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돌나물
Tillaea aquatica L.
학명: Tillaea aquatica L.
종코드(url_no): 39716 /이명: 바눌돌나물, 가시돌나물, 비늘돌나물, 각시돌나물 /영명: /꽃말:
분류: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 돌나물과 > 대구돌나물속
원산지: 한국 /분포: ks동시.창령군 /서식: 습지 /크기: 높이 2-6cm /개화: 5-6월
생약명:
1년생초본
돌나물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6cm이며 잎은 돌나물과 비슷하나 두 개의 잎이 마주나고 흰 꽃이 핀다. 습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Crassulaceae(돌나물과)
잎은 대생하며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5~8mm, 폭1mm로서 밑부분이 서로 합쳐지며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골돌로서 속에 10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종자는 긴 타원형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엽액에 1개씩 좌우교대로 달리며 화경(花莖)이 없고 꽃받침은 깊게 4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1.5mm로서 백색이다. 4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고 꽃잎보다 짧으며 자방 밑에 선상의 인편이 4개 있고 자방은 4개로서 서로 떨어져 있다.
높이 2-6cm이고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유럽 / 한국(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남도 창녕군)
1년초.
습지에서 자란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겉으로 보기에는 개미자리와 비슷하다.
============================================================================================================================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대구돌나물
Tillaea aquatica L.
이명 :가시돌나물
분류체계
• - 현화식물문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돌나물과 >>대구돌나물속
• - MAGNOLIOPHYTA >>MAGNOLIOPSIDA >>ROSIDAE >>ROSALES >>CRASSULACEAE >>Tillaea
보호관리 현황 (이력)
•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취약(VU) B2ab(iii)
IUCN범주 :자료없음
개요
돌나물과의 한해살이풀로 강가 습한 모래땅에 자란다. 줄기는 높이 2~6cm로 아래쪽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서로 마주 보며 달리고 길이는 5~8mm,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하얀색 꽃은 4~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좌우로 핀다. 열매는 골돌(??)로 익는다.
강 주변의 모래땅 또는 물기가 많은 땅에서 자란다.
주로 경남, 경북 지역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 몽고, 러시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대구에서 처음 발견되고, 안동과 서울에서도 발견되었으나 이들 지역에서는 분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 부산과 제주에서 자라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산 개체군은 300여 개체로 이루어져 있다. 습지 개발로 인한 자생지 파괴가 위협 요인이다.
분류학적 특징
한해살이풀로 높이 2-6cm로 자란다. 아래쪽에서 많은 가지가 나온다. 선상 피침형 잎은 서로 마주보며 달리고 길이는 5-8mm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하얀색 꽃은 4-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좌우로 핀다. 열매는 골돌로 익는다.
분포현황
주로 경남, 경북 지역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 몽고,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강 주변의 모래땅 또는 물기가 많은 땅에서 자란다.
위협요인
대구에서 처음 발견되고, 안동과 서울에서도 발견되었으나 이들 지역에서는 분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 부산과 제주에서 자라고 있는것이 확인되었다. 부산 개체군은 300여 개체로 이루어져 있다. 습지 개발로 인한 자생지 파괴가 위협 요인이다. 종 및 자생지에 대한 특별한 보호 대책이 없다.
참고문헌
Son, S.-W, B.-C, Lee, H.-H. Yang and Y.-J Seol. 2011.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 280-286.
돌나물속(Sedum)은 수술이 꽃잎수의 2배인데 비해서 수술이 꽃잎 수와 같으며, 국내에는 한 종이 있다. 잎이 가시처럼 가늘어서 ‘가시돌나물’, ‘바늘돌나물’ 등으로 불린다. 물속에서는 곧추 자라지만, 물 밖에서는 넓게 퍼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황정아재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다향/김복진님, 안단테님,
============================================================================================================================
바로가기
돌나물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대구돌나물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꽃 (0) | 2016.01.26 |
---|---|
돌꽃속 (0) | 2016.01.26 |
낙지다리 (0) | 2016.01.26 |
키큰꿩의비름 (0) | 2016.01.26 |
자주꿩의비름 (0) | 2016.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