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나무
학명: Torreya nucifera (L.) Siebold &Zucc.
이명: 비자, /영명: /원산지: 한국 .일본 /비자나무(Japanese torreya)
분류: 겉씨식물
• 분포: 아시아
• 크기: 약 10.0m~25.0m
• 위기도: 낮은위기
• 꽃말: 소중,사랑스러운 미소
nut-bearing torreya, kaya라고도 함. 겉씨식물인 주목과(朱木科 Tax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비자나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30874
진도임회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111 호)
목재로 쓰거나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데, 일본 남쪽 섬이 원산지이다. 비자나무속(榧子─屬 Torreya) 식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고 키도 10~25m에 이르지만 온대지역보다 추운 곳에서는 관목처럼 자란다. 줄기가 편평하게 옆으로 퍼지거나 약간 위를 향해 자라기 때문에 식물의 전체 모양이 짤막한 달걀 모양 또는 피라미드처럼 보인다.
수피(樹皮)는 부드럽고 붉은색을 띠지만 오래된 나무에서는 갈색으로 변하고 조각조각 떨어져나간다.
잎은 굽은 창 모양이지만 끝이 단단하고 가시처럼 뾰족하며 앞면은 진한 초록색이고 광택이 난다. 잎을 비비면 톡 쏘는 듯한 불쾌한 냄새가 난다. 씨는 크기가 2~2.5㎝이고, 일본에서는 씨의 기름을 요리에 쓰고 있다. 다육질의 종의(種衣)는 밝은 초록색이나 때때로 연한 자줏빛을 띠기도 한다. 노란색의 목재는 부식되지 않아 가구·상자·조각 및 선반의 재료로 쓰인다.
한국에서는 제주도 등지에서 자라고 있는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것은 제39호인 전남 강진군 병영면의 비자나무, 제111호인 전남 진도군 임회면의 비자나무, 제153호인 전남 장성군 북하면의 비자나무, 제239호인 전남 고흥군 포두면의 비자나무숲, 제241호인 전남 해안군 해안읍의 비자나무숲, 제287호인 경남 사천시 곤양면의 비자나무 등이다.
바둑판 중에서 비자나무로 만든 바둑판은 최상품으로 취급된다. 출처: 브리태니커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241호,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비자나무 (학명: Torreya nucifera (L.) Siebold &Zucc. 1846)
비자나무는 구과식물에 속하는 늘 푸른 바늘잎나무로 일본 남부가 원산지이다. 사찰 근처에 심은 비자나무가 많아 일본에서 가져왔다고 하지만, 제주도 비자림은 자생한 것일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라 한국 원산이라 할 수도 있다.
생태
높이 25m, 지름은 2m에 이르며, 나무껍질은 세로로 얇게 벗겨지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작은 가지는 붉은색을 띤다. 깃처럼 달리는 잎은 길쭉하고 끝이 침 모양으로 뾰족하며, 잎의 중앙맥 양쪽으로 노란빛이 도는 흰색 줄이 선명하다. 4월에는 수꽃과 암꽃이 다른 그루에서 따로따로 피는데, 둥근 달걀 모양인 수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5-6개의 녹색 포로 싸인 암꽃은 가지 끝에 2-3개씩 달린다. 다음 해 9-10월에 익는 솔방울은 타원형이고 자줏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쓰임새
비자나무 씨는 약용으로 널리 쓰이고 그 즙은 기름 대용으로도 이용되었다. 목재 중심재는 갈색이고 변재는 노란색으로, 나뭇결이 곱고 가공이 쉬워 주로 가구재·바둑판·장식재·조각재·토목재 등으로 이용된다.
한국의 비자나무
대한민국의 여러 비자나무와 비자나무 숲이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 제39호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 제111호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 제153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제239호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 제241호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 제287호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 제483호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비자나무 (학명: Torreyanucifera)
바둑을즐기는사람들은비자나무바둑판을갖는것이소원이라고하는데나무에향기가있고연한황색이라서바둑돌의흑백과잘어울리며돌을놓을때은은한소리가나기때문이라고한다.
처음에는표면이약간들어가는듯하다가돌을쓸면다시회복되는탄력성은다른나무가흉내낼수없다.
현재이나무는남해안및제주도에드물게자라지만큰비자나무가분포하는지역은대부분천연기념물로지정되어목재는전혀생산되지않는다.
그러니잘다듬어진비자나무바둑판은자그만집한채값이란다.
남해안섬지방및제주도에서시작하여육지는전라남북도의경계에있는백양산과내장산이살수있는북쪽한계선이다.
늘푸른잎을가진큰나무로서어릴때생장은매우느리나크게자라면지름이2m에이르기도한다.
나무껍질은흑갈색으로세로로길게갈라지고잎은납작하며약간두껍고끝은침처럼날카롭다.
암수가다른나무이고봄에꽃이피어열매는다음해가을에익는다.
크기는손가락마디만하며새알모양으로생겼으며껍질을벗겨내면연한갈색에딱딱하고얕은주름이있는종자가들어있다.
아몬드와닮은씨가들어있는데떫으면서고소하다.
그러나함부로먹으면안되고예부터회충,촌충등기생충을없애는약으로쓰였다.
비자나무는숲속그늘에자라는자그마한개비자나무와잎의모양이매우비슷하다.
구별은손바닥을펴서잎의끝부분을눌러보았을때딱딱하여찌르는감이있으면비자나무,반대로찌르지않고부드러우면개비자나무이다.
출처: 무지개세상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종 목 천연기념물 제111호 면 적 633㎡(보호구역)지 정 일 1962.12.03소 재 지 전남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681-1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 등지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서 마을 주변에 많이 심으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임회면의 비자나무는 나이가 6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 12.0m, 가슴높이 둘레 6.35m에 달한다. 가지가 무성하게 자라 좋은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어 쉼터 역할도 한다. 이 비자나무는 1,000년 전에 세워졌던 구암사 경내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가 사람들을 보호해주고 있기 때문에 나무에서 떨어져도 크게 다치는 일이 없었다고 믿고 있다.
임회면의 비자나무는 우리 조상들의 쉼터로, 또는 구충제를 얻는 자원으로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살아온 나무로서 생물학적 가치가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진도임회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111 호)
비자[榧子]
다른이름 : 玉榧(옥비),玉山果(옥산과),赤果(적과),香榧(향비),柀子(피자)
약 맛 : 감(甘)
귀 경 : 폐(肺) 위(胃) 대장(大腸)
주 치 : 疳積, 鉤蟲, 腸燥便秘, 絛蟲, 蟲積腹痛, 痔瘡, 肺燥咳嗽, 蛔蟲
약용부위 : 종자
금 기 : 過多하게 服用하면 滑腸하게 된다.
산 지 : 제주
효 능 : 殺蟲消積,潤燥通便
주치증상 : <本經(본경)> : 腹中(복중)의 邪氣(사기)를 물리치고 寄生蟲(기생충)을 없애고 뱀이나 벌레에 쏘인 독을 치료하고 죽은 사체로부터 전염되는 병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柀子(피자), 榧實(비실), 赤果(적과), 玉榧(옥비), 玉山果(옥산과)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 榧(비)는 棑(패:뗏목)라고도 하고 文木(문목: 쓸모 있는 훌륭한 나무)이라고도 하는데 무늬가 찬란하고 아름답다. 그러므로 榧(비)라는 명칭이 생겼다. 信州(신주)의 玉山縣(옥산현)의 것이 가장 좋다."
비자[榧子]감별법
비자나무의 종자를 약재로 이용하는 것으로 국산인 경우에는 낱알이 잘고 타원형이 많으며 낱알의 끝이 뾰족하고 껍질부위의 숨구멍이 선명하다. 껍질의 표면은 매끄러우며 단단하고 비자의 알은 연한 갈색이고 신선한 감이 있다. 이에 비해 중국산의 경우에는 낱알이 크고 원형이며 낱알의 끝이 둥글며 껍질부위의 숨구멍이 선명하지 않으며 얇은편이다.
구충에는 볶은 비자나무 열매비자나무 열매를 껍질째 볶아서 외피만을 벗기고 속파 그대로 1홉을 3일분으로 하여 1개월쯤 복용하면 완전히 구충이 된다.이가 나빠 열매를 제대로 먹을 수 없는 사람은 비자나무 열매 50개를 물 2홉에 넣어 1홉이 될 때까지 달여 그 즙을 마셔도 좋다.한방에서는 회충은 물론, 요충, 십이지장충 등 모든 기생충의 구제에 이를 쓰고 있다.
야뇨증에 비자나무 열매 볶음야뇨증에는 비자나무 열매를 볶아 하루에 20~30개쯤 먹으면 곧 효과가 나타난다.
산기(疝氣)에 특효가 있는 비자나무 열매 달인 즙산기란 한방에서 대·소장이나 생식기 등, 하복부 내장의 질병을 말한다. 이와 같은 때는 비자나무 열매를 달여서 마시면 낫는다.
비자 열매는 구충, 발모, 건위, 조경, 창출혈 등에 약재로 쓰이고, 종자는 기름을 짜서 식용합니다.
비자는 상록교목(常綠喬木)인 비자나무의 열매로서 9~10월에 익고 이 열매의 바깥 껍질과 속에 있는 종자(種子)가 모두 치질 치료제로 쓰이는데, 비자의 외피(外皮)가 치유 효과의 l5%를 점하고 있다고 합니다. 즉 비자 열매의 겉껍질이 주된 치질 치료제입니다.
용법은 한약 건재 도매상에서 우선 비자를 구하고 (일반적인 증세에는 10근이면 충분하나 심한 경우 15근까지 복용하면 완치됩니다). 그런 다음 에 비자의 외피(外皮)와 종자(種子)를 따로 나누고 외피를 1 리터 주전 자에 물과 함께 한 주먹씩 넣고 반 주전자 분량이 될 때까지 진하게 푹-달여서 수시로 마십니다.
알맹이 종자(種子)는 그대로 씹어 먹어도 되고, 꿀에 재어서 먹으면 더욱 좋습니다. . 이와 같이 하여 매일 껍질을 달여 마시고 알맹이는 씹어 먹으면 치질 중상이 가벼운 사람은 5근 정도만 복용해도 완치가 되고 정도에 따라 7근, 10근, 15근까지만 복용하면 아무리 심한 치질이라 하여도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비자를 복용하면 일거양득의 효과로서 몸 안의 기생충을 구제 할 수 있는데, 가장 구충 효과가 큰 것은 촌충과 요충으로 비자 껍질만 꾸준히 달여 먹으면 완전히 체내에서 녹아 버린다고 합니다.오줌싸개 아이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비자(榧子, Torreya nucifera)는 주목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교목으로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비자나무는 한방과 민간에서는 과실을 구충, 발모, 건위, 조경, 장출혈 등에 약재로 이용한다.
비자나무의 잎과 종자에서 분리, 보고된 성분으로는 세스퀴터페노이드 (sesquiterpenoids), 라브단(labdane) 계열과 아비에탄(abietane) 계열, 디터페노이드(diterpenoids)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이 있으며 비자나무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아비에탄 디터페노이드계 화합물에서 저밀도 지질 단백질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콜레스테롤 전이효소(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에 대한 우수한 저해 활성이 있어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합성 및 축적으로 유발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천연기념물 비자나무소개
진도임회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111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111&nation=S
진도임회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111 호)
병영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39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039&nation=S
병영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39 호)
사천곤양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287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287&nation=S
사천곤양면의 비자나무 (천연기념물 제 287 호)
백양사 비자나무분포북한지대 (천연기념물 제 153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153&nation=S
백양사 비자나무분포북한지대 (천연기념물 제 153 호)
해남연동리의 비자나무숲 (천연기념물 제 241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241&nation=S
해남연동리의 비자나무숲 (천연기념물 제 241 호)
고흥금탑사의 비자나무숲 (천연기념물 제 239 호)
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239&nation=S
고흥금탑사의 비자나무숲 (천연기념물 제 239 호)
=============================================================================================================================
바로가기
주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비자나무 | 珍島의 植物
비자나무 - 비자의 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비자나무 - 포토 | 珍島의 植物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박나무 (0) | 2012.02.05 |
---|---|
풍겐스소나무 - 포토 (0) | 2012.02.05 |
자라풀 (0) | 2012.02.04 |
자두나무 (0) | 2012.02.04 |
자금우 (紫金牛) (0) | 201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