에 백색 또는 담자색 꽃이 줄기 끝에 산형(繖形)으로 핀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비늘줄기와 줄기는 먹는다. 우리나라,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산마늘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41348

 

 

잎은 넓고 크며 2~3개씩 달린다. 길이는 20~30cm, 너비는 3~10cm이다.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약간 흰빛을 띤 녹색이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 밑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서로 둘러싸고 윗부분에 흑자색 점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거꾸로 된 심장모양이고 8~9월에 익는다. 3개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끝이 오그라들며 종자는 검다.

꽃은 5~7월에 피며 높이 40~7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달걀모양으로 2개로 갈라지고 소화경은 길이 1.5~3cm이다. 화피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5~6mm이며 6장이다. 수술 및 암술대는 화피보다 길며 꽃밥은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비늘줄기는 피침형이고 길이 4~7cm이며 그물같은 섬유로 덮여 있으며 갈색이 돈다.

---------------------------------------------------------------------------

 

산마늘은 다른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들처럼 둥근 모양으로 부푼 땅속줄기를 가지고 있다. 양파처럼 땅속에서 부푼 줄기를 비늘줄기 또는 인경이라고 한다. 비늘줄기는 줄기가 비늘처럼 변해 여러 개의 작은 비늘잎이 서로를 감싸듯이 싸안아 전체적으로 공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양파나 백합 등에서 이와 같은 비늘줄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산마늘은 보통 이른봄에 2∼3개의 잎이 비늘줄기에서부터 자라난다. 비늘줄기에서 자라는 잎들의 아래쪽은 서로 마주 난 잎 끝부분을 싸고 있는데 이와 같이 잎자루가 변해서 서로의 잎 끝부분을 감싸고 있는 것을 잎집 또는 엽초라고 한다. 잎과 뿌리 등의 식물체 전체에서 마늘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지만 실제 마늘보다는 그 향미가 덜하다.

 

설악산, 오대산, 지리산 등 높은 산에서 자생하며 특히 울릉도에 큰 자생지가 있다. 울릉도 사람들은 산마늘로 떡을 해먹기도 한다. 이른봄 산골 마을 장터에서 할머니들이 산마늘을 캐어 내다 파는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다.

 

꽃이 피기 전에 식용하며, 꽃이 피면 맛이 쓰고 독성이 있기 때문에 5월 이후에 파는 산마늘은 사지 않는 것이 좋다. 비늘줄기는 붉은색 껍질로 싸여 있는데, 주로 이 부분을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잎과 줄기로는 김치나 장아찌를 해 먹으며, 최근에는 쌈채소로도 인기가 높다.

출처 - 네이버테마백과사전

 

 

산마늘은 서늘한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산나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파종하여 수확하기까지 3~4년이 걸리는 작물이다. 씨앗은 가을 또는 봄에 파종한다. 포기나누기는 휴면기에 들어가는 9~10월이 적당하다. 잎이 좁은 강원도 산마늘과 잎이 넓은 울릉도 산마늘이 있다.

 

재배시기

 

밭 준비

산마늘의 고향은 고산지대의 그늘이 지는 장소이므로 이와 유사한 곳을 골라야 한다. 봄에는 양지바르고 여름에는 그늘이 드리우는 시원한 장소를 고른다.

 

모종 구하기

판매하는 산마늘 모종은 두 종류로 나뉜다. 씨앗을 파종하여 3년 정도 기른 모종과 4년 이상된 알뿌리를 포기나누기하여 생기는 모종이다. 산마늘 씨앗은 아직까지 시중에서 판매되지 않고 있다. 전문 농장에서 씨앗을 판매하기는 하지만 양이 많고 가격도 상당히 비싼 편이다.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씨앗이나 모종 구하기가 만만치 않다.

 

산마늘

 

3년생 산마늘 모종

 

4년 이상된 산마늘 모종

 

산마늘 심기

주문한 산마늘 모종이 도착하면 포장을 조심스럽게 풀고 내용물을 확인한다. 수분유지를 위해 조심스럽게 포장되어 있다. 배달된 직후 바로 심을 형편이 되지 않으면 스프레이 등으로 물을 조금 더 뿌려준 후 포장을 닫아 마르지 않도록 갈무리한다.

 

모종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씨앗을 파종하여 모종으로 만든 경우와 여러 개의 알뿌리가 엉겨 있는 4~5년된 모종으로 나눌 수 있다. 알뿌리가 뭉치로 된 모종은 4~7개씩 나누어 심는 것이 좋다. 포기 간격은 25㎝ 정도를 유지하고 심는 깊이는 모종으로 자랄 때 심겨진 정도로 한다. 알뿌리는 꼭지가 2~3㎝ 묻히게 심는다.

 

자라는 모습

산마늘은 보통 밭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편이다. 산지나 고랭지농업이 이루어지는 곳이 적당하다. 보통의 텃밭에서는 7월이 되면 잎이 마르면서 자취를 감춘다. 그러나 2월 말이 되면 다시 싹이 돋아나 자라기 시작한다.심어둔 산마늘은 해를 거듭함에 따라 뿌리가 늘어나 잎이 점점 늘어난다. 잘 자라는 포기는 꽃대를 세우고 꽃을 피운다. 이 꽃을 잘 관리하여 씨앗을 받아 심어도 된다.

 

산마늘 순, 2월 말

 

산마늘, 3월 말

 

산마늘 꽃대

 

산마늘꽃

 

수확

산마늘은 모종을 심고 뿌리가 충분히 자라야 수확할 수 있다. 보통 3년 정도 자라야 잎이 두장 이상 자란다. 잎이 2~3장 생기면 1장만 수확하고 나머지는 붙여 두는 게 요령이다. 그래야 나머지 잎이 성장해 이듬해 다시 잎을 키울 수 있다.[ 참고사항 ]산마늘을 심은 2~3년은 수확을 하지 말고 알뿌리의 충실을 기한 후 알뿌리가 여러 개로 늘어나고 잎이 무성하게 자라면 그때 수확하는 것이 좋다.

 

웃거름주기 및 풀 관리

산마늘은 모종을 심고 같은 장소에서 오랜 기간 재배해야 한다. 이 경우 같이 자라는 풀이 가장 문제다. 특히, 산마늘의 잎은 여름이 지나면 마르므로 주변의 풀이 자라는 것을 막아주지 못한다. 그래서 가을에 돋아나서 겨우내 자라는 별꽃, 망초 등의 풀이 우거져 힘들게 하므로 산마늘의 잎이 말라 있어도 수시로 풀을 정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웃거름은 이른 봄 새싹이 돋아나는 시기와 여름 장마가 끝난 후에 산마늘 포기 주변의 흙을 조금 긁어내고 퇴비를 넣고 덮어 둔다.

 

재배 주의사항

주변에 자라는 풀을 수시로 정리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늘이 잘 드리워지지 않으면 차광망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수확할 때 잎을 모두 뜯어내지 말고 몇 장을 붙여 두어야 한다. 잎이 두 장이면 1장만 뜯어내는 수확을 하고 3장 이상이면 2장 정도를 남겨두고 수확해야 나머지 잎으로 알뿌리에 영양을 담아둔다. 모종을 심고 3~4년이 지나면 산마늘의 알뿌리가 우거져 포기를 나누어 다시 심어야 한다.

 

출처 -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박원만, 2012.3.2, 도서출판 들녘

 

 

분포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 한국(강원도 삼척시, 속초시, 양구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경상남도 산청군) 

 

이용방안

온중, 건위, 해독, 산속에서 습기가 체내에 들어가서 일어나는 감기증상을 치료한다. 비늘줄기 20g에 물 600ml를 넣고 달인 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저녁으로 복용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보호방안

강원도 높은 산지에 자라나, 산나물로 남획되어 개체수가 매우 적다. 울릉도 산마늘과는 분류학적으로 구별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남방한계지역으로서 중요성이 있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멸종위기종]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가단위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곰취와숲나들이 /http://cafe.daum.net/chuistory1217

 

 

백합과 (Lili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1 14:35

부추 (Allium)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2 10:14

산마늘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6.26 13:41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채(알리움 후커리)  (0) 2013.02.25
울릉산마늘  (0) 2013.02.25
마늘  (0) 2013.02.25
산파   (0) 2013.02.25
양파   (0) 201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