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종자식물

호남인1 2015. 3. 5. 23:47

 

 

 

 

 

종자식물[種子植物]

Spermatophyte

 

 

종자로 번식하는 식물.

암술의 밑씨가 수술의 꽃가루를 받아 종자를 만든다.

식물 중 가장 진화한 무리로, 밑씨가 드러나 있는 겉씨식물과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는 속씨식물로 나뉜다. 전 세계에 약 25만 종이 있다.

=============================================================================================================================

 

 

 

 

 

 

=============================================================================================================================

 

위키백과

종자식물

 

 

생물분류

: 식물계

상문: 종자식물상문(Spermatophyta)

겉씨식물 (미분류)

  구과식물문 (Pinophyta)

  • 소철문 (Cycadophyta)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마황문 (Gnetophyta)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종자식물 (種子植物)은 를 퍼뜨려 번식하는 식물을 말한다. 예전에는 분류학상 종자식물문으로 묶고 겉씨식물강속씨식물강으로 나누었지만, 최근에는 5개 문으로 나누어 분류한다. (경우에 따라 종자식물상문으로 묶기도 한다.)

 

양치종자식물문 (Pteridospermatophyta)

겉씨식물 (미분류)

  소철문 (Cycadophyta)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구과식물문 (Pinophyta)

  • 마황문 (Gnetophyta)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소철문 (Cycadophyta)

 

 

 

 

 

=============================================================================================================================

 

생명과학대사전

종자식물

[ spermatophytes, 種子植物 ]

 

 

생활환의 일부에서 종자를 형성하는 식물을 총괄하는 분류단위.

현생식물에서는 겉씨식물과 속씨식물로 대별한다.

 

실제로는 꽃을 기준으로 하는현화식물과 같은 범위의 식물을 가리키지만, 양치식물에서도포자엽의 집합을 꽃으로 간주하여 종자식물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종자식물은 식물계에서 가장 진화된 군으로 세계에 20여만 종이 알려져 있으며 현재 지구 녹색식물의주상(主相)을 이룬다. 또한 분화도 가장 잘 되고 있다. 특히 사람에게는 식물 중에서 의식주의 원료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다.

 

종자식물 [spermatophytes, 種子植物] (생명과학대사전, 2008.2.5, 아카데미서적)

 

 

 

 

=============================================================================================================================

 

과학백과사전

종자식물

(Spermatophyta ; seedplants)

 

 

관다발식물 중 꽃이 피어 종자를 만드는 식물. 영양기관인 줄기·잎·뿌리는 잘 분화되어 있고, 관다발도 잘 발달해 있다.

생식기관은 꽃으로 영양기관에 부속한다.

종자식물은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대별 된다.

 

속씨식물은 한정성장을 하는 짧은 가지에 암술·수술이 생기고, 꽃바침·꽃잎 등의 화피(花被) 로 보호되어 있으며, 다른 영양기관으로부터 독립되어 수분(受粉)을 잘할 수 있도록 한데 모여 있다.

 

밑씨는 씨방에 포함되고, 속에 배낭(胚囊)을 만든다.

수정 후 밑씨는 종자가 되고 씨방은 과실이 된다.

 

종자식물의 성숙한 종자는 종피(種皮)·배젖·유식물(幼植物)로 이루어지는데, 그 영양원은 주병(珠炳)의 관다발을 통해 모(母)식물에서 섭취하거나, 또는 배젖이나 주심조직(珠心組織), 주피(珠皮)의 일부를 파괴해 흡수한다.

 

속씨식물의 성숙한 종자는 유식물을 속에 지닌 채 한때 휴면하며, 수분이나 온도 등의 조 건이 적합해지면 발아해 종자 속의 양분으로 성장한다.

 

겉씨식물의 경우, 종자는 성숙하더라도 배는 아직 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휴면하지 않고 성장을 계속한다.

종자식물에서 보통 발아 후 처음으로 나오는 잎은 떡잎인데, 그 수는 종속(種屬)에 따라 일정하며 형태도 보통잎과는 다르다.

유식물에서는 줄기의 반대쪽에서 뿌리가 형성되어 초생뿌리가 되는데, 이것은 곧 말라죽어 부정근(不定根)이 되는 수가 많다.

 

 

 

 

=============================================================================================================================

 

두산백과

종자식물

[ Spermatophyte, 種子植物 ]

 

 

암술의 밑씨[胚珠]가 수술의 꽃가루를 받아 종자를 만드는 식물로서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의 2대군으로 분류된다. 종자식물은 식물계에서 가장 진화한 군이며 지구의 식물의 대부분을 이루며 세계적으로 20여만 종이 알려져 있다.

 

전에는 현화식물(顯花植物)이라고 하였는데, 근년에는 꽃이 피는 식물은 화피가 있는 것에 한정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화피가 없는 것을 포함시킬 때는 종자식물이라고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고생대(古生代)의 페름기 때 지구상에 나타난 소철양치의 무리(잎은 현생의 양치식물과 비슷하고 종자를 만든다)에서 진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식물계의 큰 분류군을 ‘문(門)’이라고 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분류는 양치식물문과 평행하여 종자식물문을 두고, 그 밑에 겉씨식물아문과 속씨식물아문을 둔다.

 

양치식물과 종자식물은 진짜 뿌리·줄기·잎이 있고, 관다발이 있는 점에서 아주 비슷하지만, 전자에서는 배우체(配偶體)가 독립생활을 하여 분명한 세대교번(世代交番)을 볼 수 있는데, 후자에서는 배우체의 체제(體制)가 간단하며 자성배우체(雌性配偶體)는 독립되어 있지 않고 포자체(胞子體)에 기생하는 형태를 취하므로 세대교번이 뚜렷하지 않다.

 

종자식물은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의 2대군으로 분류된다.

겉씨식물은 꽃에 화피가 없고, 밑씨가 나출되며 수정 전에 배젖[胚乳]이 형성되고 중복수정을 하지 않는다. 떡잎은 몇 개에서 다수가 있고 물관부에는 헛물관[假導管]이 있다. 속씨식물은 꽃에 화피가 있고(드물게 없는 것도 있다), 밑씨는 씨방 속에 있어서 중복수정을 하며, 배젖은 그 후에 형성된다. 떡잎은 1개 또는 2개이며, 물관부에 물관[導管]이 있다(드물게 물관이 없고 헛물관이 있는 것이 있다).

 

종자식물은 식물계에서 가장 진화한 군이며 지구의 식물의 대부분을 이루며 세계적으로 20여만 종이 알려져 있다. 

 

종자식물 [Spermatophyte, 種子植物] (두산백과)

 

 

 

 

 

=============================================================================================================================

 

브리태니커

종자식물의 생식방법

 

 

식물이 자기와 닮은 개체를 만들어 종족을 유지시키는 현상(→ 생물학).속씨식물의 꽃의 구조종자식물은 겉씨식물 과 속씨식물 로 이루어지는데, 포자식물에서처럼 포자체가 생활사를 독점하고 배우체는 현미경적인 크기로 포자체 속에 기생한다.

겉씨식물의 씨는 대포자엽 위에 드러난 채로 달리는 반면, 속씨식물의 씨는 대포자엽이 말린 심피(心皮)라는 구조 속에 둘러싸여 있다.

 

속씨식물과 겉씨식물의 생식과정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숙시 씨를 생산하며 일명 밑씨라고 하는 대포자낭은 1~2층의 주피(珠皮)로 싸여 있다.

둘째, 주피를 통과하는 주공(珠孔)이라는 작은 입구가 있다.

셋째, 밑씨가 씨로 성숙하며, 하나의 대포자세포가 감수분열하여 4개의 대포자를 생산하고 그중 1개만이 살아 남아 기능한다.

넷째, 대포자가 대포자낭과 밑씨에서 방출되지 않으며 대포자낭과 밑씨에서 암배우체가 1개 생산된다.

다섯째, 소포자는 소포자낭 안에서 수배우체로 발달하며, 수배우체가 성숙하면서 꽃가루관을 내고 이를 통해 정자를 난세포로 운반한다.

여섯째, 정자와 난세포의 결합 및 접합자로부터 포자체로의 발생은 암배우체 안에서 이루어지며 배(胚)가 발생하면서 밑씨는 씨로 성숙한다.

 

이와 같은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씨의 위치를 비롯하여 다른 중요한 차이점에 의해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구별된다. 대부분의 속씨식물은 겉씨식물보다 그 생활사가 짧고, 배우체는 작고 간단하며, 겉씨식물이 갖고 있는 장란기는 없다.

 

겉씨식물의 꽃가루는 밑씨의 구멍에 직접 도달하나 속씨식물의 꽃가루는 대포자엽 표면을 통해 전달된다. 속씨식물에서 2개의 정자가 수정에 참여하여 난세포와 수정한 2배체 접합자는 배가 되고, 암배우체의 2개의 극핵과 수정한 3배체 핵은 영양저장조직인 배젖이 된다. 겉씨식물에서는 암배우체가 영양조직이 된다. 또한 속씨식물의 밑씨는 수정후 성숙하나, 겉씨식물의 밑씨는 수정 이전에 커지기 시작한다.

 

겉씨식물에서 소철류는 암수딴그루로 소포자낭과 대포자낭이 다른 포자체에 달린다. 대포자낭 또는 밑씨는 대포자수(대포자이삭)의 대포자엽 위에, 소포자는 소포자수(소포자이삭)의 소포자낭에서 형성된다. 소포자는 3세포 상태에서 바람에 날려 밑씨의 주공에 도달한다. 꽃가루받이부터 수정이 일어나기까지 수개월이 걸린다. 정자는 많은 수의 편모를 가지며 1개의 꽃가루관 안에 2~22개가 만들어진다. 여러 개의 장란기에서 생성된 난세포들이 수정하여 여러 개의 배를 만들지만, 단 1개만이 성숙하게 된다.

 

은행나무(Ginkgo biloba)도 암수딴그루이지만 꽃가루는 꽃가루받이 시 4세포이고 그후 3~4개월이 지나 수정이 일어난다. 소나무류는 암수한그루로 소포자수는 이른 봄, 대포자수는 가을에 성숙한다. 밑씨는 대포자수의 포자엽 인편 표면에 쌍으로 달리고, 소포자낭은 소포자엽 이면에 쌍으로 달린다. 꽃가루는 4세포 시기에 날리고 2개의 기낭(공기주머니)을 갖는다. 주공에 도달한 꽃가루는 14개월 후 꽃가루관을 내어 정핵을 장란기로 방출하여 수정시킨다. 수정란은 소철류와 은행나무에서처럼 여러 개의 배를 만드나, 1개만 성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생식과정에 2년이 소요된다.

 

속씨식물은 대부분 꽃을 갖고 있지만, 그것이 속씨식물의 근본적인 특징은 아니다. 속씨식물이 겉씨식물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은 밑씨가 심피에 싸여 있는 것이다.

 

꽃은 줄기의 끝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 여러 가지 형태의 꽃차례[花序]를 이룬다. 꽃차례에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간단히 예를 들면 단정(單頂)·총상(總狀)·원추(圓錐)·밀추(密錐)·산방(履房)·수상(穗狀)·미상(尾狀), 육수(肉穗)·산형(傘形)·기산(岐繖)·취산(聚繖)·두상(頭狀)·은두(隱頭)·배상(杯狀) 꽃차례 등이 있다.

 

이들 꽃차례는 분류군에 따라 중요한 인식형질이 되는데, 예를 들면 국화과(Asteraceae)는 두상꽃차례, 산형과(Apiaceae)는 산형꽃차례, 대극과(Euphorbiaceae)는 배상꽃차례이다. 완전한 형태의 꽃은 꽃잎[花瓣]·꽃받침잎·수술·암술로 구성되며 이들은 꽃받기[花托] 위에 달리고 만약 이들 부분 중 어느 하나라도 없는 경우 불완전화라고 한다.

 

꽃잎과 꽃받침은 암술과 수술을 보호하며 꽃가루받이 매개체를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로 붙기도 하고, 크기가 달라지기도 하며, 여러 가지 모양과 색을 띤다.

 

수술은 실 모양의 가는 수술대[花絲]와 그 끝에 달려 있는 꽃밥[葯]으로 구성된다. 수술은 수가 많고 나선상으로 배열하는 것에서부터 수가 적어지고 고리 모양으로 배열되는 것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개 꽃받기에 바로 붙어 있으나 꽃잎 위에 나는 경우도 있고, 수술대끼리 융합하는 경우, 꽃밥끼리 융합하는 경우, 수술의 크기가 몇 개는 길고 나머지는 짧은 경우도 있다.

 

암술은 밑씨를 포함하는 씨방[子房], 꽃가루를 수용하는 암술머리, 이 둘의 연결부위인 암술대로 구성된다. 암술은 심피(心皮)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種)에 따라 꽃받기 위에 1개의 심피로 이루어진 단자예(單雌蕊)와 2개 이상의 심피로 이루어진 복자예(複雌蕊)가 있고, 이들이 서로 융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떨어진 경우 이생심피(離生心皮), 융합되어 있으면 합성심피(合成心皮)로 나뉜다. 씨방 안에서 밑씨의 부착하는 태좌(胎座)의 종류에는 변연(邊緣)·중축(中軸)·측막(側膜)·독립중앙(獨立中央)·기저(基底) 등이 있다. 속씨식물에서 대부분의 꽃은 양성화이지만 암술 또는 수술만 있는 단성화도 있고, 단성화의 경우에도 단성화가 한 개체에 있는 암수한그루 형태, 다른 개체에 있는 암수딴그루 형태일 수 있다.

 

속씨식물의 소포자는 소포낭 안에서 소포자모세포의 감수분열로 생성되고, 소포자는 체세포분열을 하여 생식세포와 영양세포를 만든다. 영양세포는 꽃가루관이 나오면 꽃가루관 핵이 되고 생식세포는 분열하여 2개의 운동성이 없는 정자로 된다.

 

대포자는 밑씨, 즉 대포자낭의 주심(珠心)에 있는 1개의 대포자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하여 4개로 되지만 3개는 퇴화되고 단 1개만이 커져 세포분열을 통하여 8개의 핵(1개 난세포, 2개조세포, 2개 극핵, 3개 반족세포)을 갖는 배낭(胚囊)을 만든다. 따라서 배낭은 암배우체이며, 수배우체에서 만들어진 2개의 정자가 각각 1개의 난세포, 2개의 극핵과 수정하게 되는 이른바 중복수정(重複受精)이 일어나게 되고 그결과 각각 배와 배젖이 만들어진다. 꽃가루받이와 수정의 간격은 다양하여 참나무의 경우 12~14개월이 소요되나 민들레의 경우 15~45분밖에 소용되지 않는다.

 

한편 주피는 씨의 껍질[種皮]이 되어 배와 배유를 감싸고 씨방의 벽은 열매의 껍질[果皮]이 된다. 배는 성장기간 동안 배유의 영양을 소비하며 성숙하게 된다. 배는 줄기가 될 상배축(上胚軸)과 하배축(下胚軸), 뿌리를 낼 어린뿌리[幼根], 그리고 배유로 영양분을 흡수하거나 혹 영양분을 함유하는 떡잎[子葉]이 있다. 대부분의 배는 외떡잎식물에서 1개의 떡잎을 가지며 쌍떡잎식물에서는 2개를 가지거나 3~4개의 떡잎을 갖는다.

 

 

 

 

=============================================================================================================================

바로가기

 

식물[植物] | 식물도감(植物圖鑑)

관다발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현화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쐐기풀과  (0) 2015.03.06
쐐기풀목  (0) 2015.03.06
현화식물  (0) 2015.03.05
두송  (0) 2015.03.05
연필향나무  (0) 201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