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짚신나물

호남인1 2012. 2. 15. 22:27

 

 

 

 

짚신나물

학명: Agrimonia pilosa Ledeb.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짚신나물속

이명: 용아초,선학초,광아, 과향초(瓜香草), 노우근(老牛筋), 자모초(子母草), 지동풍(地洞風), 지선초(地仙草), 황우미(黃牛尾),등골짚신나물,큰골짚신나물,산짚신나물,

영명: Hairyvein Agrimonia /원산지: 한국 /꽃말 : 감사 /분류: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짚신나물속

분포; 아시아, 유럽 /서식: 풀밭, 길가 /크기: 약 30cm~1.0m

 

다년생초본

한국·일본·중국·인도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굵은 뿌리줄기에 줄기가 나오고 높이 30-100㎝이며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우상복엽이며 작은잎은 5-7개로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끝에 달린 3개의 작은잎은 크기가 비슷하고 작은잎 사이에 작은잎 같은 것이 달린다.

 

꽃은 6-8월에 피고 황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 통은 길이 3㎜ 정도이고 세로줄이 있으며 위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 수술은 12개이며 열매는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하고 한방에서 선초를 이질·위궤양·자궁출혈에 사용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짚신나물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6653&mn=KFS_28_01_02_01

 

 

 

키는 1m까지 자라며, 줄기에 거친 털이 있다. 큰 잔잎과 작은 잔잎이 교대로 달리는 잎은 깃털처럼 갈라져 어긋난다. 잎자루의 아래쪽에는 반달처럼 생긴 턱잎[托葉]이 줄기 양쪽으로 2장 달린다.

 

꽃은 6~8월경 줄기 끝에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노랗게 핀다. 꽃잎은 5장이고, 가을에 익는 열매는 겉에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 사람의 옷이나 동물의 가죽에 잘 달라붙는다.

 

산이나 들에서 흔히 자라고 이른봄에 어린잎을 캐서 나물로 먹으며, 8~9월에 식물 전체를 캐서 햇볕에 말린 것을 용아초(龍牙草)라고 하여 구충제·수렴제(收斂劑)로 쓰고, 이가 아플 때도 쓴다. 申鉉哲 글

 

 

 

짚신나물 (학명: Agrimonia pilosa Ledeb.)

개화기는 6-8월 어린잎은 식용,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 나라 각처의 들이나 길가에 흔히 나는 다년초로서, 키 30-150㎝이다.

 

전체에 거친 털이 많이 나며, 잎은 호생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5-7장이다.

크기가 고르지 않고, 여러 쌍, 큰 것은 긴 타원형, 피침형 또는 도란형, 끝이 날카롭고, 거친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털이 있고, 길이 3-6㎝, 폭 1.5-3.5㎝이다.

턱잎은 반달 모양, 고르지 않은 치아 모야의 톱니가 있다.

 

꽃은 수상, 총상화서로 줄기 끝과 가지 끝에 붙고, 길이 10-20㎝, 꽃이 다수, 노란색, 꽃자루가 짧고, 작은 포는 잎 모양, 가늘게 째진다.

꽃받침통은 꽃이 진 후에 커져 길이 약 3㎜, 세로로 팬 줄이 있고,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며, 갈고리 모양의 털이 위쪽 가장자리에 붙어 다른 물체에 붙는다.

꽃잎은 5장, 도란형 또는 타원형, 길이 3-6㎜, 수술은 5-10(12)개, 심피는 2개이며, 숨겨져 있다.

 

암세포는 억제하면서 정상세포는 더 잘 자라게 하는 작용이 있다.

영양이 풍부하고 당뇨병, 갖가지 출혈, 만성 대장염 등에도 쓴다.

짚신나물은 암 치료에 효과가 탁월하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는 "이 식물을 위암, 식도암, 대장암, 간암, 자궁암, 방광암 등에 쓴다."고 적혀 있다.

짚신나물은 예부터 민간에서 지혈제로, 또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으로 더러 써 왔다.

아메리카의 인디언들도 신장병, 간장병, 관절염 등에 치료약으로 활용하였고, 유럽에서도 위궤양, 장염, 설사, 출혈 등에 효험이 있는 약으로 기록하였다.

 

에드워드 바크라는 영구인 의사는 짚신나물이 우울증이나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미국에서 펴낸 한 책에는 오장을 편안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성악가들이 짚신나물을 달인 물로 입가심을 하여 성대를 보호한다고 하였다.

짚신나물은 지혈, 소염, 항균, 진통, 항암, 혈당강하, 조혈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특히 항암작용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에서 실시한 실험결과에 자궁경부암에서 떼 내어 배양한 암세포에 짚신나물 추출물을 투여했더니 암세포는 100% 억제되고 정상세포는 2배로 늘다고 한다.

 

짚신나물은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는 암 치료약이지만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어서는 안된다.

짚신나물은 여러 가지 영양물질이 고루 들어 있으므로 산나물로 늘 먹어도 좋을 듯하다.

배추나 상추와 견주어 보면 단백질은 4배 이상, 지질은 5배 이상, 당질은 4배, 섬유질은 15배, 회분은 6배, 철분은 10배 이상 많다. 특히 비타민C는 상추보다 13배 이상 많다.

 

봄부터 초가을까지 새순을 따서 데쳐서 나물로 무치든지, 튀김을 만들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런대로 먹을 만하다. 여름철에 나물로 늘 먹으면 설사나 배탈이 나지 않는다. 출처: 무지개세상

 

 

 

 

 

짚신나물속(Agrimonia) 3종

산짚신나물 Agrimonia coreana Nakai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Ledeb.

• 좀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var. nipponica (Koidz.) Kitamura

 

 

 

 

짚신나물의 이용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9월 단단해진 줄기 아랫부분은 버리고 부드러운 윗줄기와 잎, 꽃을 함께 잘게 썬 다음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아주 좋은 염료식물로 매염제 없이도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다.

 

▶짚신나물, 산짚신나물의 全草(전초)는 仙鶴草(선학초), 根(근)은 龍牙草根(용아초근), 根莖(근경)은 仙鶴草根芽(선학초근아)라 하며 약용한다.

 

⑴仙鶴草(선학초)

①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莖葉(경엽)이 무성하고 꽃은 아직 피지 않은 것의 전초를 베어 진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agrimonin, agrimonolide, tannin, sterol, 유기산, phenol性(성) 성분, 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줄기에는 tannin 6.5%, 잎에는 tannin 16.4%가 함유되어 있다. 잎과 줄기에는 또 luteolin-7-β-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止血(지혈), 健胃(건위)의 효능이 있다. 폐결핵의 喀血(객혈), 吐血(토혈), 痔出血(치출혈), 血尿(혈뇨), 血便(혈변), 赤白痢(적백리), 출혈성장염, 위궤양출혈, 肝(간)의 膿瘍(농양), 자궁출혈, 帶下(대하), 과로에 의한 脫力(탈력), 癰腫(옹종), 타박, 切傷出血(절상출혈)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15-30g) 달여 복용하거나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散劑(산제)로 쓰기도 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龍芽草根(용아초근)

①가을 이후에 뿌리를 캐어 蘆頭(노두)를 끊어내고 뿌리만 깨끗하게 씻어서 말린다.

②성분 : 뿌리에는 agrimonolide, taxifloin, vanillin酸(산), ellagic acid, triterpen類(류), phytosterol, agriminol이 함유되어 있고 또 tannin 8.9%도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赤(적), 白(백)의 細菌性下痢(세균성하리), 부녀의 無月經(무월경), 腫毒(종독)을 치료하고 蟯蟲(요충)도 구제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붙인다.

 

⑶仙鶴草根芽(선학초근아)

①不定芽(부정아)가 달린 根莖(근경)으로, 겨울, 봄에 새그루에서 싹이 나오기 전에 근경을 캐어 老莖(노경)을 제거하고 幼芽(유아)만 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穡蟲症(조충증)을 치료한다.

 

 

 

 

짚신나물 (Agrimonia pilosa Ledeb. var. japonica Nakai)에 대하여

출처: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category_id=OJT&qid=2dFOc

 

광아, 과향초(瓜香草), 노우근(老牛筋), 자모초(子母草), 지동풍(地洞風), 지선초(地仙草), 황우미(黃牛尾) 등의 많은 이름을 가진 식물입니다. 영어로는 agrimony라고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용아초(龍芽草) 혹은 선학초(仙鶴草)라고 부릅니다.

 

들이나 길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대개는 사람 무릎 높이 정도로 자랍니다. 전체에 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겹잎으로서 작은잎은 다섯에서 일곱 개 정도입니다. 초여름부터 노란 꽃이 가지 끝에 주욱 붙어 납니다. 꽃잎은 다섯 장입니다. 꽃받침통에 갈고리같은 털이 있어서 다 자라게 되면 다른 물체에 잘 붙습니다.

 

이 친구의 이름이 짚신나물이 된 것은 그 갈고리털 때문이었습니다. 짚신나물 꽃이 질 무렵 그 옆을 지나치면 갈고리털 덕택에 바지나 신발끈에 이 녀석의 열매가 다닥 다닥 붙게 되지요. 옛날에 사람들이 신고 다녔던 짚신에는 훨씬 더 잘 붙었을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 발걸음이 닿는 곳이면 어디든지 자신의 씨앗이 퍼져나갈 수 있으니까 짚신나물은 그야말로 짚신 덕을 톡톡히 봤던 셈입니다. 요즘도 잘 살펴보면 짚신나물은 꼭 사람들이 잘 다니는 길 주변에서 주로 자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식물이 마냥 수동적이고 정적이라고만은 할 수 없겠지요?

 

짚신나물과 매우 비슷한 식물로는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akai)이 있습니다. 얼핏 봐서는 둘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서로 많이 닮았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턱잎의 모양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술의 숫자도 짚신나물이 산짚신나물보다 더 많습니다. 기회가 되면 둘을 비교한 사진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사진 찍을 기회를 번번이 놓친 바람에 내년 여름쯤에나... ^^a

 

8월 21일의 탄생화이기도 한 짚신나물의 꽃말은 감사

 

 

 

 

 

짚신나물 (선학초)

출처: http://www.nanum.pe.kr/nh4fr/f...

 

약재에 대하여

짚신나물은 우리나라의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선학초, 용아초, 황화초, 탈력초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이 간운데서 용아초라는 이름은 이른 봄철에 돋아나는 새싹이 마치 용이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생긴 것이다. 키는 15~60cm쯤 자라고 전체에 흰 털이 있으며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 꼴의 쪽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6~7월에 꽃대 위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비슷한 종류의 식물로 산짚신나물, 큰골짚신나물 등이 있는데 모양새가 비슷하고 약효도 거의 같다.

 

약성 및 활용법

짚신나물은 암 치료에 효과가 탁월하다. 북한에서펴낸 <동의학사전>에는 "이 식물을 위암, 식도암, 대장암, 간암, 자궁암, 방광암 등에 쓴다."고 적혀 있다.

짚신나물은 예부터 민간에서 지혈제로, 또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으로 더러 써 왔다. 아메리카의 인디언들도 신장병, 간장병, 관절염 등에 치료약으로 활용하였고, 유럽에서도 위궤양, 장염, 설사, 출혈 등에 효험이 있는 약으로 기록하였다.에드워드 바크라는 영구인 의사는 짚신나물이 우울증이나 신경쇠약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미국에서 펴낸 한 책에는 오장을 편안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성악가들이 짚신나물을 달인 물로 입가심을 하여 성대를 보호한다고 하였다.

짚신나물은 지혈, 소염, 항균, 진통, 항암, 혈당강하, 조혈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특히 항암작용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에서 실시한 실험결과에 자궁경부암에서 떼 내어 배양한 암세포에 짚신나물 추출물을 투여했더니 암세포는 100% 억제되고정상세포는 2배로 늘어났다고 한다.짚신나물은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는 암 치료약이지만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어서는 안된다.

짚신나물은 여러 가지 영양물질이 고루 들어 있으므로 산나물로 늘 먹어도 좋을 듯하다. 배추나 상추와 견주어 보면 단백질은 4배 이상, 지질은 5배 이상, 당질은 4배, 섬유질은 15배, 회분은 6배, 철분은 10배 이상 많다. 특히 비타민C는 상추보다 13배 이상 많다.봄부터 초가을까지 새순을 따서 데쳐서 나물로 무치든지, 튀김을 만들거나 볶아서 먹으면 그런대로 먹을 만하다. 여름철에 나물로 늘 먹으면 설사나 배탈이 나지 않는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짚신나물을 암 치료약으로 쓸 때는 말린 것을 감초, 삼백초와 함께 달여 먹거나 그늘에서 말려 가루로 내어 하루에 30g쯤을 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폐결핵으로 피를 토할 때나 위궤양으로 인한 출혈, 치질로 항문에서 피가 날 때에는 짚신나물 말린 것 10~20g을 물로 달여 그 물을 마신다. 갑자기 많은 피가 날 때에는 35~40g쯤 많은 양을 달여 마시도록 하고, 마시고 12시간이 지나도 출혈이 멎지 않으면 다시 한 번 더 복용하고 출혈량이 줄어들면 10~20g으로 줄여 복용한다. 짚신나물은 많은 양을 복용해도 부작용이 전혀 없고 소화기관에도 전혀 자극을 주지 않는다.

▶기생충을 죽이기 위하여, 요도염, 습진, 류머티스, 구내염, 아구창 등에도 효과가 좋은데, 뿌리와 줄기 전체를 모두 약으로 쓴다. 그늘에서 말려야 약성이 제대로 보존돠고 햇볕에서 말리면 약효가 거의 없다. 말릴 때 곰팡이가 피거나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하거나 곰팡이가 핀 것을 먹으면 그 독성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짚신나물은 정력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 몸이 허약하거나 양기가 부족한 사람은 짚신남루을 차로 달여 늘 먹거나 녹즙을 내어 먹으면 효력이 있다.

 

 

 

 

 

 

생약명: 선학초[仙鶴草]

 

다른이름 : 瓜香草(과향초),金頂龍牙(금정용아),狼牙草(랑아초),石打穿(석타천),仙鶴草(선학초),龍芽草(용아초)

약       맛 : 고(苦)     

귀       경 : 간(肝)  비(脾)  폐(肺)  대장(大腸)    

주       치 : 疥癬, 久痢不愈, 尿血, 便血, 崩漏, 蛇咬傷, 癰腫, 乳癰, 陰痒, 紫斑, 滴蟲性陰道炎, 吐血, 瘧疾, 咳血

약용부위 : 풀전체

금       기 : 外感寒熱의 경우에도 복용을 忌해야 한다.澀斂의 성질이 있으므로, 초기의 腹瀉, 痢疾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효       능 : 殺蟲止痒, 收斂止血, 截瘧, 止痢, 解毒消腫

주치증상 : <本草綱目(본초강목)> 이전에 저술된 <滇南本草(전남본초)>에 기록된 약재이나 지방특산 약재를 주로 언급한 본초서적으로써 李時珍(이시진)이 책을 저술할 때 인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本草綱目(본초강목)>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약물이름의 기원 : <本草綱目(본초강목)> 이전에 저술된 <滇南本草(전남본초)>에 기록된 약재이나 지방특산 약재를 주로 언급한 본초서적으로써 李時珍(이시진)이 책을 저술할 때 인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本草綱目(본초강목)>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생약명 : 龍牙草(용아초)

 

약물이름: 마편초[馬鞭草]

 

다른이름 : 鳳頸草(봉경초),龍牙草(용아초)

약       맛 : 고(苦)  신(辛)     

귀       경 : 간(肝)  비(脾)  방광(膀胱)    

주       치 : 經閉, 腹水脹滿, 水腫, 濕熱痢疾, 濕熱黃疸, 熱淋, 癰腫, 外感發熱, 咽喉白腐, 跌打損傷, 癥瘕積聚, 痛經, 瘧疾

약용부위 : 풀전체

처       방 : 자혈탕(滋血湯) : 의학입문                  석영산(石英散) : 동의보감

금       기 : 脾胃가 虛寒한 者와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효       능 : 利水消腫, 截瘧, 淸熱解毒, 活血散瘀

주치증상 : <별록(別錄)> : 성기 주변의 옴병을 다스린다.

진장기(陳藏器) : 아랫배에 덩어리가 뭉친 것, 오랜 학질을 치료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죽인다. 찧고 으깨고 끓여서 즙을 채취하여 달여 엿처럼 만든 후 매번 공복에 술과 함께 한 숟가락씩 복용한다.

지대명(池大明) : 여성이 혈기(血氣)가 뭉쳐서 배가 빵빵해 지는 것, 월경이상을 치료하여 월경을 통하게 한다.

주진형(朱震亨) : 창칼에 다친 상처를 치료하며 어혈을 없앤다.

이시진(李時珍) : 으깨어 바르면 종기의 부기와 각종 부스럼을 낫게 하고 남성의 성기가 부은 것을 가라앉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용아초(龍牙草), 봉경초(鳳頸草)가 있다.

소공(蘇恭) : 이삭이 말채찍과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馬鞭)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진장기(陳藏器) : 이 설(說)이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이 식물의 마디마다 자색 꽃이 피는 것이 말채찍의 마디와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馬鞭)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시진(李時珍) : 용아초(龍牙草), 봉경초(鳳頸草) 등의 이름은 모두 이삭의 모양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소송(蘇頌)의 <도경(圖經)>의 외류(外類)에서는 이 약초가 거듭해서 두 번 나오지만 지금은 합쳐서 하나가 되었다. 또한 지금의 의사들은 잘못하여 이 약초의 색깔별로 용아(龍牙)라는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고 심지어는 혼합된 색까지도 명명하였는데 신빙성이 부족하다. 출처: 문화원형백과사전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惺惺子/이덕우님, 예스맨님, narjagodori/김명원님,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짚신나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짚신나물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풀   (0) 2012.02.16
쪽동백나무  (0) 2012.02.16
질경이택사   (0) 2012.02.15
잔대류의 종류와 효능  (0) 2012.02.15
지렁쿠나무 - 포토  (0) 2012.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