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통발과

호남인1 2016. 1. 22. 13:53

 

 

 

 

 

 

통발과

Lentibulariaceae

 

 

 

 

생물분류

 

: 식물계(Plantae)

: 현화식물문(Anthophyta)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 통꽃식물목(Tubiflorales)

: 통발과(Lentibulariaceae)

 

분류: 식물계 > 현화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통발과

 

쌍떡잎식물문 통화식물목의 한 과.

 

전 세계에 분포하는 초본으로 5속 300종이며, 물속이나 습지에 서식하는 습생식물로 1년생 또는 다년생 식충식물이다. 우리나라에 2속 8종이 자생한다.

밑부분의 잎은 모여나와 로제트형으로 퍼지며 중앙부의 잎은 어긋나고, 공기 중에서는 주걱형이나 물속에서는 잘게 갈라져 벌레잡이주머니로 되는 것도 있다.

꽃은 양성화이며 양순형(兩脣形)이다.

수술과 헛수술이 각각 2개이며 암술머리는 상하 2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상위(上位)로서 1실이다.

열매는 삭과(-果)이며 종자에는 배젖이 없다.

============================================================================================================================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의 화서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의 화서

 

 

 

============================================================================================================================

위키백과

 

 

통발과

Lentibulariaceae

 

하위속

겐리시아속 (Genlisea)

벌레잡이제비꽃속 (Pinguicula)

통발속 (Utricularia)

 

통발과꿀풀목의 과이다.

 

분포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약 3속의 300여 종 가량이 포함되는 비교적 작은 과이다. 한국에는 벌레잡이제비꽃속통발속 등의 2속 7종 정도가 자라는데, 모두 식충식물로서 잎에는 벌레를 잡는 기관이 발달되어 있다.

 

특징

습지 또는 물 속에서 자라는 초본으로서, 잎은 로제트 모양이며 어긋나는데 종종 오그라들어 비늘조각 모양이 되기도 한다. 꽃은 좌우대칭인 양성화로서 입술 모양이다. 한편, 꽃부리의 밑부분에는 4개의 수술이 붙어 있는데, 그 중 2개는 작은 크기로 퇴화되어 있다. 씨방은 상위로 1개의 방을 가지는데, 그 가운데에는 여러 개의 밑씨가 달린 1개의 둥근 태자리가 있다. 암술은 아주 짧으며, 암술머리는 보통 둘로 갈라져 있고 열매는 삭과이다.

 

통발류와 같은 과에 속하며 근연관계에 있는 벌레잡이제비꽃속(Pinguicula)은 35종의 육상식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잎 표면에 나 있는 끈적끈적한 분비샘으로 곤충을 잡아 특수화된 잎가장자리에 먹이를 놓고 돌돌 말아 소화시킨 뒤 다시 잎을 펼친다. 그밖에 통발과에는 겐리세아속(Genlisea : 15종)과 폴리폼폴릭스속(Polypompholyx : 12종)이 속한다. 이 과는 관상적인 가치나 신기함으로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 이외에는 경제적으로 거의 가치가 없다.

 

이삭귀개 (Utricularia racemosa Wall.)

 

 

 

 

 

 

============================================================================================================================

국내서식 통발과(Lentibulariaceae) 2속 바로가기

 

 

벌레잡이 (Pinguicula) 2종

통발 (Utricularia) 8종

 

 

 

벌래잡이속의 식물들은 잎이 포충기이다.

날아다니는 작은곤충이 잎에 앉으면 비교적 빠르게 잎의 표면적을 넓혀 먹이를 말거나 그릇모양을 만들어 담는다.

(굴촉성) 잎은 마는 것은 먹이를 소화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빗물에 먹이가 씻겨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

국내서식 통발속(Utricularia) 9종 특징요약

 

개통발 (Utricularia intermedia Hayne)

들통발 (Utricularia pilosa Makino)

땅귀개 (Utricularia bifida L.)

북통발 (Utricularia ochroleuca R.Hartm.)

실통발 (Utricularia multispinosa (Miki) Miki)

이삭귀개 (Utricularia racemosa Wall.)

자주땅귀개 (Utricularia yakusimensis Masam.)

참통발 (Utricularia tenuicaulis Miki)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

국내서식 벌레잡이속(Pinguicula) 2종 바로가기

 

 

벌레잡이제비꽃 (Pinguicula vulgaris var. macroceras (Link) Herder)

털잡이제비꽃 (Pinguicula villosa L.)

 

 

 

벌레잡이제비꽃 (Pinguicula vulgaris var. macroceras (Link) Herder)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북야생화(들꽃맟이) http://www.jbwildflower.or.kr/

 

 

체코의 음악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는 베드리히 스메타나가

스스로도 알 수 없는 무엇인가에 대한 형언키 어려운 동경을 가지고 작곡했다는

그의 자전적인 음악, 현악 4중주 in E minor, "나의 생애에서, From My Life"를

이러한 작품 뒤에 숨어 있는 이야기와 함께 한번 감상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스스로도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끊임없이 동경하는 존재인 것같습니다.

The Jasper String Quartet이 연주합니다.


 

    

 

1악장:  Allegro vivo apposionato



 

2악장:  Allegro moderato a la Polka


 

3악장:  Largo sostenuto

 

4악장:  Vivace


 이동활의 음악정원

 

============================================================================================================================

바로가기

 

현화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통화식물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발  (0) 2016.01.22
통발속  (0) 2016.01.22
음나무속  (0) 2016.01.22
오갈피나무속  (0) 2016.01.21
두릅나무속  (0) 20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