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호남인1 2012. 12. 21. 15:58

 

 

 

 

 

학명: Glycine max (L.) Merr. 

 

이명: 대두, /영명: Soybean, Soja Bean, Soya Bean. /꽃말: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돌콩속 /원산지: 중국 원산 

분포: 중국, 만주, 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크기: 높이 60cm  /생육환경: 밭에서 재배한다.

생약명: 흑색의 종자는 黑大豆(흑대두), 흑두의 화(花)는 黑大豆花(흑대두화), 흑두의 種皮(종피)는 黑大豆皮(흑대두피), 흑두의 엽(葉)은 黑大豆葉(흑대두엽), 대두의 황색종자는 黃大豆(황대두), 흑두의 종자가 발아한 후 말린 것은 大豆黃卷(대두황권)이라 하며 약용한다.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센티미터쯤이고 곧게 서며 3개의 작은 잎으로 되었고 어긋나며 짧은 털로 덮인다. 여름에 일곱 개에서 서른 개의 흰색 또는 보라색의 작은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협과(莢果)는 납작한 선상 타원형이며 거친 털이 많이 나 있고 한 개에서 네 개 정도의 씨가 들어 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 만주,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지에서 재배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콩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1230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소탁엽은 선형이다.

협과는 짧은 대가 있고 편평한 선상 타원형이며 거친 털이 나 있고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를 대두(大豆)라 하며 황백색, 흑색, 연한 갈색, 녹색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주요 작물의 하나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자줏빛이 도는 홍색 또는 백색이고 접형이며 엽액에서 자라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鍾形)이며 5조각으로 갈라지고 열편 중에서 밑의 것이 가장 길며 기판은 넓고 끝이 파지며 익판은 기판보다 짧고 용골판이 가장 짧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갈색 털이 있다.

-----------------------------------------------

 

 

콩 [bean]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식물의 씨 또는 꼬투리.

원래는 구대륙에서 자라는 잠두(Vicia faba)의 씨를 말한다. 콩의 성숙한 씨를 식품으로 쓰는데, 식용으로서의 질은 매우 다르지만 성분은 비교적 비슷하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적당한 양의 철분과 비타민 B1·B2가 들어 있기 때문에 날것이나 말린 것을 세계적으로 식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변종들은 키가 30~75㎝ 정도로 곧추서 덤불을 이루거나 길이 1.2~2.1m의 덩굴로 자라지만 몇몇 중요한 종류들은 그 중간 형태를 보인다. 키가 작은 종류와 반덩굴인 종류가 널리 재배되고 있다. 덩굴성인 종류는 덜 성숙한 꼬투리를 얻기 위해 재배할 경우 수확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버팀대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변종들은 크기·모양·색 및 덜 성숙한 꼬투리의 섬유질 상태 또는 부드러운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성숙한 마른 씨를 얻기 위해 심는 변종의 꼬투리는 섬유질이 매우 많아 먹을 수 없다. 식용 꼬투리를 맺는 많은 종류는 비교적 적은 양의 성숙한 씨 또는 먹기 어려운 씨가 열린다.

 

씨의 색깔은 흰색부터 녹색·노란색·황갈색·분홍색·붉은색·갈색·자주색·검은색까지 다양한데 1가지 색만 띠거나 여러 색이 섞여 나타나기도 한다. 씨의 모양은 거의 구형부터 편평한 모양, 길쭉한 모양, 신장 모양까지 다양하다. 꼬투리는 녹색·노란색·붉은색·자주색·또는 얼룩무늬가 있는 자주색까지 여러 색을 띠고, 모양도 납작한 것부터 둥근 것, 밋밋한 것에서 울퉁불퉁한 것, 반듯한 것에서 심하게 굽은 것까지 다양하며, 길이는 75~200㎜ 또는 그 이상에 이른다.

 

 

중남미 원산인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ris)은 대두 다음으로 중요하다. 덩굴강낭콩은 여러 나라에서 'French bean', 'haricot bean', 'kidney bean' 등으로 불리는데, 미국에서는 특히 신장 모양에 붉은색·암적색·흰색인 독특한 형태의 것을 'kidney bean'이라고 한다. 덩굴강낭콩의 어떤 변종들은 마른 씨만을 얻기 위해 심고 있으며, 덜 성숙한 식용 꼬투리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고 성숙의 정도에 관계없이 씨만을 얻기 위해 심는 것도 있다.

 

성숙한 상태의 덩굴강낭콩은 브라질·중국·미국이 세계 생산량의 1/3 이상을 수확한다. 라틴아메리카와 크리올식 요리에서는 이 콩을 두드러지게 많이 쓰고 있다. 잠두는 3번째로 중요한 것으로 미국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유럽에서는 중요하게 쓰인다. 무더위에 잘 견디지 못해 여름에는 온대지역의 서늘한 곳에서, 겨울에는 이보다 더 따뜻한 곳에서만 자란다. 다른 콩과는 다르게 약간의 한파에도 견딜 수 있다.

 

식물체는 곧추서 키가 60~150㎝로 자라며 가지가 거의 없는데, 줄기와 가지에는 잎자루가 짧은 잎이 뭉쳐난다. 꼬투리는 잎겨드랑이에 거의 곧추서서 무리지어 달리며, 씨는 크고 울퉁불퉁하면서 납작하다. 식용 꼬투리를 맺는 많은 콩은 적당한 시기에 파종하면 여러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다. 이들의 변종들은 여러 나라, 특히 유럽에서 흔히 심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덩굴강낭콩을 가장 많이 심는다.

 

중앙 아메리카 원산인 종류 중 리마콩(P. limensis)은 아메리카 대륙 이외의 몇 나라에서만 상업적으로 중요하다. 식품으로 쓰기 위해서만 재배하는데, 미국에서는 성숙한 마른 리마콩이 전체 마른 콩 생산량의 약 2.5%를 차지한다.

 

덤불을 이루거나 덩굴성인 종류들은 꼬투리의 크기와 모양, 씨의 크기·모양·굵기·색 등이 매우 다양하다. 꼬투리는 넓고 납작하며 약간 굽었다. 리마콩은 씨껍질의 가는 능선이 독특해 쉽게 구별할 수 있는데, '눈'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열대지역에서는 다년생으로 자라지만 그밖의 지역에서는 보통 1년생으로 자라고 있는데, 아메리카 대륙에서 심고 있는 대부분의 변종보다 생장기간이 길고 더 따뜻한 기후에서 자란다.

 

파세올루스 코키뉴스(P. coccineus)는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역이 원산지로 야생인 경우에는 다년생으로 자라지만, 온대지역에서는 심홍색의 꽃이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크고 거칠은 꼬투리와 크고 화려한 씨를 맺는 1년생 덩굴식물로 왕성하게 자란다. 영국과 유럽에서는 눈길을 끄는 꽃과 다육질의 성숙하지 않은 꼬투리를 얻기 위해 기르고 있다.

 

녹두류의 하나인 파세올루스 아우류스(P. aureus)는 인도가 원산지로 꼬투리와 씨가 위에서 언급한 어떤 종류보다도 작다. 꼬투리는 길이가 75~100㎜ 정도로 가늘며, 지름 3㎜ 정도의 구형에서 긴 타원형까지 다양한 모양의 씨가 10~14개 들어 있다. 동양에서는 숙주나물 같은 식품으로 쓰기 위해 널리 기르고 있으며,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숙주나물 재료로 쓰는 것을 제외하고는 용도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숙주나물은 비타민 C가 풍부하다.

 

돌리코스 비플로루스(Dolichos biflorus)는 인도가 원산지이며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큰 덩굴식물과 유연관계가 있는데, 미성숙한 씨를 아시아에서 흔히 식품으로 쓰고 있다. 마른 씨는 크고 어두운 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둥근 것에서 약간 납작한 것, 길쭉한 것까지 있다.

 

한국에서 자라거나 심고 있는 것으로는 덩굴강낭콩을 비롯하여 팥(P. angularis)·새팥(P. nipponensis)·덩굴팥(P. calcaratus)·강낭콩(P. vulgaris var. humilis)·붉은강낭콩(P. multiflorus)·편두(D. lablab) 등이 있다. 이중 새팥만이 원래 한국에서 자라던 것이고 나머지는 모두 인도나 중국 등에서 들어온 종(種)들이다. 출처: 브리태니커

 

 

은 음식이나 사료로 쓰이는 콩과(학명: Fabaceae, 구 명칭은 Leguminosae) 식물의 씨로, 한해살이식물이다. 미국에서는 "legumes", 영국에서는 "pulse"로도 알려져 있다. 대두 한 종만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현재 주로 재배되는 것들은 다른 변종끼리 교배시켜 개량한 종류인데, 이러한 교배로 밝은 색깔을 띠는 씨, 병에 대한 저항력이 크고 수확량 많은 콩을 만들어낸다.

 

역사

콩은 오래전부터 인간이 재배했던 작물이다. 이 식물의 원산지는 만주와 한반도이고, 약 5000년 전에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재배가 시작된 시기는 삼국시대 초기이다. 유럽에는 18세기에 최초로 도입되었지만 널리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이르러서였다.

 

특징

콩은 갈색이나 회색을 띠는 짧은 잔털로 덮여 있다. 꼬투리의 색깔은 밝은 노란색에서부터 회색, 갈색, 검은색에 이르는 어두운 색까지 다양하다. 씨는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품종에 따라 노란색·녹색·갈색·검은색을 띠거나 반점이 있다. 가공용으로 재배되는 콩 품종은 보통 씨가 노란색이나 옅은 노란색을 띤다. 지름이 약 5-7㎜인 이 씨들은 콩가루와 콩기름으로 가공된다. 채소로 이용되는 콩 품종은 대개가 녹색이다.

 

콩에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있어서 공중 질소를 고정 이용하므로 메마른 땅에도 적응하며, 땅의 힘을 유지하는 데도 알맞다. 또한 맥류와 2모작을 하거나 옥수수·수수 등과 섞어서 가꾸는 데도 알맞다.

 

품종

콩에는 여러 품종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서 성숙자실용·청예사료용·녹비용 등으로 구분한다. 자실의 형태·빛깔에서 보면 대부분 황색이고 둥근데, 푸른종이라고 부르는 녹색품종이나 검정콩, 자실이 매우 작은 쥐눈이콩, 그 밖에 갈색·얼룩이·아주까리콩 등 매우 다양하다. 식물체의 생태면에서 보면 꽃눈 형성에 대한 일장(日長)이나 기온관계에 따라서 여름형·중간형·가을형으로 나뉜다. 여름형은 조생이며 주로 고온에서 개화가 빨라지는 것으로, 봄에 일찍 심지 않으면 수량이 적다. 그러나 가을형은 단일조건에서 개화하는 만생(晩生)으로, 다수(多收)·양질의 품종이 많다.

 

재배

콩의 파종은 5월 상·중순에, 여름콩은 일찍, 가을콩은 약간 늦게 한다. 60㎝ 간격의 이랑에 포기 사이는 24㎝ 정도로 파종하는 것이 표준이다 지방에 따라 밭두렁에 파종하거나, 옥수수나 그밖의 작물과 혼작하기도 한다. 콩은 기생하는 근류균으로부터 질소를 공급받는데, 생육 초기에는 질소비료를 필요로 하고, 일반적으로 지력이 좋은 쪽이 수확량이 많다. 개화기까지 2-3회의 잡초방제와 쓰러짐방지를 위한 중경·배토를 한다.

 

수확은 잎이 말라서 떨어지기 시작하고 꼬투리가 성숙한 때에 하는데, 여름콩은 7월 중순부터 8월 상순, 가을 콩은 10월 상·중순이 적기이다. 수확할 때는 면적이 좁으면 뿌리째 뽑기도 하지만, 면적이 넓으면 낫으로 베는 요령으로 꺾는다. 콩이 자라는 데 알맞은 온도는 25-30℃이며, 습기가 알맞고 온도가 높은 것이 좋다. 콩은 10월 상·중순쯤 꼬투리가 성숙하면 수확한다. 아침이나 저녁때 베어 다발로 묵어 두었다가 탈곡기로 타작한 다음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말려서 저장한다.

 

영양

콩에는 30-50%의 단백질과 13-25%의 지방이 들어 있다. 씨알은 그대로 밥에 두어 먹는 외에 된장·간장·두부·콩나물 등의 원료로도 이용된다. 콩에서 짠 콩기름은 식용으로도 하지만,공업용으로도 쓰인다. 기름을 짜고 난 콩깻묵은 가축의 사료로 쓰이기도 하면서, 농작물의 거름으로도 좋다. 콩에는 트립신의 활동을 방해하는 특정한 단백질이 들어있어 콩을 날로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하지만 콩을 가열할 경우 이 단백질 성분이 변성된다. 결국 트립신이 활성화되어 소화효소의 침입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용도

콩은 식용 및 공업용으로 널리 쓰이는데, 자실(子實)은 단백질 및 지방이 풍부하다. 콩은 우리 민족의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단백질원이 되어 있다. 가공하여 두부·된장·간장·콩가루·과자·콩기름 등을 만든다. 콩기름은 다시 가공하여 인조버터의 제조원료와 각종 공업원료로 쓰며, 콩깻묵은 사료·비료로 쓰며, 다시 가공하여 간장·된장·과자 등을 만드는 데 쓴다. 또 콩나물로도 길러 먹기도 한다.

 

이용

어린 풋대콩은 삶아서 먹고, 완숙한 콩은 콩밥·콩자반·콩엿 등을 만들어 먹는다. 또, 두부·비지·된장·간장·콩나물·콩기름 등으로 가공하여 먹기도 하고, 인조기름·인조고기 등을 만들기도 한다. 콩기름은 각종 공업원료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두유의 원료로 많이 소비된다. 콩의 생초·건초와 콩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줄기는 인공섬유의 원료와 농촌의 땔감으로 이용된다. 이밖에 비누·방수제·유화제·살충제·화약·의약품 등 공업상의 용도도 다채롭다.

 

종류

• Glycine max - 대두

• Phaseolus vulgaris - 강낭콩

• Pisum sativum - 완두

• Rhynchosia volubilis 쥐눈이콩

• Vigna속

• Vigna angularis -

• Vigna unguiculata - 동부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콩

 

 

        

 

이용방안

흑색의 종자는 黑大豆(흑대두), 흑두의 화(花)는 黑大豆花(흑대두화), 흑두의 種皮(종피)는 黑大豆皮(흑대두피), 흑두의 엽(葉)은 黑大豆葉(흑대두엽), 대두의 황색종자는 黃大豆(황대두), 흑두의 종자가 발아한 후 말린 것은 大豆黃卷(대두황권)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黑大豆(흑대두)

①성분 : 비교적 풍부한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및 carotene, 비타민 B1,B2, nocotine산(酸)과 기타 isoflavone류(類)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活血(활혈), 利水(이수), 祛風(거풍), 해독의 효능이 있다. 水腫脹滿(수종창만), 風毒脚氣(풍독각기), 黃疸浮腫(황달부종), 風痺(풍비)에 의한 筋肉痙攣(근육경련), 口 (구금),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하고 藥毒(약독)을 解(해)한다.

 

⑵黑大豆花(흑대두화)

콩과 검정콩의 꽃으로, (목맹예막)을 치료한다.

 

⑶黑大豆皮(흑대두피)

①성분 : 흑대두피에는 chrysanthemin과 delphinidin-3-monoglucoside, pectin 18%가 함유되어 있고 또 levulin산(酸)과 다종의 糖類(당류)가 들어 있다.

②약효 : 養血(양혈), 疏風(소풍)하는 효능이 있다. 陰虛煩熱(음허번열), 盜汗(도한), 眩暈(현운), 두통을 치료한다. 9-15g을 달여 복용한다.

 

⑷黑大豆葉(흑대두엽)

①성분 : 대두의 잎에는 엽산 2.10㎍/g, floinin산(酸) 0.24㎍/g, riboflavine 2.4㎍/g, 비타민 2.4㎍/g, 비타민A 142.2 국제단위/g, carotinoid 0.8-1.1㎍/잎의 면적 100㎠, cis-aconitin산(酸), sedoheptulo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혈림(血淋), 蛇咬傷(사교상)을 치료한다.

 

⑸黃大豆(황대두)

健脾(건비), 寬中(관중), 潤燥(윤조),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疳積(감적), 下痢(하리), 腹脹衰弱(복창쇠약), 임신중독, 瘡癰腫毒(창옹종독), 外傷出血(외상출혈)을 치료한다.

 

⑹大豆黃卷(대두황권)

종자가 발아한 후 햇볕에 건조한 것으로, 淸解表邪(청해표사), 分利濕熱(분리습열)의 효능이 있다. 濕溫初期(습온초기), 濕熱不化(습열불화), 汗少(한소), 흉비, 水脹服滿(수창복만), 小便不利(소변불리), 濕痺(습비), 筋攣(근련), 骨節煩疼(골절번동)을 치료한다.

 

        

 

한국서식 돌콩속 (Glycine)의 종

돌콩 (Glycine soja Siebold &Zucc.)

 (Glycine max (L.) Merr.)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04 06:20

- 재배법 | 식물도감(植物圖鑑)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09 15:0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겅퀴속 (Cirsium)  (0) 2012.12.22
콩 - 재배법  (0) 2012.12.21
돌콩   (0) 2012.12.21
자주덩굴별꽃  (0) 2012.12.21
덩굴별꽃  (0) 2012.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