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곰딸기

호남인1 2015. 1. 30. 21:40

 

 

 

 

 

곰딸기

학명: Rubus phoenicolasius Maxim. for. phoenicolasius 

 

 

 

 

 

 

 

이  명: 붉은가시딸기, 섬가시딸나무 /영명: Wineberry /꽃말:

분  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산딸기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일본,중국 /서식: /크기: 길이 3m정도

생약명: 현구자(懸鉤子, 산딸기와 같은 약재)

 

낙엽활엽관목

장미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길이가 3미터 정도이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붉은 선모(腺毛)가 빽빽하게 나있다. 잎은 어긋나고, 새 가지 끝에 연한 홍색 꽃이 총상 꽃차례로 피며, 열매는 7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곰딸기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1720&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고 3-5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 복엽이고, 중앙의 잎이 훨씬 크며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다. 소엽은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며 미요두이고 길이 4-10cm로서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고, 엽병에는 선모가 밀생한다. 잎 뒷면의 흰색 밀모로 희게 보이므로 다른 딸기나무류와 쉽게 구별된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5cm로 7-8월에 홍색으로 성숙한다. 종자는 길이 2㎜의 신장형으로 연한 황색이다. 

 

꽃은 새가지 끝에 총상화서를 이루며, 화경(花梗)은 길이 6-7mm로 선모가 밀생하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1.7cm로 자갈색이고 길이 2mm정도의 선모가 밀생한다. 꽃잎은 타원형으로 연한 홍색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자방에 털이 없고 5-6월에 개화한다.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는 적자색이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으며 적색 선모가 밀생한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길이 3m정도 자란다. 

 

음습지에서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고 계곡의 전석지나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토심이 깊고 비옥적윤한 곳을 좋아하며 해변이나 도심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2-3월에 가지를 삽목하거나 3-4월에 뿌리를 삽목하며, 딸기를 새끼에 묻혀서 땅에 심는 방법도 있다. 

결실기: 7월, 8월 

 

이용

황폐한 척악지나 전석지 같은 곳에 식재하면 군집을 이루며 열매는 생식하거나 잼이나 파이를 만든다. 

 

유사종

▶흰곰딸기(for.albiflorus T.LEE) : 백색꽃이 피며 완도에서 자란다. 

 

특징

1차천이식생으로 적응성이 좋고 맹아력이 강하다. 가지가 밑으로 늘어지고 덤불을 이루며 군생한다.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붉은가시딸기

[ 猿苺 ]

 

 

학명: Rubus phoenicolasius Maxim.

개화시기: 6월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일반적특징

낙엽활엽 관목으로 높이 3m에 달하고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드문드문 가시가 있고 줄기, 화서, 엽축에 붉은 선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5개이고 넓은 난형으로 길이 4~10㎝이며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며 맥 위에 가시와 선모가 있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엷은 홍자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꽃받침 조각은 피침형으로 자갈색의 선모가 밀생하고 꽃잎은 타원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과실은 집합과로 구형이며 7월에 붉게 익는다.

 

본종은 멍석딸기에 비해 벋는 가지가 없고 줄기, 화서, 엽축에 선모가 밀생하며 꽃은 총상화서로 달린다. 본품에 비해 꽃이 백색인 것을 흰곰딸기 for. albiflorus (Nakai) T. Lee라 하며 완도에 난다. 과실은 식용한다.

 

생태적특징

깊은 산의 숲 속에 난다. 거의 전도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약초도감

곰딸기

 

 

학명: Rubus phoenicolasius Maxim. for. phoenicolasius

생약명: 현구자(懸鉤子, 산딸기와 같은 약재)

 

1. 구분

장미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여러 줄기가 올라와 덩굴처럼 굽어져서 길이 3m 정도로 자란다. 긴 가지가 늘어져 위쪽이 넓은 반원형이 된다. 잔털 같은 붉은 가시가 많다.

 

2. 서식지

산속 그늘지고 습한 곳이나 임도에 주로 서식한다. 땅이 한 번 갈아엎어진 자리의 양달 쪽에 가장 먼저 점령해 들어온다.

 

3. 특징

줄기가 붉고 끈끈한 잔털로 덮여 있으며 가시가 있다.

 

: 가지에서 어긋나게 나온 잎줄기에 길이 4~10㎝ 정도의 잎이 3~5장씩 붙어 깃털 모양이 되며 잎줄기 끝에 붙은 잎이 크다. 끝이 점점 갸름해지면서 뾰족한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다. 앞면에 부드러운 잔털이 있고 뒷면에는 흰 잔털이 빽빽이 나 있어 희게 보인다. 잎자루는 붉은 자줏빛을 띠며 붉은빛의 끈끈한 잔털이 있다.

 

: 5~6월에 새로 나는 햇가지에 연한 분홍색으로 핀다.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갈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다. 수술이 많다. 꽃잎은 타원형으로 꽃받침잎보다 짧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꽃잎보다 긴 피침 모양이며 붉은빛 도는 흰 녹색을 띠고 겉에 붉은빛의 끈끈한 잔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 7~8월에 과육 있는 작고 둥근 알갱이가 뭉쳐진 지름 1.5㎝ 정도의 둥근 열매가 붉은색으로 여문다. 다 익으면 열매는 떨어지고 꽃받침잎만 남는다. 씨앗은 길이 2㎜ 정도의 노란 콩팥 모양이다.

 

줄기껍질: 어린 나무는 붉은 자주색을 띤다. 묵을수록 붉은빛 도는 짙은 회갈색이 되며 껍질이 얇게 갈라져 벗겨진다. 붉은 자주색이나 밝은 갈색의 갈고리 같은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붉은빛의 끈끈한 잔털이 빽빽이 있다.

 

줄기 속: 가장자리는 흰 녹색을 띤다. 한가운데에는 흰 갈색의 넓고 무른 속심이 있다.

 

가지: 햇가지는 연녹색 빛 도는 밝은 자주색을 띠다가 붉은 자주색이 된다. 묵으면 밝은 갈색이 된다. 붉은 자주색이나 밝은 갈색의 갈고리 같은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붉은빛의 끈끈한 잔털이 빽빽이 있다.

 

겨울눈: 크기가 작으며 가운데가 불룩한 원뿔 모양이다. 자줏빛 도는 갈색을 띤다.

 

4. 용도

약용: 간 질환, 자양 강장제, 당뇨, 천식, 아토피식용: 과실

 

민간요법

산딸기와 같은 약재다.열매(현구자, 懸鉤子)완전히 익기 전에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간 질환, 자양 강장제로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뿌리 · 줄기여름~초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당뇨, 천식에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아토피에 말린 것 달인 물을 바른다.

 

식용방법

익은 열매는 과실로 먹는다.

 

5. 계절별로 알아보자

상세정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388&cid=46686&categoryId=46694

 

곰딸기 (약초도감, 2010.7.5, (주)넥서스)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학지님. 박하님, 폴모리아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꽁지님. 깜보/송동섭님, 산꾼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농촌총각님. 조pd님.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산딸기 | 식물도감(植物圖鑑)

곰딸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딸기  (0) 2015.01.31
흰곰딸기  (0) 2015.01.31
검은딸기  (0) 2015.01.30
거지딸기  (0) 2015.01.30
거제딸기  (0) 201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