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거미난

호남인1 2016. 1. 8. 06:59

 

 

 

 

 

 

거미난

학명: Taeniophyllum glandulosum Blume 

 

 

 

 

종코드(url_no): 30361 /이명: 거미난, 거미난초, 거머리란, 구름난초, 구름란초 /영명: /꽃말:

분류: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거미난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중국,일본,대만,히말라야,말레이사아 /서식: 바위 겉이나 수간 /크기:

생약명:

 

다년생착생식물

난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잎이 없으며 뿌리가 방사상으로 뻗어 나무껍질에 붙어서 자란다. 5~6월에 연한 녹색 꽃이 핀다. 제주도에 분포한다. 학명은 Taenoophyllum aphyllum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거미난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0361&mn=KFS_28_01_02_01

 

 

 

 

 

 

 

 

 

-------------------------------------------------------------

잎이 없다. 

 

열매는 길이 4-5mm로서 도란상 타원형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4-7mm의 화경끝에 1-3개가 달리고 연한 녹색이며 포가 아주 작다. 꽃받침은 퍼지지 않고 피침형이며 길이 2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꽃잎과 합생한다. 꽃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순판은 피침형이며 밑부분에 주머니 같은 거(距)가 있고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며 끝이 접혀서 길게 뾰족해진다. 예주는 극히 짧고 밑부분이 순판과 합생한다. 

 

줄기는 짧거나 없다. 

 

뿌리는 방사상으로 뻗으며 길이 2-3cm, 폭 1-2mm로서 녹백색이고 거미가 기어가듯 수간에 붙는다. 

 

한국,중국,일본,대만,히말라야,말레이사아원산이다.

일본,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히말라야 / 한국 (제주도) 

다년초. 

바위 겉이나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식재요령 :

착생하고 있던 것을 일단 떼어내면 헤고판 등에 다시 착생시켜 뿌리를 길게 뻗게 하는 것은 어렵다.

될 수 있으면 착생하고 있는 가지와 줄기를 구하며, 굵은 것은 그것을 걸어서 재배한다.

그 가지가 가늘 경우는 헤고판에 고정을 시키고 이것을 수태로 분에 심는다.

수태는 항상 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습도를 높인다. 또 떨어진 것은 활착하고 있는 풍란이나 나도풍란 등의 착생난의 뿌리에 얽히게 해서 끈으로 고정한다.

착생시킬 헤고판은 뿌리의 섬유가 치밀하고 견고한 것이 좋다. 적기는 새뿌리가 자라기 전의 4월중순-5월중순이다.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세계에 약 120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착생성 소형 난이다. 뿌리의 형태가 거미를 닮아 거미난이다.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거미난

학명: Taeniophyllum glandulosum Blume

 

크기: 2~3cm /개화시기: 5월~6월

분포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말레이시아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잎이 없으며 뿌리는 방사상으로 속생하고 길이 2~3㎝, 너비 1~2㎜이며 회록색으로 편평하고 거미가 기어가듯 나물줄기에 붙는다.

 

꽃은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길이 4~7㎜의 꽃대 끝에 1~3개가 달리고 포는 3각형으로 길이 1㎜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 조각은 퍼지지 않고 피침형으로 길이 2㎜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꽃잎과 합착하여 통형으로 된다.

꽃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꽃받침보다 다소 짧다.

순판(脣瓣)은 피침형으로 밑부분에 주머니 같은 거가 있고 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말리며 끝이 접혀서 길게 뾰족해진다.

예주(蕊柱)는 극히 짧고 기부가 순판과 합생한다.

 

과실은 도란상 타원형으로 길이 4~5㎜이다.

 

본종은 녹색엽이 없고 뿌리가 방사상으로 벋어 나무에 착생한다.

 

생태적특징

양지바른 곳의 대형 저목(低木)에 착생한다. 제주에 나고 일본, 대만, 중국, 히말라야, 말레이시아에 분포한다.

 

 

Taeniophyllum biocellatum

 

 

 

 

 

 

============================================================================================================================

거미난초속

[Taeniophyllum Blume] 日 : Kumo-ran Zoku

 

 

세계에 약 120종, 우리나라에는 1종, 착생성 소형 난.

뿌리는 육질이고, 잎은 없거나 선형, 줄기는 짧거나 없음.

꽃줄기는 대단히 짧고, 꽃은 아주 작으며, 꽃자루는 가늘고 짧음.꽃받침과 곁꽃잎은 같은 모양이며, 입술꽃잎은 암술대 밑동에 붙고, 밑동이 부풀어 짧은 거(距)가 됨.측편은 거의 주위에 있고, 가운데 열편은 소형, 암술대는 아주 짧음.

-자료 :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Taeniophyllum lobatum

 

 

 

 

 

-------------------------------------------------------------

사진출처

 

워키피디아

 

 

 

 

 

============================================================================================================================

바로가기

 

 

난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자란  (0) 2016.01.08
금자란속   (0) 2016.01.08
포태제비난  (0) 2016.01.07
개제비난  (0) 2016.01.07
개제비난속   (0) 2016.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