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메타세콰이아

호남인1 2015. 2. 26. 01:57

 

 

 

 

 

메타세콰이아

학 명: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Cheng

 

 

 

 

 

 

 

 

종코드(url_no): 31645 /이 명: 수삼나무, 메타세쿼이아 /영명: Dawn Redwood /꽃말:

분 류: 식물계 > 나자식물문 > 구과식물 > 구과목 > 낙우송과 > 메타세콰이아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쓰촨성·후베이성, 한국 전역 /서식: /크기: 높이 35m, 지름 2m

생약명:

 

낙엽침엽교목

낙우송과에 속한 낙엽 침엽 교목. 높이 35미터, 지름 2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가을에는 붉은 갈색으로 단풍이 든다. 꽃은 단성화로 수꽃은 황색이고, 암꽃은 작은 가지에 하나씩 달린다. 살아남은 화석 식물로 중국의 쓰촨 성(四川省)과 후베이 성(湖北省)에 남아 있고, 우리나라 포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메타세콰이아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1645&mn=KFS_28_01_02_01

 

 

 

 

-------------------------------------------------------------

잎이 선형이며 두줄로 대생하고 길이 10-23mm, 나비 1.5-2mm로서 우상으로 배열되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둥글고 직접 소지에 달리지만 다시 넓어지면서 밑으로 흘러 날개처럼 튀어나오며 수평으로 돋아나고 신록색으로 부드러우며 가을에 벽돌색으로 빨갛게 단풍이 든다. 

 

열매는 구과로서 길이 18-25㎜이며 종자에 날개가 있고 인편이 십자형으로 붙은 것이 특징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2-3월에 핀다. 수꽃 화서는 총상화서로 액생하고 정단부에 나오며 원추상으로 2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 화서는 22-26개의 마주보는 실편을 가지며 아래고 처지고 3월에 개화한다. 

 

수피는 회갈색이다.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소지는 녹색이며 대생. 

중국 원산으로 전국, 공원수로 식재하고 있다.

원산지에서는 높이 35m, 지름 2m로 자란다. 

 

▶극양수로서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기 때문에 해가 잘 드는 곳이 좋다.

▶토질은 습기가 있는 비옥한 사질 양토가 이상적이며 건조한 땅이나 토박한 땅에서는 좋지 않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빠르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지극히 생장이 빠르다. 싹트는 힘이 왕성하며 전정도 가능하고 이식은 큰 나무를 이식하여도 말라 죽는 일이 적다. 그러나 이식 탈은 많은 편이며 묘목일 때는 이식이 잘 된다. 일본에서 식재 시험 결과 비교적 바람에 더 강하다는 것이 인정되었다. 

결실기: 11월 

 

이용

▶풍치목으로는 공원, 유원지, 관광지, 학교, 공장 지대의 녹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과 혹은 풍치 개발, 기념수, 교재 등을 들수 있고 공원, 유원지, 관광지, 전원 등의 가로수로 더욱 좋다. 기념수로 쓰이거나 조림수로도 쓰인다.

▶목재의 재질이 연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펄프용으로 많이 쓰인다. 

 

특징

▶석탄기 이전에 번성하였으나 현재는 중국 일부에서만 자생하고 있는,이른바 "살아 있는 화석"이라 불리우는 종이다.

▶Lequidambar 와 더불어 포항에서 화석이 나타났으며 기후의 변동 때문에 사라졌다는 의견을 뒷받침하듯 각종 상록활엽수의 화서과 함께 나타나고 있다.

▶1950년대 이후 그 분포가 널리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도입된 역사가 짧아 거목은 없다. 

 

 

 

 

 

 

=============================================================================================================================

 

두산백과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겉씨식물 구과목 낙우송과의 낙엽침엽 교목.

1억년전 백악기 공룡시대 화석에서도 발견되는 '살아있는 화석나무'라고 불리는 것.

학명: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분포지역: 중국 쓰촨성·후베이성, 한국 전역

크기: 높이 35m, 지름 2m

 

살아 있는 화석식물로서 중국의 쓰촨성[四川省]과 후베이성[湖北省]에 남아 있으며 한국에서는 포항에서 이것의 화석이 발견되었다.

높이 35m, 지름 2m에 달한다. 가지는 옆으로 퍼지며 수피는 갈색으로 벗겨진다.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마주난다.

 

잎은 줄 모양으로 마주나며 길이 10∼23cm, 나비 1.5∼2mm이다. 깃꼴로 배열되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작은가지에 달린 모양이 낙우송과 비슷하다. 가을에는 붉은빛을 띤 갈색 단풍이 들고 작은가지와 더불어 떨어진다.

 

꽃은 양성화로 4∼5월에 핀다. 수꽃은 노란색이며 작은가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달리고, 암꽃은 작은가지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구과로서 타원형이며 길이 1.5∼2.5cm로서 녹색에서 갈색으로 된다. 열매조각은 서로 어긋나게 마주난다.

 

가로수나 풍치수로 사용되며 실내의 방음장치, 포장재, 내장재 등으로도 사용된다.

한국 전역의 공원이나 도로변에 가로수로 널리 심는다.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두산백과)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메타세쿼이아

 

 

학명: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W. C. Cheng

 

개요

중국 원산으로 호수나 강가에 심어 기르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높이 35-50m, 지름 2.0-2.5m이다. 가지는 옆으로 퍼진다. 수피는 적갈색이나 오래된 것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져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선형으로 길이 3-7cm, 폭 1.5-4.0cm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잎 뒷면 중륵 양쪽에 4-6줄로 배열하는 기공이 있다. 웅성구과는 타원형, 잎이 나기 전에 꽃가루가 발생한다. 자성구과는 타원형이다. 열매는 구과, 씨는 길이 5mm쯤이다. 화석식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40년대에 중국 호북성에서 발견되어 신종으로 발표되었으며, 이후 중국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공원수, 가로수로 식재하고 있다.1)

 

국내분포: 전국(식재) /해외분포: 중국

서식지/생육지: 원산지에서는 강변에 자란다.

 

형태

낙엽 큰키나무이다. 높이 35-50m, 지름 2.0-2.5m이다. 가지는 옆으로 퍼진다. 수피는 적갈색이나 오래된 것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져 벗겨지며,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선형으로 길이 3-7cm, 폭 1.5-4.0cm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잎 뒷면 중륵 양쪽에 4-6줄로 배열하는 기공이 있다. 웅성구과는 타원형, 길이 2.5-5.5mm이며, 잎이 나기 전에 꽃가루가 발생한다. 자성구과는 타원형이고 성숙하면 길이 1.4-2.5cm, 폭 1.6-2.3cm이다. 열매는 구과, 씨는 길이 5mm쯤이다.

 

생태

잎이 나기 전인 2-3월에 꽃가루가 발생하고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

 

이용 및 활용

공원수, 가로수로 심는다.

 

해설

메타세쿼이어(Metasequoia)는 화석표본에 근거하여 1941년 일본의 식물학자인 S. Miki에 의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1943년 7월 C. Wang에 의해 중국 호북성 양쯔강 상류의 마도(磨刀)에 자생하는 메타세쿼이어가 채집되었으나, 당시에는 Glyptostrobus pensilis로 동정되었다. 이후 W. C. Cheng는 C. Wang의 채집품이 Gylptosrobus가 아닌 다른 속임을 인지하였고, 1946년 자생지에서 다시 채집된 표본을 검토한 H-H. Hu는 이를 Metasequoia로 동정하여 신종으로 발표하게 되었다(Ma, 2003). 메타세쿼이어속의 현존하는 유일종이다. 낙우송(Taxodium distichum (L.) Rich.)과 비교하여 잎이 마주나고 구과의 실편이 10개 미만이므로 다르다.

 

메타세쿼이아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

 

지구과학사전

메타세쿼이아 속

Metasequoia

 

 

나자식물의 구과류 또는 침엽수류(Coniferae)의 낙우송과(Taxodiaceae)에 속하는 식물을 말하며 수송이라고도 한다.

1941년 Miki가 일본의 기후현(岐阜縣), 애지현(愛知縣)의 제3기층에서 산출한 새로운 화석자료에 의해 세콰이아(Sequoia)로부터 분리시켜 낙우송과의 신속으로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를 설립하였다.

 

메타세쿼이아의 잎은 낙우송과에 속하는 세콰이아(Sequoia), 세콰이아덴드런(Sequoiadendron), 낙우송(Taxodium) 등과 비슷하다.

세콰이아는 현재 북미에서 서식하는 상록성 거목으로 높이가 100 m 이상, 직경이 6∼9 m에 달하고 수령이 1300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콰이아덴드런은 높이 100 m 이상, 직경이 30 m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거목이고 수령이 4000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낙우송은 북미에서 소택지나 호반의 습지에 서식하는 낙엽성 고목이다.

화석에 의해 메타세쿼이아의 속명이 설립되었지만, 그 후 중국의 호북성(湖北省)과 사천성(泗川省)의 경계 지역에 흐르고 있는 양자강의 한 지류인 마도계(磨刀溪)의 산골에서 자생하는 메타세쿼이아가 발견되어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et Cheng’의 학명이 붙여졌다. 그러므로 메타세쿼이아는 현생종이 발견되기 이전에 화석이 먼저 발견된 화석으로 유명하다.

 

메타세쿼이아는 화석기록이 나타나는 후기 백악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현저한 형태의 변화가 없다.

제3기에 북반구에 널리 분포했지만 현재는 유전적으로 한 지역에만 살아남아 있기 때문에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제3기층에서도 메타세쿼이아 옥시덴탈리스(Metasequoia occidentalis)가 산출되고 있다.

 

메타세쿼이아 속 [-屬, Metasequoia] (지구과학사전, 2009.8.30, 북스힐)

 

 

 

 

 

 

 

=============================================================================================================================

 

메타세쿼이아 재배법

 

 

 

생육환경 및 성질

 

생장이 무척 빠르며 싹트는 힘이 왕성하며 전정도 가능하고 이식은 큰 나무를 이식하여도 말라 죽는 일이 적다. 그러나 이식 탈은 많은 편이며 묘목일 때는 이식이 잘 된다.

 

 

 

재배

 

1) 적지

극양수로서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기 때문에 해가 잘 드는 곳이 좋다. 토질은 습기가 있는 비옥한 사질 양토가 이상적이며 건조한 땅이나 토박한 땅에서는 좋지 않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빠르다.

 

2) 이식

낙엽수이므로 낙엽진 후인 가을이나 싹트기 전인 봄에 이식한다. 조림수로 식재할 경우에는 1m~1.5m 정도의 큰 묘목을 심는 것이 안전하며 심을때는 앞으로 자랄 것을 미리 감안하여 넓게 장소를 잡아야 한다.

 

3) 시비 및 전정

 

4) 병충해

나무 병해충도감 참조바람

 

 

 

번식

 

▶번식은 실생 및 삽목에 의한다.

 

1.실생 :

종자는 ℓ당 76,300개가 들어가는데 가을에 채취하여 기건저장한 후, 파종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하였다가 파종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결실주가 없어 현재로는 실생번식은 거의 힘들다.

 

2.삽목 :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삽목으로 번식하고 있으며 삽목은 거의 100% 활착이 될 정도로 잘 된다.

시기는 3월경 싹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5~10cm 길이로 잘라 1/3가량 묻히게 모래나 흙에 꽂으면 40~50일 후에 발근하기 시작한다. 특히 건조에 약하므로 삽목상이나 이식 후에도 관수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묘상이나 받에 삽목하였을 때는 그대로 비배하였도 좋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장마 때 넓혀 심어 주면 가을까지는 30cm 정도로 자란다. 이식한 편이 잔 뿌리가 많이 난다. 또 장마가 지난 후 그해 자란 가지의 궅어진 것을 5~7cm 길이로 잘라 곧 물에 넣어 물을 올린후 봄에 삽목하는 요령으로 꽂는다.

 

여름에 삽목한 것은 봄에 한 것에 비하여 활착률은 훨씬 높으나 자라는데 2년이라는 시일이 걸리나 봄에 삽목한 것처럼 이식 후 고사하는 것이 적고 다음 해에는 1m정도 자란다. 삽수는 어린 나무에서 딴 것이 발근율이 좋고 7~8년 이상된 모수에서 딴 삽수는 발근제을 발라서 꽂는 것이 활착률을 높일 수 있는 비결이다.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뻐꾸기/양옥순님, 김광호님, 계원(桂苑) 김 종성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천년학님,

 

 

 

 

 

=============================================================================================================================

바로가기

 

낙우송 | 식물도감(植物圖鑑)

메타세콰이아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나무  (0) 2015.02.26
조몬삼나무 - 조몬스기  (0) 2015.02.26
넓은잎삼나무  (0) 2015.02.25
금송  (0) 2015.02.25
낙우송  (0) 201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