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주름제비란속

호남인1 2016. 1. 18. 18:38

 

 

 

 

 

 

주름제비란속

Gymnadenia

 

 

 

 

분류 : 피자식물문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주름제비란속

 

 

주름제비란속 (Gymnadenia)난초과 (Orchidaceae)의 한 속(屬)이다.

국내에는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을 비롯하여 5종이 분포서식하고 있다.

 

제비란류는 포태제비난, 주름제비란, 산제비란, 제비란, 개제비난, 고산제비란, 나도제비란, 흰제비란, 갈매기난초, 나도잠자리란 등이 국내에 자생하고 있다.

제비란류는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는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품종이며, 낮은 지역에서 고산지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

 

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L.) R.A.Br)

 

 

 

 

 

 

============================================================================================================================

국내서식 주름제비난속 (Gymnadenia) 5종 바로가기

 

 

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L.) Rich.)

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L.) R.A.Br)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var. variegata Y.N.Lee)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

흰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

국내서식 주름제비난속 (Gymnadenia) 5종 특징요약

 

 

 

-------------------------------------------------------------

1. 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L.) Rich.

 

 

 

2개 혹은 3개의 근생엽은 엽초상의 짧은 엽병이 있으며 엽신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급첨(急尖) 또는 점첨두(漸尖頭)이며 원저(圓底)거나 설저(楔底)이고 길이 2.5-7cm, 폭 1-3.5cm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위쪽에 몇 개의 포엽이 달려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10-20개가 길이 4-11cm되는 총상화서의 한 쪽에 치우쳐 핀다. 포는 작아서 자방보다 약간 길거나 짧다. 윗꽃받침은 길이 5-7mm이고 끝이 뾰족하며 옆꽃받침잎도 길이 5-7mm이나 약간 구부정하다. 꽃잎은 선형으로 꽃받침잎보다 약간 짧으며 꽃받침잎과 더불어 1맥이 있고 피침형이다. 순판은 곧추서며 좁고 긴 쐐기형으로 길이 7-8mm이고 3개의 선상조각으로 갈라지며 자주색 점이 있고 열편은 좁은 선형이고 중앙열편이 가장 넓다. 거(距)는 가늘며 화피보다 길고 안으로 굽는다. 

 

높이 10-20cm이고 곧추서며 가늘고 털이 거의 없으며 큰잎이 밑부분에 연속해서 달린다. 

땅속에 길이 1cm, 지름 0.6mm의 구형 또는 타원형의 구근이 있으며 근경에서 몇갈래 가는 뿌리가 난다. 

 

 

 

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L.) Rich.)

 

 

 

 

 

-------------------------------------------------------------

2. 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L.) R.A.Br

 

 

 

잎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6-20cm, 나비 1-4cm 정도로 끝이 뾰족하지만 밑부분의 것은 끝이 둔하다. 

 

삭과는 길이 10mm가량의 타원형으로 자루가 없고 9월에 익는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자색이고 화서는 길이 7-15㎝로서 꽃이 빽빽하게 달리며 포는 넓은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꽃과 길이가 같다. 꽃받침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4-5mm로서 퍼지며 2-3맥이 있고 꽃잎은 일그러진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짧다. 순편은 사각상 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거의 비슷한 크기로 3개로 갈라지고 거(距)는가늘며 길이 15mm정도이다. 

 

곧추 서며 가지를 치지 않고 털이 없다. 

뿌리의 일부분이 손바닥처럼 굵어지며 4-6개의 잎이 호생한다. 

 

 

 

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L.) R.A.Br)

 

 

 

 

 

 

-------------------------------------------------------------

3.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var. variegata Y.N.Lee

 

 

 

2개 혹은 3개의 근생엽은 엽초상의 짧은 엽병이 있으며 엽신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급첨(急尖) 또는 점첨두(漸尖頭)이며 원저(圓底)거나 설저(楔底)이고 길이 2.5-7cm, 폭 1-3.5cm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위쪽에 몇 개의 포엽이 달려 있다. 잎면에 자줏빛 반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10-20개가 길이 4-11cm되는 총상화서의 한 쪽에 치우쳐 핀다. 포는 작아서 자방보다 약간 길거나 짧다. 윗꽃받침은 길이 5-7mm이고 끝이 뾰족하며 옆꽃받침잎도 길이 5-7mm이나 약간 구부정하다. 꽃잎은 선형으로 꽃받침잎보다 약간 짧으며 꽃받침잎과 더불어 1맥이 있고 피침형이다. 순판은 곧추서며 좁고 긴 쐐기형으로 길이 7-8mm이고 3개의 선상조각으로 갈라지며 자주색 점이 있고 열편은 좁은 선형이고 중앙열편이 가장 넓다. 거(距)는 가늘며 화피보다 길고 안으로 굽는다. 

 

높이 10-20cm이고 곧추서며 가늘고 털이 거의 없으며 큰 잎이 밑부분에 연속해서 달린다 

땅속에 길이 1cm, 지름 0.6mm의 구형 또는 타원형의 구근이 있으며 근경에서 몇갈래 가는 뿌리가 난다.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var. variegata Y.N.Lee)

 

 

 

 

 

 

-------------------------------------------------------------

4.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

 

 

 

 

잎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5㎝, 나비 3-8㎝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많이 진다.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화서는 길이 5-15㎝로서 꽃이 많이 달리며 포는 녹색이고 피침형으로서 꽃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며 길이 5mm정도로서 3맥이 있고 꽃잎은 사란형(斜卵形)이며 꽃받침보다 짧다. 순판은 길이 6mm정도로서 3개로 얕게 갈라지고 측열판은 중앙열편보다 길며 거(距)는 굽고 길이 3-5mm로서 끝이 둔하다. 

 

높이 30-60cm이고 4-5개의 잎이 호생한다. 

뿌리의 일부분이 굵어진다.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

 

 

 

 

 

-------------------------------------------------------------

5. 흰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잎은 4~6장이 호생하며, 긴 원형 , 넓은 피침형이고, 기링 10~20cm, 너비 1~2.5cm, 밑동은 줄기를 싸고, 비늘잎은 수 장, 줄기의 윗부분에 붙는다. 

 

다수의 꽃이 이삭화서를 이루고, 포는 럽은 피침형, 꽃받침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길이 4~5mm, 곁꽃잎은 넓은 난형, 꽃받침보다 짧다. 입술꽃잎은 사각상 원형이고, 길이 6~8mm, 끝이 3갈래, 거는 가늘고, 길이 15~20mm이다. 

 

뿌리는 손바닥 모양이다. 

 

손바닥난초와 닮았으나 흰색 꽃이 피며, 손바닥난초가 나는 곳에 드물게 난다. 

 

 

흰손바닥난초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

 

 

 

 

 

 

 

 

============================================================================================================================

한국 야생난 한살이백과

 

 

제비란류

 

 

 

 

제비란의 종류

 

제비란류는 포태제비난, 주름제비란, 산제비란, 제비란, 개제비난, 고산제비란, 나도제비란, 흰제비란, 갈매기난초, 나도잠자리란 등이 국내에 자생하고 있다.

 

제비란류는 일부 품종을 제외하고는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품종이며, 낮은 지역에서 고산지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산제비란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품종으로 낮은 지역의 습기가 조금 있거나 마른땅 주변의 양지쪽에서 많이 볼 수 있고, 고산제비란, 포태제비난, 개제비난은 고지가 높은 고산지역의 습기가 많고 공중습도가 풍부한 곳에서 자란다. 종류에 따라 생육환경 및 생태환경도 다르게 나타난다.

 

제비란은 꿀샘(거, 距)의 모양이 위로 올라가는 모양이어서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그래서 예년에는 "하늘산 제비란"이라 부르기로 하였다. 또한, 갈매기난초는 자생지가 제주도와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충청지역 해안에서도 새로운 자생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흰제비란은 다른 제비란류과 달리 습기가 많은 곳이나, 땅은 건조하지만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도 일부 개체가 자생하는 등 여러 곳에서 자생하고 있었다.

 

나도제비란은 꽃 색이 다양해서, 붉은색이 강한 것부터 연한 붉은색을 가진 꽃 등 화색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드물게 흰색의 개체가 발견되고 있기도 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모습이 오리를 닮았다고 하여 오리난초라고도 부른다.

 

포태제비난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품종이기는 하나 자생지가 백두산이어서 쉽게 볼 수 있는 품종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개제비난은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므로 관찰이 가능한 품종이다. 이 두 품종은 형태가 거의 유사한데, 개제비난은 입술꽃잎이 3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데 갈래가 가장 작으며 포태제비난은 전체적으로 갈래의 크기가 서로 비슷하여 이로써 구별한다.

 

특정 지역에서 자생하는 주름제비란은 외국에서도 원예종으로 유사한 품종들이 많이 육종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자생지인 울릉도에서의 생육환경도 해마다 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더불어 복원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 인디카 별꽃 민경화님

 

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L.) Rich.)

 

 

 

점박이구름병아리난초 (Gymnadenia cucullata var. variegata Y.N.Lee)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북야생화(들꽃맟이) http://www.jbwildflower.or.kr/

 

 

주름제비란 (Gymnadenia camtschatica (Cham.) Miyabe &Kudo) 

 

 

 





Schubert  1797 ~1828
Piano Sonata No.5 in A-flat major, D 557


1,2,3.........순으로 이어듣기

1. Allegro moderato   4'09
2. Andante   3'11
3. Allegro  4'28





 

 

============================================================================================================================

바로가기

 

 

난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병아리난초  (0) 2016.01.18
주름제비란  (0) 2016.01.18
김의난초  (0) 2016.01.16
민은난초  (0) 2016.01.16
꼬마은난초  (0) 2016.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