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부추

호남인1 2013. 2. 22. 10:15

 

 

 

 

 

부추

학명: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이명: 정구지, 솔, /영명: Chinese Chive, Garlic Chive, Oriental Garlic. /꽃말: 무한한 슬픔.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부추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크기: 화경(花莖)높이 30-40cm. /생육환경: 산과 들. 밭에 재배. 

생약명: 잎을 구채, 종자는 구자, 뿌리 및 鱗莖(인경)은 구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섬유로 싸여 있는 비늘줄기에서 가늘고 긴 잎이 모여서 나는데 20~3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고 선명한 초록색을 띠며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은 식용되며, 검은색 씨는 ‘구자(韭子)’라고 하여 비뇨기성(泌尿器性) 질환과 건위(健胃)의 약재로도 사용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부추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3042

 

 

잎은 서며 선형이고 육질이며 길이 30cm내외로 녹색을 띤다.

과실은 삭과로서 도심장형이며 3갈래로 벌어져 6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구자라고 한다.

7-8월에 잎사이에서 길이 30-40㎝의 편평한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큰 산형화서가 피는데, 곧게 선 가늘고 작은 화경에 촘촘히 모여 반구상을 이룬다. 총포는 막질이며 꽃은 백색이고 지름 6-7mm로서 화병이 길며 화피가 수평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6개이다. 수술도 6개이지만 화피보다 약간 짧고 꽃밥은 황색이다.

인경(鱗梗)은 밑부분에 근경이 달리고 좁은 난형이며 바깥 비늘은 검은 황색의 섬유로 둘러싸여 있다.

-------------------------------------------------------------------------------------------

 

작은 비늘줄기는 섬유로 싸여 있으며 밑에 뿌리줄기가 붙는다.

잎은 곧추서며 가늘고 길지만 조금 두툼하고 연하다. 길이는 20~30㎝ 정도로 자라고 선명한 초록색을 띠며 독특한 냄새를 지닌다.

 

8~9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길이 30㎝ 정도의 꽃줄기 끝에 흰색의 꽃이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모두 6장으로 구분이 잘 안 된다.

 

열매는 검은색의 씨를 가지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향약구급방〉에 부추가 기록된 점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널리 심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식용하기 위해 널리 심었는데, 부추전·부추김치·부추잡채·부추짠지를 만들어 먹거나 오이소박이의 속으로 넣어 먹었으며, 살짝 데쳐 먹기도 했다.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매운 맛이 도는 씨는 구자(韮子)라 하여 한방에서 비뇨기성 질환과 건위(健胃)에 쓰며, 또 기양초(起陽草)라 하여 강장제·강정제로도 사용한다. 申鉉哲 글

 

 

부추(Allium tuberosum)는 수선화과부추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정구지(경상도,충청도 사투리), (충청남도 사투리) 혹은 (전라도 사투리)라는 사투리로도 불린다. 잎은 길고, 꽃은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삭과이다. 김치로 만들거나, 부침개로 지져 먹는다. 수선화와 함께 영연방을 구성하는 웨일스의 국화이기도 하다.

 

형태 및 특징

부추는 잎을 식용으로 하는 다년생식물로써 종자번식과 뿌리번식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땅 속에 짧은 뿌리줄기가 있고 많은 비늘줄기를 만들어서 포기 모양이 된다.

 

잎은 각 비늘줄기에 여러 장이 붙어 있고 길이 15-20cm, 폭 3-10㎜이다. 잎은 편평하고 등쪽에 모서리가 있으며 잎끝은 둥글다. 짙은 녹색이고 부드러우며, 특유의 냄새가 난다. 잎집은 3-6cm이며, 여름에 40-70cm의 줄기를 내고 줄기 끝에 흰꽃이 20-40개 핀다.

 

꽃은 작고 6장의 꽃덮이조각으로 되어 있다. 가을에 열매를 맺으며 종자는 검고 깨알만 하다. 포기나누기나 종자를 심어 재배하는데 추위·더위에 강하고, 어느 정도 자라면 포기나누기로 증식한다. 서리를 맞으면 지상부분은 시들어버리지만 지하부분은 월동(휴면상태)한다.

 

잎은 낫으로 베어 수확한다. 재생력이 강하기 때문에 1년에 5회 이상도 수확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비닐하우스 시설재배를 통하여 겨울에도 재배하여 수확하고, 또 이른봄에 출하하기 위해 촉성재배도 한다. 이 밖에 포기에 흙을 덮거나 프레임 속에서 차광하여 연화재배도 하고 있다.

 

이용 방법 및 효능

잎을 삶아서 나물을 무치거나 국건더기로 사용하고, 부추김치·오이소박이에도 이용한다. 또 잡채나 만두속에도 이용하는 등 용도가 다양하다. 부추의 자극적인 냄새는 주성분인 황함유화합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육류의 냄새를 제거하는 데 알맞다.

 

잎 100g 속에는 단백질 2g, 당류 2.8g, 칼슘 500mg, 칼륨 450mg이 들어 있다.

부추는 비타민의 보고라고 할만큼 비타민 A, C, B1, B2 등이 많이 들어 있다. 또한 베타카로틴, 클로로필, 비타민 C, 황함유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류 등이 다양하게 함유되어있어 강력한 항산화효과와 유해산소제거 작용을 하며, 간기능개선에도 효능이 인정되고 있다.

 

불교에서 오신채(부추, 달래, 파, 마늘, 생강) 라고 하여 금기시 하는 식품중 하나로써 수양에 방해가 될 만큼 강장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부추의 씨앗은 한방에서 구자(구채자)라 하여 비뇨기계통의 질환에 이용한다.

 

 

재배

 

노지재배

재배시기는 지역에 따라 4월에서부터 11월 노지재배가 가능하다.

부추 모종을 포트에 키워 이식하는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은 방법이지만, 비용의 절감을 위해 직파하는 경우도 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린벨트 품종을 가장선호한다.

 

4월에 파종할 경우 9월~10월에 수확이 가능하지만 첫해에는 수확량이 저조하기 때문에 첫해는 수확을 하지 않고 겨울동안 휴면을 시킨다.

휴면을 거친 부추를 다음해 3월~4월에 묵초를 제거하고 웃거름을 뿌려주고 난 후에 관수를 한다. 25일~30일 정도가 지나면 고품질의 초벌부추의 수확할 수 있다. 이후 적정량의 관수만을 통해 두벌, 세벌, 네벌까지도 수확이 가능하다.

많은 수확량을 원하지 않는다면 한번 파종으로 아주 오랜기간 수확이 가능하다.

 

시설하우스재배

재배시기는 11월에서부터 4월까지 추운 겨울에 재배하는 방법이다.

재래종의 경우 겨울에 정상적인 휴면을 거쳐야만이 수확이 가능하였지만 신품종(조생종)의 개발로 휴면을 정상적으로 거치지 않아도 수확이 가능하다.

4월에 파종하고 10월~11월 잠깐의 휴면을 거치고 난후에 묵초를 제거하고 웃거름을 뿌려주고, 하우스시설에 비닐을 2~3중으로 피복한다. 피복한 후에 인위적인 관수를 한다. 25일~30일정도가 지나면 고품질의 초벌부추의 수확할 수 있다. 이후 적정량의 관수만을 통해 두벌, 세벌, 네벌까지도 수확이 가능하다.

많은 수확량을 원하지 않는다면 한번 파종으로 아주 오랜기간 수확이 가능하다. 출처: 한국어워키백과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연한 잎을 식용한다.

잎을 구채, 종자는 구자, 뿌리 및 鱗莖(인경)은 구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구채

①성분 : Dimethyl-disulfide, diallyl-sulfide, methyl-allyl disulfide, dimethyl-trisulfide, diallyl-disulfide, methyl-allyl-trisulfide, dimethyl-tetrasulfide 및 linalool을 함유하고 또 배당체 및 苦味質(고미질)도 함유한다.

②약효 : 溫中(온중), 下氣(하기), 行氣(행기), 散血(산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胸痺(흉비), 反胃(반위),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혈뇨, 이질, 消渴(소갈-당뇨병), 痔漏(치루-痔瘻(치루)), 脫肛(탈항), 타박, 독충의 刺傷(자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또는 잘 볶아서 채식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즙으로 적셔준다. 또는 뜨겁게 볶아서 찜질을 하거나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구자

①채취 : 가을,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비벼서 종자를 빼내 체로 쳐서 과피와 불순물을 제거한다.

②성분 : 부추에는 alkaloid와 sapon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肝(간), 腎(신)을 補(보)하고 腰膝(요슬)을 暖(난)하게 한다. 腸(장)을 튼튼하게 하고 固精(고정)의 효능이 있다. 遺精(유정), 小便頻數(소변빈수), 遺尿(유뇨), 腰膝酸軟冷痛(요슬산연냉통), 下痢(하리), 帶下(대하), 淋濁(임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쓴다.

 

⑶구근

①성분 : 부추의 根(근)에는 硫化物(유화물) glycoside와 苦味質(고미질)을 함유하고 있다.

②약효 : 溫中(온중), 行氣(행기),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胸痺(흉비), 食積腹腸(식적복장), 赤白帶下(적백대하), 토혈, 鼻出血(비출혈), 癬瘡(선창), 타박상을 치료하고 모발을 나게 한다. 뿌리를 짓찧어 즙을 다량으로 복용하면 胸痺骨痛(흉비골통)이 甚(심)하여 손을 대지 못하는 것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신선한 것을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가루 내어 고루 바른다. 

 

유사종

▶마늘(A. sativum for. pekinense)

▶산마늘(A. victorials var. platyphyllum) 

 

특징

전초에서 특이한 냄새가 난다.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테라우스원 /http://blog.daum.net/teriouswoon/15960222

 

 

백합과 (Lili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1 14:35

부추 (Allium)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2 10:14

부추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5.17 22:50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부추  (0) 2013.02.22
강부추  (0) 2013.02.22
부추속  (0) 2013.02.22
큰수리취  (0) 2013.02.21
국화수리취   (0) 2013.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