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초롱꽃과(Campanulaceae)

호남인1 2012. 10. 17. 11:07

 

 

 

 

 

 

초롱꽃과

Campanulaceae

 

초롱꽃목 초롱꽃과 쌍떡잎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대개는 초본(草本)이나 목본(木本)도 있다. 잎은 보통 어긋나기도 하고 홑잎이며 턱잎은 없다. 통 모양 또는 종 모양의 통꽃은 양성(兩性)이며 위아래 축을 중심으로 바퀴살처럼 마주 놓였거나 좌우 절반이 똑같은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나 장과(漿果)이며 씨가 많다.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아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70속의 2,000여 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초롱꽃·도라지·숫잔대·더덕·둥근잔대·왕잔대·모시대·애기도라지 등의 9속 24종이 자라고 있다. 이중 많은 수는 초롱꽃속잔대속에 포함된다.

 

생태적 특징

대부분 초본이지만 종에 따라서는 목본인 것도 있다. 거의 예외없이 흰색 유액을 가지며, 잎은 어긋나는 것이 많고 턱잎이 없다. 꽃은 방사대칭 또는 좌우대칭인 양성화로, 꽃부리는 보통 통 모양이나 종 모양이며 5갈래로 나뉘어 있는데, 봉오리 시기에는 각 조각들이 서로 붙어 있다. 수술은 꽃부리의 조각과 같은 수를 가지며, 보통 꽃 통의 밑부분에 붙거나 또는 그것과 떨어져서 붙는다. 씨방은 하위로, 2-5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는데, 그 중축 태자리에는 여러 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암술머리도 2-5갈래로 나뉘어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백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for. albiflorum (Honda) H.Hara)

 

 

 

초롱꽃과(Campanulaceae) 10속의 종

 

금강초롱속(Hanabusaya) 3종

검산초롱꽃 (Hanabusaya latisepala Nakai)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흰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for. alba T.B.Lee)

 

흰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for. alba T.B.Lee)

 

더덕속 (Codonopsis) 5종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Zucc.) Trautv.)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Rupr. &Maxim.) Hemsl.)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 Nakai)

푸른더덕 (Codonopsis lanceolata for. emaculata (Honda) H.Hara)

 

만삼 (Codonopsis pilosula (Franch.) Nannf.)

 

 

도라지속 (Platycodon) 4종

겹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var. duplex Makino)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백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for. albiflorum (Honda) H.Hara)

흰겹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var. duplex for. leucanthum H.Hara)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비너스거울속 (Triodanis) 1종

 

 

숫잔대속 (Lobelia) 3종

새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var. tetrapetala Y.N.Lee)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Lour.)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Lamb.)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Lamb.)

 

 

애기도라지속 (Wahlenbergia) 1종

애기도라지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애기도라지 (Wahlenbergia marginata (Thunb.) A.DC.)

 

 

영아자속 (Asyneuma) 1종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Miq.) Briq.)

 

 

====================================================================================================================================

 

잔대속 (Adenophora) 34종

 

가는잎잔대 ( Adenophora triphylla for. linearis (Hayata) Kitam.)

가는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ngustifolia Regel)

가야산잔대 (Adenophora kayasanensis Kitam.)

고산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gakusanensis Kitam.)

금강잔대 (Adenophora pulchra Kitam.)

긴당잔대 (Adenophora stricta var. lancifolia Honda)

꽃잔대 (Adenophora koreana Kitam.)

나리잔대 (Adenophora liliifolia (L.) Besser)

넓은잔대 (Adenophora divaricata Franch. &Sav.)

당잔대 (Adenophora stricta Miq.)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Nakai)

두메잔대 (Adenophora lamarckii Fisch.)

둥근잔대 (Adenophora coronopifolia Fisch.)

만주잔대 (Adenophora pereskiaefolia G.Don)

모시대 (Adenophora remotiflora (Siebold &Zucc.) Miq.)

선모시대 (Adenophora erecta S.T.Lee et al.)

섬잔대 (Adenophora taquetii H.Lev.)

솔잎잔대 (Adenophora gmelini (Spreng.) Fisch.)

수원잔대 (Adenophora polyantha Nakai)

왕잔대 (Adenophora tyosenensis Nakai ex T.H.Chung)

외대잔대 (Adenophora racemosa J.Lee &S.Lee)

인천잔대 (Adenophora remotidens Hemsl.)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Hara)

좀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bbreviata H.Lev.)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Kom.)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털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var. hirsuta F.Schmidt)

톱잔대 (Adenophora curvidens Nakai)

흰나리잔대 (Adenophora liliifolia for. alba (Nakai) W.T.Lee)

흰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for. alba T.B.Lee)

흰모시대 (Adenophora remotiflora f. leucantha Honda)

흰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for. albiflora Y.N.Lee)

흰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for. leucantha Nakai)                                가는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ngustifolia Regel)

흰톱잔대 (Adenophora curvidens for. alba Y.N.Lee)

 

=================================================================================================================================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초롱꽃속 (Campanula) 5종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Nakai)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Lam.)

흰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for. alba T.B.Lee)

흰자주꽃방망이 ( Campanula glomerata for. alba Nakai ex T.B.Lee)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홍노도라지속 (Peracarpa) 1종

홍노도라지  (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 (F.Schmidt ex Miq.) Makino)

 

홍노도라지  (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 (F.Schmidt ex Miq.) Makino)

 

 

초롱꽃목

Campanulales

 

초롱꽃목쌍떡잎식물강 국화아강의 한 이다. 크론키스트 분류로써 다음과 같은 과(科) 분류의 식물을 포함한다.

브루노니아과 (Brunoniaceae)

초롱꽃과 (Campanulaceae)

구데니아과 (Goodeniaceae)

• Pentaphragmataceae

스페노클레아과 (Sphenocleaceae)

스틸리디움과 (Stylidiaceae)

APG II 분류에서는 목으로 인정되지 않고, 국화목으로 분류된다.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Siebold &Zucc.) Trautv.)

 

이 목의 식물은 대부분 초본성이고 다년생인데 주로 관상용으로서 중요하다. 7과(科) 105속(屬) 2,000종(種)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초롱꽃과(Campanulaceae)와 숫잔대과(Lobeliaceae)의 식물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초롱꽃목의 약 60속 1,500종이 이들 2과에 속한다.

 

이 목의 식물은 해발 4,000m에 이르는 고지대에서 자란다. 초롱꽃과는 양 반구 온대지역의 산악지역에서 자라며, 몇몇 숫잔대과 식물은 북반구 온대지역이 원산지이지만 남반구의 보다 더 따뜻한 지역과 열대지역에서 더 많은 수의 종들이 나타났다. 전형적인 작은 다른 과들은 주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자란다.

 

이 목은 분포지와 함께 서식지 또한 다양하다. 예를 들어 초롱꽃속(Campanula)의 경우 많은 종이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지만 몇몇 좋은 그늘진 삼림에서 가장 잘 자라는 북아메리카산 캄파눌라 아파리노이데스(C. aparinoides)는 습지에서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초롱꽃속 종들은 석회암에서 유래한 토양에서 번성하나 포르투갈산 캄파눌라 로이플링기이(C. loeflingii)는 약산성의 사질 토양에서 자란다. 네마클라두스속(Nemacladus) 식물들은 미국 남서부의 사막에서 1년생으로 자라고 있다.

 

초롱꽃과에 속하는 40속 700종 가운데 17속은 특히 아름다워 사람의 눈길을 끈다. 유럽과 아시아 북부가 원산지인 캄파눌라 엘라티네스(C. elatines)와 캄파눌라 페르시키폴리아(C. persicifolia)로부터 흰색에서 푸른색에 이르는 몇몇 원예품종이 만들어졌다.

 

카르파니아 산맥의 캄파눌라 카르파티카(C. carpatica)는 키가 45㎝ 정도로 뭉쳐 자란다.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로 정원에 기르기도 하는 종에는 캄파눌라 로툰디폴리아(C. rotundifolia)와 캄파눌라 아메리카나(C. americana)가 있다. 캄파눌라 라풍쿨로이데스(C. rapunculoides)는 정원에서 자라는 잡초로 유명하다. 애기도라지속(Wahlenbergia:유럽 서부에서 남반구에 이르는 지역에서 널리 분포함)에 속하는 100종 이상 가운데 8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히말라야에서 자라는 키아난투스속(Cyananthus)은 방석 모양을 이루는 종들로 잘 알려져 있다.

 

초롱꽃과에서 얻어지는 몇몇 식용작물 중 캄파눌라 라풍쿨루스(C. rapunculus)는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 채소로 먹으며, 같은 과의 카나리나속(Canarina)·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 같은 식물에서는 식용 장과(漿果)를 얻는다. 숫잔대과에는 숫잔대속(Lobelia) 식물만이 널리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숫잔대속 식물 종들이 푸른색 또는 흰색의 꽃을 피우는 반면에 로벨리아 카르디날리스(L. cardinalis)는 광택이 나는 붉은색 꽃을 피운다.

로벨리아 인플라타(L. inflata)는 북아메리카 동부와 중부가 원산지로 담배 맛이 나며 인디언 원주민들이 최토제(催吐劑)로 썼다. 로벨리아와 다른 숫잔대속 식물에서 니코틴 중독의 치료제로 쓰는 알칼로이드인 로벨린(lobeline)을 얻는다.

 

이 목은 일반적으로 씨로 번식한다. 꽃눈이 잎겨드랑이에 달리면서 잎처럼 생긴 줄기의 길쭉한 윗부분이 꽃차례로 된다. 이 목은 총상(總狀)꽃차례 또는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루며, 이 목의 꽃은 보통 부분적으로 융합된 5장의 녹색 꽃받침잎을 가져 꽃받침을 형성한다. 5장의 꽃잎은 꽃부리를 이루는데 닫혀 있기도 하며 보통 종(鍾) 모양이거나 옆으로 퍼져 있다. 몇몇 속에서는 5개 이하의 수술이 만들어진다. 3개의 길쭉한 심피(心皮)는 암술을 이루는데, 많은 밑씨가 들어 있는 하위(下位)인 부풀은 씨방과 그 위로 끝이 3갈래로 갈라진 암술머리가 달린 암술대로 분화된다. 성숙한 씨방(또는 열매)은 마르면서 익는데, 이는 삭과(蒴果)로 수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열리면서 씨가 흘러나온다.

초롱꽃과와 숫잔대과는 씨가 많지만 나머지 과는 씨가 적다.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Nakai)

 

초롱꽃과 식물의 꽃부리는 방사대칭이지만, 숫잔대과의 경우 거울에 비친 것처럼 꽃부리가 좌우대칭이다. 초롱꽃과에서는 꽃이 눈 안에 있고 암술머리가 수술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을 때 꽃밥에서 꽃가루가 떨어지는데, 꽃부리가 열릴 때까지 중앙의 암술대에 달린 뻣뻣한 털에 꽃가루 알갱이가 붙어 있다. 암술대 아래쪽에 있는 꿀샘에 유인된 곤충이 꽃가루를 스쳐지나면서 핀 지 오래된 꽃으로 옮겨가 암술머리에 꽃가루를 옮겨준다. 이렇게 하여 딴꽃가루받이가 더욱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클레르몬티아속(Clermontia)의 하와이산 종의 경우 꽃가루받이 매개자인 꿀발기멧새류가 굽은 꽃부리통에 부리를 집어넣는다.

 

흰숫잔대 - 미등록종

 

한국에는 초롱꽃과와 숫잔대과의 2과 9속에 속하는 약 35종이 있다. 이중 잔대속(Adenophora) 식물들이 약 20종으로 가장 많으며, 금강초롱속(Hanabusaya) 식물들은 한국에서만 자란다. 도라지 는 흔히 심고 있으며, 홍노도라지(Peracarpa carnosa var. circaeoides)와 애기도라지(Wahlenbergia marginata)는 남쪽지방에서만 자라며, 더덕 과 영아자 가 산 속에서 흔히 자란다. 숫잔대과의 숫잔대(L. sessilifolia)와 수염가래꽃(L. chinensis)은 습지에서 주로 자라고 있다.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Lamb.)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금강초롱꽃   (0) 2012.10.17
금강초롱꽃   (0) 2012.10.17
잎갈나무  (0) 2012.10.17
솔송나무   (0) 2012.10.17
개잎갈나무  (0) 2012.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