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세잎양지꽃

호남인1 2015. 2. 6. 06:00

 

 

 

 

 

세잎양지꽃

학 명: Potentilla freyniana Bornm. 

 

 

 

 

 

 

 

이 명: 털양지꽃, 털세잎양지꽃, 우단양지꽃 /영명: Freyn Cinquefoil /꽃말:

분 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양지꽃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서식: 산기슭의 풀밭이나 밭둑 /크기: 화경(花莖)의 높이 15-30cm

생약명: 全草(전초)는 三葉萎陵菜(삼엽위릉채), 根(근)은 三葉萎陵菜根(삼엽위릉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장미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잎은 뿌리에서 나오는데 잎자루가 길며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3~4월에 황색 꽃이 피며, 열매에는 주름이 있다. 우리나라, 일본,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세잎양지꽃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8140&mn=KFS_28_01_02_01

 

 

 

 

-------------------------------------------------------------

잎은 3출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경생엽은 엽병이 짧으며 전체에 털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원두 또는 둔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2~5cm, 폭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자주빛이 돌며 탁엽은 난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길이 1mm정도로서 주름살이 있으며 연한갈색이다. 

 

3-4월에 길이 15-30cm의 화경(花莖)이 나와서 꽃이 피며 취산화서를 형성하고 꽃은 지름 10-15mm 로서 황색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예첨두이고 표면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부악편은 선형이다. 꽃잎은 도란상 원형이고 요두이며 꽃받침보다 1.5배 정도 길고 암술과 수술이 많으며 화탁에 털이 약간 있다. 

 

굵고 짧은 뿌리에서 근생엽과 가지가 돋는다. 

 

우리 나라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화경(花莖)의 높이 15-30cm 

산기슭의 풀밭이나 밭둑에서 흔히 자란다. 

 

▶어린 잎을 나물로 한다.

 

 

 

 

 

생약명

全草(전초)는 三葉萎陵菜(삼엽위릉채), 根(근)은 三葉萎陵菜根(삼엽위릉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三葉萎陵菜(삼엽위릉채)

①여름에 개화한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消腫(소종), 鎭痙(진경), 淸熱(청열), 해독, 散瘀(산어),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骨結核(골결핵), 口腔炎(구강염), 나력, 타박상, 外傷出血(외상출혈), 癰腫(옹종), 정창, 痔瘡(치창), 小兒痙攣(소아경련)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어낸다. 또 粉末(분말)을 만들어서 살포한다.

 

⑵三葉萎陵菜根(삼엽위릉채근)

①4-10월에 채취한다.

②약효 : 利濕(이습), 止痛(지통), 淸熱(청열), 해독, 補虛(보허)의 효능이 있다. 骨髓炎(골수염), 外傷出血(외상출혈), 毒蛇咬傷(독사교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粉末(분말)을 만들어 살포한다. 

 

유사종

▶양지꽃 (P. fragarioides var. major Mawim.) : 엽병이 길고 3-13개의 소엽으 로 이루어져있다. 

 

양지꽃과 비슷하나, 작은 잎이 3장으로 된 겹잎인 점이 다름 

 

 

 

 

 

 

=============================================================================================================================

 

두산백과

세잎양지꽃

 

 

학명: Potentilla freyniana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북부·아무르 등지

 

흔히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15∼30cm이고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꽃이 진 다음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자란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잎자루가 길며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둥글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잎맥에는 털이 있다.

턱잎은 달걀모양으로 밋밋하다.

꽃줄기에 돋는 잎은 이와 비슷하지만 작다.

 

꽃은 3∼4월에 피고 황색이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원형으로 길이는 꽃받침의 1.5배이다.

덧꽃받침·꽃받침조각 및 꽃잎은 각각 5개씩이고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꽃턱에 털이 있다.

 

열매수과(瘦果)로 털이 없고 주름살이 있다.

양지꽃 비슷하지만 작은잎이 3개 있으므로 세잎양지꽃이라고 부른다.

한국·일본·중국 북부·아무르·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6~7월경에 익은 종자를 바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리거나 보관 후 가을에 뿌리며, 가을에 포기나누기를 한다.

관리법 : 화분이나 화단에 심고 햇볕이 많이 들어오는 곳에서 재배하고 물은 1~2일 간격으로 준다.

 

세잎양지꽃 (두산백과)

 

 

 

 

 

=============================================================================================================================

 

몸에 좋은 산야초

세잎양지꽃

 

 

학명: Potentilla freyniana BORNM.

생약명: 삼장엽(三張葉), 삼엽위릉채(三葉委陵菜), 지풍자(地風子)

개화기: 3~5월 /분포: 제주도를 비롯해 전국

 

1. 특징

온몸에 약간의 거친 털이 생겨나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밑동에서 땅을 기는줄기가 자라나 끝에 새로운 풀이 생겨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나 30cm 안팎의 높이에 이른다.모든 잎이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아주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잎 조각은 계란 꼴에 가까운 타원 꼴로 길이는 4cm 안팎이고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를 가진다.줄기 끝에 여러 송이의 꽃이 모여 피는데 그 수는 과히 많지 않다. 꽃은 5장의 둥근 꽃잎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름이 1.5cm 안팎이고 빛깔은 노랗다.

 

2. 분포

제주도를 비롯해 거의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산과 들판의 풀밭에 나는데 약간 습한 자리를 좋아한다.

 

 

3. 약용법

 

생약명: 삼장엽(三張葉). 삼엽위릉채(三葉委陵菜), 지풍자(地風子)라고도 부른다.

사용부위: 꽃과 줄기, 잎의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고 있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별로 밝혀진 것이 없다.

약효: 해열, 지혈, 강장 등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으로는 각종 출혈, 학질, 결핵성임파선염, 결핵성골수염 등이다. 그밖에 외상에 의해서 다친 출혈이나 종기, 치질의 치료 등에도 쓰인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상출혈, 종기, 치질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4. 식용법

이른봄 갓 자라난 어린 싹을 나물로 해서 먹는다. 쓴맛이 있으므로 우려낼 필요가 있다. 땅 속에 밤 맛이 나는 새끼손가락 굵기의 덩이뿌리가 있으며 힘을 왕성하게 하는 데 좋다.

 

세잎양지꽃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수리님, 히어리/김용운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꽃여울님, 주성님, 깜보/송동섭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두루미님,

이영호의 야생화 / http://skyspace.pe.kr/

이덕우님, / http://www.purndol.com/xe/16602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양지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세잎양지꽃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양지꽃  (0) 2015.02.06
솜양지꽃  (0) 2015.02.06
섬양지꽃  (0) 2015.02.05
물양지꽃  (0) 2015.02.05
돌양지꽃  (0) 201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