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은난초
학명: Cephalanthera erecta var. oblanceolata N. Pearce &P.J. Cribb.
종코드(url_no):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은대난초속
원산지: 한국 /분포: 화성시 /서식: /크기: 18~ 30cm /개화: 5월
생약명:
다년생초본
순판에 거가 없다는의미에서 민은난초로 신칭하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민은난초 / 미 기록종
-------------------------------------------------------------
국명: 민은난초
학명: Cephalanthera erecta var. oblanceolata N. Pearce &P.J. Cribb.
분포: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특징:
꽃은 희며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으며 끝이 둥글다.
키는 18~ 30cm이며 입술꽃잎이 변하지 않고 거(꽃부리)가 없다.
순판에 거가 없다는의미에서 민은난초로 신칭하였다.
참고문헌
이창숙 ( Chang Shook Lee ) , 엄상미 ( Samg Mi Eum ) , 최선아 ( Sun A Choi ) , 이남숙 ( Nam Sook Lee ) : 한국식물분류학회 , 식물분류학회지 | 39권 4호
------------
민은난초
바로 2009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를 통해 국내에 처음 보고 된 민은난초입니다.
이 민은난초는 은난초와 너무 유사하여 꽃이 피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분이 쉽지 않고, 꽃이 피어야 비로소 구분이 됩니다.
은난초는 순판에 거가 있는데, 반해 민은난초는 순판에 거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동 논문에서는 기술하고 있습니다.
거가 없으니 '민-'이 붙어 민은난초가 된 것입니다. 만약, 전주 이씨 씨조의 무덤가에서 발견 되었다면 이의난초가 될 수도 있었는데, 아깝습니다(제가 전주 이가거든요. ㅎㅎ)
이 민은난초는 거가 없는 변이로 은난초가 많은 군락에서 잘 찾아보면 발견이 되곤 합니다. 민은난초의 존재를 모르면 은난초겠거니 하고 그냥 넘어가는데, 알고 잘 살피는 의외로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민은난초인 것 같습니다.
출처: indica 자료실 꽃이야기 /안단태님글 은대난초속 식물이야기중에서 --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紅枾님, 황정아재님, 별꽃/민경화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작은산님, 여로님,
전북야생화(들꽃맟이) http://www.jbwildflower.or.kr/ 초록뫼님,
============================================================================================================================
바로가기
난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은대난초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민은난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름제비란속 (0) | 2016.01.18 |
---|---|
김의난초 (0) | 2016.01.16 |
꼬마은난초 (0) | 2016.01.16 |
은난초 (0) | 2016.01.16 |
금난초 (0) | 2016.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