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섬매발톱나무

호남인1 2011. 12. 31. 12:36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 s Nak

 

 

 

 

학명: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 s Nak.

이명: 섬매자나무, /원산지: 한국 (특산식물) /분포: 한국(제주도) 

분류: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수형: 반구형. /크기: 높이 2m 내외. 

 

낙엽활엽성 관목

매발톱나무의 변종으로, 잎은 매발톱나무보다 작고 톱니가 있으며, 꽃은 총상(總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게 익는다. 가지와 잎은 약이나 물감 재료로 쓰인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산림청이 선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며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섬매발톱나무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6493

 

 

 

잎은 새가지에서는 호생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며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3cm로서 예리하고 모상(毛狀)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열매는 장과로서 장타원형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며 지름 1cm이고 총상화서는 길이 10cm이며 반쯤 처지고 10-20개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0mm이고 꽃잎은 약간 미요두이다.

 

높이가 2m에 달하고 소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가 크며 3출하고 길이 1-2cm이다.

 

 

섬매자나무 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1,400m 이상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며 가지가 많고 작은 가지에 홈이 있다. 2년생 가지는 회색 또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며 가시가 크고 3개로 갈라진다.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가시가 더 크고 잎과 열매가 작으며, 매자나무에 비해 생육속도가 느린 편이다. 

 

 

잎은 새 가지에서는 어긋나며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 나는 것처럼 보인다.

길이 1~3cm의 거꾸로 선 바소 꼴 이며 가장자리에 털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을 띤다.

본종인 매발톱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털 모양의 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차례(花序) -  총상꽃차례(총상화서)

 

꽃은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짧은 가지 끝에 10~20송이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2~3cm로 짧고 아래로 반쯤 처져 있다.

꽃잎은 6장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꽃받침조각은 6개로 밑 부분에 2~3개의 작은 포(苞)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지름 1c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9월에 붉게 익으며 잎이 떨어진 뒤에도 겨울까지 달려 있어 조경수로 많이 심는다.

 

 

생육환경

반그늘에서 잘 적응하며 재배가 용이하다. 내염성, 내공해성이 강하지 못하므로 식재시 선정에 주의를 기울린다. 햇빛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고 비옥한 토양에서 자생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재배.번식 방법

6월 초순 또는 8월 하순경에 녹지삽목을 하면 발근이 잘된다. 가을철에 잘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 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10℃의 습한 모래나 버어미큘라이트 등에 습적하여 싹을 틔워 파종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파종기: 3월, 4월  /이식기: 3월, 4월, 10월, 11월  /결실기: 9월, 10월  /삽목기: 5월, 6월 

 

 

약용으로서 뿌리, 뿌리껍질, 줄기, 줄기껍질을 위장염, 세균성이질, 장티브스, 소화불량, 황달, 간경화복수, 비뇨계감염, 급성신염, 편도선염, 구강염, 폐염, 기관지염, 결막염, 자궁출혈, 임파결핵, 타박상 등에 쓴다. 

 

분류학적 위치의 재검토 및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유사종

▶매자나무(B. koreana)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a)

▶당매자나무(B. poiretii)

▶왕매발톱나무(B. amurensis var. latifolia Nak.) : 잎이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울릉도 및 강원도에서 자란다.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한극서식 8속의 종

 

깽깽이풀속 (Jeffersonia) 1종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Hook.f. ex Baker &S.Moore)

 

꿩의다리아재비속 (Caulophyllum) 1종

꿩의다리아재 (Caulophyllum robustum Maxim.)

 

남천속 (Nandina) 1종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매자나무속 (Berberis) 8종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K.Schneid.)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Palib.)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연밥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var. ellipsoides Nakai)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DC.)

좁은잎매자 (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

 

뿔남천속 (Mahonia) 2종

뿔남천  (Mahonia japonica (Thunb.) DC.)

중국남천 (Mahonia fortunei (Lindl.) Fedde)

 

삼지구엽초속 (Epimedium) 1종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Nakai)

 

세잎풀속 (Achlys) 1종

세잎풀 (Achlys japonica Maxim.)

 

한계령풀속 (Leontice) 1종

한계령풀 (Leontice microrhyncha S.Moore)
 

 

=====================================================

 

 

 

 

 

 

-----------------------------------------------------------------------------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t__nil_loginbox=cafe_list&nil_id=2

floma / http://floma.kr/xe/?mid=WildFlowe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wfc_01

 

 

 

 

============================================================================================================================

바로가기

 

매자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매자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섬매발톱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자리공   (0) 2011.12.31
섬백리향   (0) 2011.12.31
섬말나리 - 포토  (0) 2011.12.31
섬단풍나무   (0) 2011.12.31
섬기린초   (0) 201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