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마가목
학명: Sorbus commixta var. rufo-ferruginea Schneid
이명: 녹빛마가목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부 이북 /서식: 표고 500-1,200m의 심산 중턱 /크기: 수고 6-8m
생약명:
낙엽활엽소교목
잎은 녹색이고 뒷면의 중륵에는 길고 가는 갈색 털이 난다.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8∼10mm로서 가지 끝에 겹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8∼12cm로서 갈색의 길고 가는 털이 나고 꽃대에 줄 모양의 피목(皮目)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삼각 모양이고 갈색 털이 나며 꽃잎은 5개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Sorbus commixta Hedl. var. rufoferruginea C. K. Schneid.
-------------------------------------------------------------
잎은 호생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이다. 잎 뒷면, 특히 중륵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복거치 또는 단거치가 있고 탁엽이 일찍 떨어진다.
10월에 홍색으로 성숙하는 둥근 이과로서 지름은 5-8mm이다.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가는 갈색털이 있으며 가지끝에 달린다.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8-10mm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꽃받침통에 길고 가는 갈색털이 있다.
수간은 통직하고, 수피는 황갈색이며,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고, 동아에 점성이 있다.
중부 이북 표고 500-1,200m의 심산 중턱에 자란다.
낙엽활엽소교목
수고 6-8m 정도
여름이 시원한 고랭지 및 산지, 평지는 반음지가 적당하다. 음수로서 자갈이 섞여 있는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와 습기있는 땅을 좋아하며 내음성, 내한성이 강하고 내염성, 내공해성은 중간이며 내서성은 약하다. 묘목생산은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가 좋다. 어려서는 음수로 큰나무 아래서도 잘 자라며 대기오염에도 강하다
광선: 음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실생은 10월-이듬해 3월에 파종하고 과육제거 후 층적저장이 좋으며, 발아율은 40%, 13만립/ℓ이다.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 발근처리로는 IBA 50-100ppm에 5-6시간 침지하고 뿌리가 약하므로 실용성은 없다. 이식은 3-4월, 10-11월에 하나 큰나무는 곤란하며 전년에 단근 후 이식한다. 전정은 필요 없고 배식은 독립수, 열식으로 한다.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결실기: 10월
관상용으로 도로변이나 공원,정원, 가로수, 절지, 분재 등으로 이용되며 수피는 마아피(馬牙皮)라 하여 한약재로 이용하는데 활혈, 진해에 효능이 있다. 열매는 차로 이용하거나 생식할 수 있고 또한, 지팡이, 망치자루, 집조수, 염료, 연료 등으로 이용된다.
유사종
▶잔털마가목(var. pilosa NAK.): 소엽이 길이 9cm, 폭 1.8cm이고 뒷면 중륵(中肋)에 백색털이 있다.
▶왕털마가목(for. rufo-hirtella NAK.): 잎 뒷면에 성긴 털이 있다.
▶흰털당마가목(S. amurensis var.lanata Nak.)
▶차빛당마가목(S. amurensis var.rufa Nak.)
병충해
▶충해: 깍지벌레, 자벌레, 텐트나방.
▶병해: 적성병, 둥근무늬병.
▶적성병: 다이젠이나 보르도액을 뿌려준다.
▶깍지벌레류: 겨울에는 가지고르기, 가지치기 후인 12-4월 사이에 기계유 유제(95%)25배액을 가지와 줄기 전체에 살포하고 우화약충기에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텐트나방 : 유충가해기인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에 메프 50%유제, 다이아톤 34%유제 1,000배액을 살포하고, 솜방망이불로 직접 태워 죽인다.
▶둥근무늬병 : 눈이 트기전에 4-4식보르도액을 2주 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Sorbus commixta Hedl. var. rufoferruginea C. K. Schneid.
=============================================================================================================================
두산백과
녹마가목
[ ─馬牙木 ]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학명: Sorbus commixta var. rufo-ferruginea
분포지역: 한국·일본 등지
서식장소/자생지: 깊은 산 숲속
크기: 높이 6∼8m
깊은 산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6∼8m이다. 작은 가지에 털이 없고 겨울눈에 점성이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9∼13개이며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서 길이 2.5∼8cm이다. 끝은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은 녹색이고 뒷면의 중륵에는 길고 가는 갈색 털이 난다.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8∼10mm로서 가지 끝에 겹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8∼12cm로서 갈색의 길고 가는 털이 나고 꽃대에 줄 모양의 피목(皮目)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삼각 모양이고 갈색 털이 나며 꽃잎은 5개이다. 수술은 20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둥근 모양의 이과(梨果)로서 지름 5∼8mm이고 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번식은 종자와 꺾꽂이로 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나무껍질과 열매는 중풍·구충 등에 약재로 쓴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녹마가목 [─馬牙木] (두산백과)
Sorbus commixta Hedl. var. rufoferruginea C. K. Schneid.
=============================================================================================================================
사진출처
http://dbiodbs.units.it/carso/chiavi_pub26?spez=17176
http://www.asianflora.com/Rosaceae/Sorbus-rufoferruginea.htm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마가목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녹마가목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넓은잎당마가목 (0) | 2015.01.11 |
---|---|
당마가목 (0) | 2015.01.11 |
마가목속 (0) | 2015.01.11 |
마가목 (0) | 2015.01.11 |
땃딸기 (0) | 2015.01.10 |